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C#과 유니티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4: 게임 서버
스핀락이 올바르게 작동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using System.Linq; using System.Text; using System.Threading; using System.Threading.Tasks; namespace ServerCore { class SpinLock { volatile int _locked = 0; // true: 잠겨있음, false: 잠겨있지 않음 public void Acquire() { while(true) { ////Interlocked.Exchange의 반환값은 원래값이다. //int original = Interlocked.Exchange(ref _locked, 1); ////original == 0이면 잠금 성공, original == 1이면 잠금 실패 //if (original == 0) //{ // //내꺼 // break; //} //CAS (Compare-And-Swap) 함수라고 한다. int expected = 0; int desired = 1; if(Interlocked.CompareExchange(ref _locked, desired, expected) == expected) { break; } } } public void Release() { //잠김을 푼다. _locked = 0; } } class Program { static int _num = 0; static SpinLock _lock = new SpinLock(); static void Thread_1() { for (int i = 0; i < 1000000; i++) { _lock.Acquire(); _num++; _lock.Release(); } } static void Thread_2() { for (int i = 0; i < 1000000; i++) { _lock.Acquire(); _num--; _lock.Release(); }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Task task = new Task(Thread_1); Task task2 = new Task(Thread_2); task.Start(); task2.Start(); task.Wait(); Console.WriteLine(_num); } } } 다음과 같이 작업 후 디버깅해보았는데 결과값이 때로는 맛이 간 값을 출력합니다.제시된 코드와 같은 것 같은데 이유를 모르겠습니다!그리고 다음과 같은 상황일 때 어떻게 브레이크포인트를 잡아서 버그수정을 시도해야 할 지 감이 안잡힙니다ㅠㅠ
-
미해결[C++과 언리얼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4: 게임 서버
다른 스레드가 write하고 있을 때 readlock 허용하나요?
ReadLock 코드uint32 expected = (_lockFlag.load() & READ_THREAD_MASK); if (_lockFlag.compare_exchange_strong(OUT expected, expected + 1)) return;WriteLock 코드const uint32 desired = ((LThreadId << 16) & WRITE_THREAD_MASK); ... uint32 expected = EMPTY_FLAG; if (_lockFlag.compare_exchange_strong(OUT expected, desired)) { _writeCount++; return; }Write할 때 lockFlag를 LThreadId << 16로 저장하기 때문에 첫 비트 ~ 15비트까지는 0으로 초기화가 될것입니다.ReadLock에서는 Read용 Mask를 쓰는데 그럼 Write에서 초기화해준 lockFlag를 볼 수 없어서 항상 참값이 나와 expected + 1로 수정되는거 아닌가요?? 다른 스레드가 Write하고 있을 때 Read를 허용하는것인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C++과 언리얼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4: 게임 서버
Protobuf 사용시 Lnk2001 에러 두줄
이 두줄을 이틀째 해결 못하고있습니다.3.17.0 ~ 3.19.x 버전은 빌드 O5.27.0 ~ 5.28.x 버전은 빌드 X 최신 버전 및 그 근처 버전들은 전부 마지막에 저 두 에러가 떠서 결국 잠시 내려놓고 다른 방법을 찾아봤습니다.공식문서를 참고해 vcpkg에서 가장 최신버전을 설치해보니 4.25.1로 빌드되고 니 프로젝트가 문제 없이 빌드 되는것 확인했습니다. 최신버전 한 번 사용해보겠다고 이것저것 시도한건 다 실패한건 아쉽지만 그래도 안전하게 사용하가능한 여러 버전을 알게 됐네요.vcpkg에서 설치하면 .lib이나 google을 안넣어도 자동으로 적용되는데 문제 없을까요?아니면 안전하게 설치되는 버전을 파악했으니 삭제하고Cmake로 해당 버전을 다시 빌드할까요?그리고 최신 버전은 꼭 사용할 필요 없는 거겠죠?
-
미해결AWS Certified Solutions Architect - Associate 자격증 준비하기
수강기간 연장 부탁드립니다.
일이 바빠서 거의 듣지 못하다가대기기간이 되서 지금 들을려고 하는데수강기간 연장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C++과 언리얼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4: 게임 서버
오류 원인을 찾기가 어렵네요.
안녕하세요.거의 하루종일 보고 있는 문젠데요.클라이언트에서 에코해줄 때 강사님은 OnRecvCompleted() 함수 안에서 인자로 받은 length가 아니라 sizeof send_buffer를 사용하고 계셔서 오류가 발생 안 했어요.인자로 받는 length를 해주면 프로그램 구동하고 나서 얼마 안돼서 주고받는 데이터가 영원히 증가합니다. 물론 ASSERT_CRASH가 있기 때문에 메모리 할당해주는 부분에서 결국 멈추긴 합니다.정확한 이유를 못 찾겠네요. 이리저리 중단점 찍어보는데, 한 가지 확실한 건 서버에서 WSASend() 해주고 클라에서 받을 때 갑자기 데이터 사이즈가 튑니다. 더미 클라에서 세션을 하나만 넣어줘도 재현돼요.이럴 때 비동기 + 멀티스레드는 정말 헬이네요. ProcessSend()로 들어오는 sendBytes가 갑자기 26, 52..이렇게 되어버립니다. GSendBufferManager에서 반환하는 메모리 위치는 문제가 없어요. 어느 순간 데이터를 미친 듯이 이어 붙입니다.위 이미지처럼 하나씩만 오고 가야 하는데(Hell, World!)어느 순간 아래 이미지처럼 확 늘어납니다.계속 누적돼요. 강사님 코드 거의 그대로입니다.WSASend() 동작이 중첩됐나까지 의심하게 되네요. 그러나 송신 큐 부분에 락 걸고 이후 코드는 스택 변수라 강사님과 동일하게 진행됩니다.void Session::RegisterSend() { _send_event.Init(); _send_event.owner = shared_from_this(); // 보낼 데이터를 send_event에 등록 // 레퍼런스 카운트 유지를 위해 SendEvent의 멤버변수를 이용한다 { WRITE_LOCK; while (false == _send_queue.empty()) { SharedSendBuffer send_buffer = _send_queue.front(); _send_queue.pop(); _send_event.send_buffers.push_back(send_buffer); } } xvector<WSABUF> wsabufs; wsabufs.reserve(_send_event.send_buffers.size()); for (SharedSendBuffer send_buffer : _send_event.send_buffers) { WSABUF wsabuf; wsabuf.buf = reinterpret_cast<char*>(send_buffer->Buffer()); wsabuf.len = static_cast<LONG>(send_buffer->WriteSize()); printf("wsabuf len: %d\n", wsabuf.len); wsabufs.push_back(wsabuf); } DWORD send_bytes = 0; int32 result = WSASend(_socket, wsabufs.data(), static_cast<DWORD>(wsabufs.size()), &send_bytes, 0, &_send_event, nullptr); int32 error = WSAGetLastError(); if (SOCKET_ERROR == result && error != WSA_IO_PENDING) { HandleError(error); // release ref _send_event.owner = nullptr; _send_event.send_buffers.clear(); _send_registered.store(false); return; } } 정상적인 에코 서버라면 주고 받는 데이터의 크기가 계속 일정해야 한다고 생각해서 테스트한 건데 고통의 시간을 겪고 있습니다..참고로 GameSession에서 OnRecv 재정의할 때 1회만 브로드캐스트 해주고 있습니다.int32 GameSession::OnRecvCompleted(BYTE* buffer, int32 length) { // temp echo printf("GameSession OnRecvCompleted len: %d\n", length); SharedSendBuffer send_buffer = g_send_buffer_manager->Open(4096); memcpy(send_buffer->Buffer(), buffer, length); send_buffer->Close(length); g_session_manager.Broadcast(send_buffer); return length; }
-
미해결그림으로 쉽게 배우는 네트워크
스위치 포워딩
스위치는 처음부터 브로드 캐스팅 하지않고 포워딩으로 보내나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2편, I/O, 네트워크, 리플렉션
BufferedOutputStream 질문입니다.
[질문 내용]CreateFileV3 코드에서반복문을 돌고 fos로 보내는 메소드는없는데어느 시점에서 버퍼에 담긴 데이터가 fos로 보내지는건가요?bos.close() 때 강의에서 설명하신 내부적 flush() 실행으로 보내는줄 알았는데 아니더라구요. 반복문이 종료되는 시점에 보내지는지아니면 버퍼가 가득찼을때 보내지는지.. 어느 시점인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2편, I/O, 네트워크, 리플렉션
IntelliJ 에서 클래스 생성시 Exception 생성 기능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영한님처럼 클래스 생성시 Exception이 따로 안떠서 어떻게 하면 Exception도 클래스나 인터페이스처럼 바로 생성하는 기능을 추가할 수 있는지, 단순 버전 차이인지 궁금합니다.(2번째 사진은 제가 클래스 생성할 시 뜨는 창입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2편, I/O, 네트워크, 리플렉션
교안으로만 공부해도 충분할까요?
팬심 또는 언젠간을 위해 강의를 전부 구매했습니다.구매 후 기본편 까지는 강의를 다봤거든요.그런데 교안을 너무 잘만드셔서 교안만 봐도 될꺼같다 라는 생각이 들더라구요.물론, 강의를 진득하게 듣고 이해하여, 그것을 체화하면 자바에 대해 더 깊게 이해할 수 있겠지만,문제는 역시 트레이드오프... 시간이 너무 많이 걸리네요. 자바 고급 2편까지 1달 반에서 2달 내로 끝내고 싶은데 강의를 들으면 도저히 그 시간을 맞출 수 없을꺼같아서 질문해봅니다.제목 그대로 교안만으로도 충분할까요?
-
미해결풀스택을 위한 도커와 최신 서버 기술(리눅스, nginx, AWS, HTTPS, 배포까지) [풀스택 Part3]
mysql 접속 port 개방할 때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강사님 안녕하세요. 강사님 강의 저번주 부터 열심히 듣고 있습니다. 😀 15:50 분 쯤에 mysql port를 개방하시는 부분이 있는데 조금 궁금한 점이 생겨서 질문드립니다.aws에서 인바운드 규칙으로 모든 외부 ip에서 mysql db로 접속이 가능하도록 열어두셨는데(0.0.0.0/0), 비밀번호 설정이 되어있기 때문에 그냥 열어두신 건가요? 보안 상 ip주소를 관리자 ip만 허용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이 드는데.. 실무에서도 이렇게 하는 것이 관행인지 궁금합니다. 만약 보안 상 큰 문제 될 것이 없다면 그러한 이유가 무엇인지도 알고 싶습니다.
-
미해결AWS Certified Solutions Architect - Associate 자격증 준비하기
강의기간 연장 문의
안녕하세요.실전문제풀이 진행하면서 강의를 마무리하고 있는 중인데복습 목적으로 조금이라도 기간을 연장할 수 있을까요?
-
해결됨자동차 SW - UDS 진단통신 정복하기
브로드케스트 방식에 관하여
Can통신은 브로드 케스트 방식이라 특정 제어기가 송신을 하면 공통선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제어기가 수신을 한다고 알고있습니다(수신을 하나 사용할지 말지는 각 제어기 단에서 결정).강의 중 나온 physical address, functional address는 특정EUC, 모든 ECU한테 날릴 수 있다고 하는데 이 부분이 혼란스럽습니다.제가 어떤 부분을 놓치고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2편, I/O, 네트워크, 리플렉션
강의랑 교안이랑 다른 부분이 있습니다.
File, Files의 4페이지밑에서 세 번째 줄Path newFile = Paths.get("temp/newExample.txt");교안에는 위와 같이 나와있는데, 강의 영상에서는 아래와 같이 코드를 작성해주셨습니다.Path newFile = Path.of("temp/newExample.txt"); 두 코드는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인가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2편, I/O, 네트워크, 리플렉션
버퍼 질문입니다.
1. 1byte 씩 전송하면 당연히 시스템콜이 많이 작동하므로 속도가 느리다2. 8바이트씩 전송하면 시스템 콜에서 어차피 8바이트씩 전송하므로 시스템 콜을 적게 호출 할 수 있다 [질문]한번에 전송해도 시스템콜에서 8kb바이트씩 보낼텐데시스템콜 요청하는 횟수가 2번과 비슷할텐데 왜 버퍼를 쓰는게 더 빠르게 나오는 걸까요?혹시 이게 한번 전송하면 한꺼번에 시스템콜 직전까지 전달하므로 병목현상 뭐 그런걸까요?++강의에서 한번에 써도 os상에서 8kb씩 보내신다고 했던것 같은데 맞나요?메모리에 한번에 올려서 시스템콜에 가져다 주는 것이 부하가 걸려서 8kb씩 버퍼로 하는 것보다 더 느린걸까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2편, I/O, 네트워크, 리플렉션
버퍼 질문입니다!
한번에 쓰는 것과 8kb씩 버퍼를 이용해서 쓰는 것에 대해서어차피 시스템 콜에서 8kb씩 전송하는데한번에 가져다 주는 게 더 빨라야 하는 것이라고 인식되는데어떻게 8kb씩 버퍼로 주는게 더 빠른걸까요?한번에 주든 8kb씩 버퍼로 주든시스템 콜에서 8kb씩 전송하는 거면한번에 주는 게 나은 거 아닌가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2편, I/O, 네트워크, 리플렉션
고급 3편은 어떤 내용이 담기나요?
2편 듣고있는데 .. ㅎㅎ 궁금합니다.
-
미해결[C#과 유니티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4: 게임 서버
Socket의 Disconnect 해주는 부분에 대해 궁금합니다.
강의들이나 블로그를 보아도 소켓의 연결을 유지해주는 경우는 Receive 부분이나 Send 부분에서 ByteTransferred <= 0 이거나 SocketError != SocketError.Success가 아닐 경우에 Disconnect를 하게 되어있는데 온라인 서버에서는 원래 이렇게 구성을 해주는건가요?이 경우엔 계속 패킷을 보내고 받지 않으면 연결이 끊기는거같아서 ..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2편, I/O, 네트워크, 리플렉션
현재 연결은 사용자의 호스트 시스템의 소프트웨어의 의해 중단되었습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ResetClose Client> package network.exception.close.reset;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 import java.io.OutputStream; import java.net.Socket; import static util.MyLogger.log; public class ResetCloseClien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InterruptedException { Socket socket = new Socket("localhost", 12345); log("소캣 연결: " + socket); InputStream input = socket.getInputStream(); OutputStream output = socket.getOutputStream(); // Client <- Server : FIN Thread.sleep(1000); // 서버가 Close() 호출할 때 까지 잠시 대기 // Client -> Server: PUSH[1] output.write(1); // Client <-- Server : RST Thread.sleep(1000); //RST 메시지 전송 대기 try { int read = input.read(); System.out.println("read = " + read); } catch (IOException e) { e.printStackTrace(); } try { output.write(1); } catch (IOException e) { e.printStackTrace(); } } }<ResetCloseServer>package network.exception.close.reset;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net.ServerSocket; import java.net.Socket; import static util.MyLogger.log; public class ResetCloseServer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ServerSocket serverSocket = new ServerSocket(12345); Socket socket = serverSocket.accept(); log("소캣 연결 : " + socket); socket.close(); serverSocket.close(); log("소캣 종료 : " + socket); } }<클라이언트 결과>C:\Users\nevr\.jdks\openjdk-21.0.2\bin\java.exe "-javaagent:E:\Program Files\JetBrains\IntelliJ IDEA Community Edition 2023.3.3\lib\idea_rt.jar=49785:E:\Program Files\JetBrains\IntelliJ IDEA Community Edition 2023.3.3\bin" -Dfile.encoding=UTF-8 -Dsun.stdout.encoding=UTF-8 -Dsun.stderr.encoding=UTF-8 -classpath E:\mork\study\java-adv2\out\production\java-adv2 network.exception.close.reset.ResetCloseClient06:06:39.444 [ main] 소캣 연결: Socket[addr=localhost/127.0.0.1,port=12345,localport=49791]java.net.SocketException: 현재 연결은 사용자의 호스트 시스템의 소프트웨어의 의해 중단되었습니다 at java.base/sun.nio.ch.SocketDispatcher.read0(Native Method) at java.base/sun.nio.ch.SocketDispatcher.read(SocketDispatcher.java:46) at java.base/sun.nio.ch.NioSocketImpl.tryRead(NioSocketImpl.java:256) at java.base/sun.nio.ch.NioSocketImpl.implRead(NioSocketImpl.java:307) at java.base/sun.nio.ch.NioSocketImpl.read(NioSocketImpl.java:346) at java.base/sun.nio.ch.NioSocketImpl$1.read(NioSocketImpl.java:796) at java.base/java.net.Socket$SocketInputStream.read(Socket.java:1099) at java.base/java.net.Socket$SocketInputStream.read(Socket.java:1093) at network.exception.close.reset.ResetCloseClient.main(ResetCloseClient.java:29)java.net.SocketException: 현재 연결은 사용자의 호스트 시스템의 소프트웨어의 의해 중단되었습니다 at java.base/sun.nio.ch.SocketDispatcher.write0(Native Method) at java.base/sun.nio.ch.SocketDispatcher.write(SocketDispatcher.java:54) at java.base/sun.nio.ch.NioSocketImpl.tryWrite(NioSocketImpl.java:394) at java.base/sun.nio.ch.NioSocketImpl.implWrite(NioSocketImpl.java:410) at java.base/sun.nio.ch.NioSocketImpl.write(NioSocketImpl.java:440) at java.base/sun.nio.ch.NioSocketImpl$2.write(NioSocketImpl.java:819) at java.base/java.net.Socket$SocketOutputStream.write(Socket.java:1195) at java.base/java.net.Socket$SocketOutputStream.write(Socket.java:1190) at network.exception.close.reset.ResetCloseClient.main(ResetCloseClient.java:36)Process finished with exit code 0 네트워크 예외4 - 강제종료 중 받은 메시지인데수업에 말씀하신 Connection reset , pipe broken 이 아닌 "현재 연결은 사용자의 호스트 시스템의 소프트웨어의 의해 중단되었습니다" 에러 메시지가 나옵니다위 에러메시지에 대해 궁금합니다! (사용자의 호스트 시스템?? 이게 어떤 시스템인지.., 방화벽 문제인지, 보안소프트웨어를 말하는지) 강의 너무 잘듣고 있습니다!! 영환쌤 늘 감사드립니다.
-
미해결[C#과 유니티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4: 게임 서버
Send처럼 동시다발적으로 Recv가 발생할 경우 생기는 문제점에 대해 궁금합니다
Session#2 내용까지 보고 질문드립니다.Send 요청이 동시 다발적으로 발생할 경우 send 순서, 처리가 완료 되기 전 buffer를 건드리는 문제, sendAysnc의 동시다발적 발생으로 인한 부하 문제로 Queue를 사용하여 처리를 한다고 이해를 하였습니다 이런 경우를 Receive 쪽에서도 생각해볼 때 한 클라이언트에서 동시 다발적으로 send를 보낸다면 어쨌든 OnCompleteReceive릉 통해 처리될 것이고 그럼 그 요청만큼 다시 RegisterReceive가 실행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또 그 요청만큼 recvAysnc가 실행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때는 sendAysnc가 동시 다발적으로 실행되는 것과 같이 생기는 부하 문제, 혹은 야기되는 다른 문제점은 없을까요?아니면 비동기로 받아주는게 많은 만큼 recv가 쉬워진다던가..
-
해결됨[C++과 언리얼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4: 게임 서버
Session #1에서 owner를 이용한 레퍼런스 관련한 부분 질문입니다.
몇 년 전에 강의를 들었을 때 느꼈던 거랑 요새 다시 들으면서 느끼는 게 많이 다르네요. 새삼 코드 퀄리티가 너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레퍼런스 카운트 관련해서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Session 객체는 Service의 sessions에서 관리하는 한, 비동기 IO 작업 중에 메모리가 해제될 일은 없을 거라고 생각되는데요.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벤트 객체에 owner 객체를 둬서 레퍼런스 카운트를 1을 올려놓은 채로 작업을 진행하는 건 정말 혹시 모를 상황에 대한 대비일까요?연결이 끊어져야 sessions에서 세션 객체를 꺼내니까(~Session 소멸자 호출 확인) 웬만한 상황에서는 비동기 IO 중에 세션 객체가 날아갈 일은 없을 것 같단 생각이 들었습니다. 만약 그 상황에 대한 대비라면 지금 구조에서는 ProcessRecv가 시작하자마 nullptr으로 밀어버리는 것도 RegisterRecv()를 호출하기 직전으로 옮겨야 하지 않나 하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고견을 듣고 싶습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