작성
·
36
1
선언시에 바로 초기화하는 것과 intialization list를 활용하는 방안이 있는데,
예전에 제가 배울 때는 선언시에 초기화하는 것보다는 intialization list를 활용하는 것이 더 깔끔하고 좋다!
라고 배웠었는데, 딱히 상관이 없는건가요? 그저 스타일의 차이인가요?
답변 2
0
안녕하세요? 질문&답변 도우미 durams입니다.
클래스 내 명세 부분에서 초기화하는 것과 생성자에서 member initializer list로 초기화하는 것 중 어떤 것이 더 좋은 방법인지 여쭤보시는거죠? 기술적으로는 두 방식 모두 initialization(초기화)를 수행하지만, 목적은 다르다고 보시는 것이 적절합니다.
해당 영상에서는 간단한 비교를 위해 defualt constructor와 유사한 형태의 생성자를 예로 들었지만, 생성자는 클래스에서 오버로딩을 통해 여러 형태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클래스 명세 부분에서 선언 시 초기화하는 것은 말 그대로 멤버의 기본값을 지정하기 위한 목적이며, 생성자의 member initializer list에서 초기화하는 것은 특정 생성자의 의도에 따라 멤버를 초기화함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바로 다음 영상에서 나오듯이, member initializer list에서는 위임 생성자를 사용하실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상속에 대해서 배우시면 자식 클래스 생성자의 member initializer list에서 부모 클래스의 생성자를 위임 생성자로 호출할 수도 있습니다.
두 방법은 영상에 나온 것처럼 동시에 같이 사용할수도 있으니, 필요에 따라 선택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선언으로 기본값을 지정한 경우, member initializer list에서는 해당 멤버의 초기화를 생략할 수도 있으니까요.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장준혁님.
질문해주신 초기화 방법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C++에서 초기화 리스트(initialization list)를 사용하는 것이 권장되는 몇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효율적인 초기화: 멤버 초기화 리스트를 사용하면 객체 생성 시점에 직접 값을 설정하기 때문에, 한번의 생성 과정에서 원하는 값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반면, 선언과 대입은 기본 생성자를 호출하고 나서 따로 값을 변경하는 것이기 때문에, 불필요한 디폴트 생성과 대입 과정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상수 멤버 및 참조 멤버 초기화: 상수 멤버 변수나 참조 멤버 변수는 반드시 초기화 리스트를 통해 초기화해야 합니다. 이는 선언 후 값을 변경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멤버 변수의 순서 및 효율성: 멤버 초기화 리스트는 클래스에 선언된 순서대로 초기화가 진행됩니다. 이는 특히 상속과 연관된 경우 명확한 순서를 제공하여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이게 됩니다.
따라서, 스타일 차이 이상의 이유로 실질적인 이점이 있기 때문에 초기화 리스트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물론 간단한 경우나 변수가 하나인 경우에는 선언 시 초기화를 해도 됩니다.
관련하여 더 자세한 내용은 다음의 강의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당 강의에서 초기화 리스트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예제 코드가 제공되고 있으니, 학습에 많은 도움 되실 것입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