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오브젝트 - 설계 원칙편
7-5 자막오타
parser..
-
해결됨오브젝트 - 설계 원칙편
7-5 자막오타
parser..
-
미해결React Native with Expo: 제로초에게 제대로 배우기
ios환경에서 어떻게 해야되는 지 모르겠어요
ios환경에서 어떻게 해야되는 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해결됨오브젝트 - 설계 원칙편
7-3 AbstractReader에 대해
이 그림 자체의 문제라기보다 도출되는 과정의 문제인데요.과정을 보면JsonReader와 CsvReader의 코드를 관찰한다.공통점을 발견한다.상위모듈에 그 공통점을 기술한다.이렇게 했단 말이죠.헌데 이건 하위모듈의 구현상의 공통점으로 xml리더나 html리더를 만들 때도 그 공통점이 일어난다고 보장할 수는 없을 거에요. 특히 이 코드는 전적으로 로컬파일시스템에서 읽을 때나 readLines가 일치하지 원격파일 리소스에서 읽어 들일 때는 그렇지도 않죠.즉 하위 구현에서 얼마든지 공통점은 달라질 수 있는데 그걸 단단한 상위모듈에 모아서 정의해도 되냐는 것입니다. 저는 인터페이스까지는 몰라도 추상클래스는 하위모듈에 있어야한다고 생각이 듭니다.
-
해결됨오브젝트 - 설계 원칙편
7-3 모듈의존성 역전에 대해
이걸 정말 실무에서 실현하시는지 궁금해요.이건 뭐랄까 정말 이론적인 얘기 같아요.이 예제가 아주 적절한데, 보통 저런 구조의 별도 모듈에 구현되는 하위수준의 기능은 라이브러리이거나 스탠드얼론 생태계를 갖는게 일반적이죠.이건 실무적으로 보면 잭슨이 우리회사 인터페이스에 따라서 만들어져야한다 라고 말하는 것에 가까운 느낌이랄까,저는 실무적에서 기능 모듈의 인터페이스가 도메인 모듈에 소속되게 만든 경험이 아예 없는 거 같아요. 소시적에 이론 따라 몇 번 해봤는데 완전 별로였거든요.
-
해결됨오브젝트 - 설계 원칙편
7-3 자막오타
-
미해결CUDA 프로그래밍 (1) - C/C++/GPU 병렬 컴퓨팅 - CUDA 커널 kernel
MSB3721 오류
안녕하세요 쿠다 실행하던중에 삭제하고 다운해도 계속 같은 오류가 반복돼서 해결방법을 아실까 하고 질문 드립니다. 심각도 코드 설명 프로젝트 파일 줄 비표시 오류(Suppression) 상태오류 MSB3721 ""C:\Program Files\NVIDIA GPU Computing Toolkit\CUDA\v12.9\bin\nvcc.exe" -gencode=arch=compute_52,code=\"sm_52,compute_52\" --use-local-env -ccbin "C:\Program Files\Microsoft Visual Studio\2022\Community\VC\Tools\MSVC\14.34.31933\bin\HostX64\x64" -x cu -I"C:\Program Files\NVIDIA GPU Computing Toolkit\CUDA\v12.9\include" -I"C:\Program Files\NVIDIA GPU Computing Toolkit\CUDA\v12.9\include" --keep-dir x64\Release -maxrregcount=0 --machine 64 --compile -cudart static -DWIN32 -DWIN64 -DNDEBUG -D_CONSOLE -D_MBCS -Xcompiler "/EHsc /W3 /nologo /O2 /FS /MD " -Xcompiler "/Fdx64\Release\vc143.pdb" -o D:\M&S\LAB\STUDY\cuda\cuda2\CudaRuntime1\CudaRuntime1\x64\Release\kernel.cu.obj "D:\M&S\LAB\STUDY\cuda\cuda2\CudaRuntime1\CudaRuntime1\kernel.cu"" 명령이 종료되었습니다(코드: 1). CudaRuntime1 C:\Program Files\Microsoft Visual Studio\2022\Community\MSBuild\Microsoft\VC\v170\BuildCustomizations\CUDA 12.9.targets 801 환경변수도 이렇게 다 했는데 안됩니다.감사합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기출 6회 [작업형 1 - 1번] 질문
df['출동시간'] = pd.to_datetime(df['출동시간']) df['도착시간'] = pd.to_datetime(df['도착시간']) df.info() df['걸린시간(분)'] = df['도착시간'] - df['출동시간'] df['걸린시간(분)'] = df['걸린시간(분)'].dt.total_seconds() / 60 df.head(2) result = df.groupby('소방서')['걸린시간(분)'].mean() result # 여기서 result 말고 df 에 넣으면 오류뜨는데 이유를 모르겠음. result 말고 df 넣으면 오류뜨는데 이 기준을 잘 모르겠습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equals - 구현(2)에서 자동 완성으로 코드 한줄이 없이 나오는데 제가 생각한게 맞나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주석처리한 부분이 영상때와 지금 인텔리제 버전이 달라선지 저 코드는 없이 만들어지더라구요저코드는 '자기 자신이면 바로 true 리턴해줘' 라는 코드가 맞나요?(if 부분이 같은 참조값일때 return true)위 코드가 없어도 밑에 다운캐스팅한 부분에서 비교하면 true가 나올거니까 이젠 안쓰는거라 지운건지없어도 돌아갈 거 같은데 저부분이 제가 생각하는 것과 같은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아바타 커뮤니티앱 만들기 (React Native Expo)
[서버 실행하기] 의존성 설치를 위한 npm install 시 취약점 발생
초기 설치 시 취약점 발생```npm warn deprecated inflight@1.0.6: This module is not supported, and leaks memory. Do not use it. Check out lru-cache if you want a good and tested way to coalesce async requests by a key value, which is much more comprehensive and powerful.npm warn deprecated @humanwhocodes/config-array@0.11.14: Use @eslint/config-array insteadnpm warn deprecated rimraf@3.0.2: Rimraf versions prior to v4 are no longer supportednpm warn deprecated @humanwhocodes/object-schema@2.0.3: Use @eslint/object-schema insteadnpm warn deprecated glob@7.2.3: Glob versions prior to v9 are no longer supportednpm warn deprecated glob@7.2.3: Glob versions prior to v9 are no longer supportednpm warn deprecated glob@7.2.3: Glob versions prior to v9 are no longer supportednpm warn deprecated glob@7.2.3: Glob versions prior to v9 are no longer supportednpm warn deprecated glob@7.2.3: Glob versions prior to v9 are no longer supportednpm warn deprecated superagent@8.1.2: Please upgrade to v9.0.0+ as we have fixed a public vulnerability with formidable dependency. Note that v9.0.0+ requires Node.js v14.18.0+. See https://github.com/ladjs/superagent/pull/1800 for insight. This project is supported and maintained by the team at Forward Email @ https://forwardemail.netadded 795 packages, and audited 796 packages in 7s122 packages are looking for funding run npm fund for details18 vulnerabilities (4 low, 5 moderate, 9 high)To address issues that do not require attention, run: npm audit fixTo address all issues (including breaking changes), run: npm audit fix --forceRun npm audit for details.```이후 ```npm audit fix``` 실행 후 두 번째 취약점 발생```# npm audit reportmulter 1.4.4-lts.1 - 2.0.0Severity: highMulter vulnerable to Denial of Service via unhandled exception - https://github.com/advisories/GHSA-g5hg-p3ph-g8qgfix available via npm audit fix --forceWill install @nestjs/platform-express@8.2.3, which is a breaking changenode_modules/multer @nestjs/platform-express >=8.2.4 Depends on vulnerable versions of @nestjs/core Depends on vulnerable versions of multer node_modules/@nestjs/platform-express @nestjs/core >=9.0.0-next.1 Depends on vulnerable versions of @nestjs/platform-express node_modules/@nestjs/core @nestjs/serve-static 2.0.0-next.1 - 2.0.0 || >=3.0.0 Depends on vulnerable versions of @nestjs/core Depends on vulnerable versions of path-to-regexp node_modules/@nestjs/serve-static @nestjs/testing >=9.0.0-next.1 Depends on vulnerable versions of @nestjs/core Depends on vulnerable versions of @nestjs/platform-express node_modules/@nestjs/testingpath-to-regexp 0.2.0 - 1.8.0Severity: highpath-to-regexp outputs backtracking regular expressions - https://github.com/advisories/GHSA-9wv6-86v2-598jfix available via npm audit fix --forceWill install @nestjs/serve-static@5.0.3, which is a breaking changenode_modules/@nestjs/serve-static/node_modules/path-to-regexp6 high severity vulnerabilitiesTo address all issues (including breaking changes), run: npm audit fix --force```취약점 6개 발생 이후 안사라지길래 npm audit fix --force 진행해도 6개 그대로 나오는 현상 발생현재 node 23.7, npm 10.9.2 사용중인데 gpt한테 물어보니 nest js 버전 어쩌구 하던데 서버는 잘 몰라서 건들지를 못하겠네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질문 작성시 꼭 참고해주세요에러 메세지에서 단서를 찾을 수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에러 메세지를 읽고 한번 검색해보시는것을 추천드립니다.질문글을 작성하실때는, 현재 문제(또는 에러)와 코드나 github을 첨부해주세요.개발중인 OS, ReactNative, Node 버전 등의 개발환경을 알려주셔야합니다.에러메세지는 일부분이 아닌 전체 상황을 올려주세요. 일부만 보여주시면 답변이 어렵습니다.에러 잘라서 올리시면 안됩니다!(에러 일부만 자르거나 일부만 복사하지말아주세요)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OrderServiceImpl 클래스에 의존성 주입이 되는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OrderServiceImplTest 코드에서OrderService orderService = new OrderServiceImpl(new MemoryRepository(), new FixDiscountPolicy()) 라는 코드를 작성하셨는데요이 테스트 코드에서OrderserviceImpl 내의 discountPolicy 에 의존관계가 주입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new FixDiscountPolicy() 는 다음 강의에서 이 클래스에 @Component를 붙이므로 이번 강의에서는 @Component 가 작성이 안되어있는 것으로 아는데 이 말은 빈으로 등록이 안된다는 것으로 이해되는데요. 그러므로 OrderserviceImpl 는 @AutoWired를 이용한 자동주입을 사용하는데 것을 사용할 경우 이전강의인 다양한 의존관계 주입 방법 였던가요?빈에 등록되어있지 않으면 오류가 난다고 하셨습니다.그러니까 지금 현재 Test 코드에서 new FixDiscountPolicy() 이것은 빈이 등록되지 않은 없는 순수 자바 객체일것 같은데 OrderserviceImpl 에서 discountPolicy 를 자동주입 하려는데 어떻게 오류가 나지 않나요?
-
미해결Next.js 까보기: "쓸 줄 아는 개발자"에서 "알고 쓰는 개발자"로
게시판 리스트 작성할 때 use client를 어디서부터 붙여야할지 모르겠어요
<리스트> <레코드1/> <레코드2/></리스트> 일 경우… 리스트단에서 use client로 한 후 zustand에서 리스트 자체를 통으로 관리해야하는가?각각의 레코드에 use client를 한 후 데이터를 받으면 zustand에 리스트를 만들어 레코드별로 hash(Map)으로 등록해 관리해야하는가? 레코드에는 좋아요, 조회수 등이 표시됨. 제 생각은1번은 SEO가 중요한건 각각 레코드 (상세페이지) 이므로 zustand에서 통으로 넣어 관리하면 되니 구현 및 데이터 신뢰도에서는 나아보이는데 하나바뀌면 전부 렌더링되니까 애매한거같고2번은 서버에서 모두 다 가져와서 초기속도는 빠르고 seo에 좋으나 zustand에 통으로 못넣고 데이터 자체를 내가 직접관리하는 구조라 구현 및 데이터 신뢰 측면에서는 골치아플거같은데… 무엇이 일반적인 구현방식인지 모르겠습니다. 도와주세요 ㅠㅠ
-
미해결[React / VanillaJS] UI 요소 직접 만들기 Part 1
게시판 리스트 만들때 어디부터 use client를 적용할 지 모르겠어요
<리스트> <레코드1/> <레코드2/></리스트> 일 경우… 리스트단에서 use client로 한 후 zustand에서 리스트 자체를 통으로 관리해야하는가?각각의 레코드에 use client를 한 후 데이터를 받으면 zustand에 리스트를 만들어 레코드별로 hash(Map)으로 등록해 관리해야하는가? 레코드에는 좋아요, 조회수 등이 표시됨. 제 생각은1번은 SEO가 중요한건 각각 레코드 (상세페이지) 이므로 zustand에서 통으로 넣어 관리하면 되니 구현 및 데이터 신뢰도에서는 나아보이는데 하나바뀌면 전부 렌더링되니까 애매한거같고2번은 서버에서 모두 다 가져와서 초기속도는 빠르고 seo에 좋으나 zustand에 통으로 못넣고 데이터 자체를 내가 직접관리하는 구조라 구현 및 데이터 신뢰 측면에서는 골치아플거같은데… 무엇이 일반적인 구현방식인지 모르겠습니다. 도와주세요 ㅠㅠ
-
미해결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게시판 리스트 만들때 use client를 어디서부터 집어넣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리스트> <레코드1/> <레코드2/></리스트> 일 경우… 리스트단에서 use client로 한 후 zustand에서 리스트 자체를 통으로 관리해야하는가?각각의 레코드에 use client를 한 후 데이터를 받으면 zustand에 리스트를 만들어 레코드별로 hash(Map)으로 등록해 관리해야하는가? 레코드에는 좋아요, 조회수 등이 표시됨. 제 생각은1번은 SEO가 중요한건 각각 레코드 (상세페이지) 이므로 zustand에서 통으로 넣어 관리하면 되니 구현 및 데이터 신뢰도에서는 나아보이는데 하나바뀌면 전부 렌더링되니까 애매한거같고2번은 서버에서 모두 다 가져와서 초기속도는 빠르고 seo에 좋으나 zustand에 통으로 못넣고 데이터 자체를 내가 직접관리하는 구조라 구현 및 데이터 신뢰 측면에서는 골치아플거같은데… 무엇이 일반적인 구현방식인지 모르겠습니다. 도와주세요 ㅠㅠ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먹는 Next.js(v15)
게시판 리스트를 만들때 어디부터 use client를 쓸지 모르겠어요.
<리스트> <레코드1/> <레코드2/></리스트> 일 경우… 리스트단에서 use client로 한 후 zustand에서 리스트 자체를 통으로 관리해야하는가?각각의 레코드에 use client를 한 후 데이터를 받으면 zustand에 리스트를 만들어 레코드별로 hash(Map)으로 등록해 관리해야하는가? 레코드에는 좋아요, 조회수 등이 표시됨. 제 생각은1번은 SEO가 중요한건 각각 레코드 (상세페이지) 이므로 zustand에서 통으로 넣어 관리하면 되니 구현 및 데이터 신뢰도에서는 나아보이는데 하나바뀌면 전부 렌더링되니까 애매한거같고2번은 서버에서 모두 다 가져와서 초기속도는 빠르고 seo에 좋으나 zustand에 통으로 못넣고 데이터 자체를 내가 직접관리하는 구조라 구현 및 데이터 신뢰 측면에서는 골치아플거같은데… 무엇이 일반적인 구현방식인지 모르겠습니다. 도와주세요 ㅠㅠ
-
미해결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Sprint4 (#Promethues #Grafana #Loki #OpenTelemetry)
Loki 아키텍처 관련
강의를 듣다보니...프로메테우스 아키텍처랑도 비슷하다는 느낌이 많이 드네요?loki도 설치하면 grafana가 존재하나요? 아니면 prometheus설치했을때 존재하는 그라파나를 같이 사용하나요? 결론은 로깅 시스템 구성할때 loki는 어플리케이션 로그 수집용이고 프로메테우스는 노드 메트릭 수집용이라는 차이인거네요?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책을 구매했는데요.. (시나공 2026)
빅분기 실기 강의와 같이 병행하려고 하는데어떤식으로 같이 공부하는게 효과적일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PM을 위한 데이터 리터러시(프로덕트 데이터 분석)
4-8 지표 정의 연습 문제 풀어봤습니다.
안녕하세요! 카일스쿨님! 좀 고민하고 풀어봤습니다.피드백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ㅎㅎ 1. 기능별 사용도 측정 지표배달 서비스 내 다양한 기능(배너, 메뉴 카테고리, 이런 음식 어때요?, 동네 맛집 등)의 성과를 확인하기 위한 주요 지표CTR→ 각 기능이 얼마나 주목을 끌었는지를 측정→ 예: 배너 클릭수 / 배너 노출수CVR→ 각 기능을 통해 실제 결제로 이어진 비율→ 예: ‘이런 음식 어때요?’를 보고 결제한 비율기능별 매출 및 순이익→ 단순 클릭을 넘어서 실질적인 수익에 대한 기여도 확인시간대별 클릭/전환 분석→ 메뉴 카테고리나 추천 기능이 어떤 시간대에 잘 동작하는지 파악개인화 추천 정확도→ 사용자의 과거 행동 기반으로 추천이 얼마나 개인화되었는지 예: 평소 3시에 짜장면을 자주 주문하는 사용자가 해당 시간에 중국집 추천을 받는지 여부로컬 기반 추천의 신뢰도→ ‘동네 맛집’의 추천 기준이 실제 동네 트래픽/주문량에 기반했는가2. 검색 기능 만족도 지표검색 기능에 대한 고객 만족도를 확인하기 위한 주요 지표재검색률→ 검색 후 유사한 키워드로 다시 검색하는 비율→ 높을수록 검색결과 만족도가 낮음을 의미검색 후 클릭률 및 클릭 후 이탈률→ 검색 결과를 클릭했는지, 클릭 후 바로 이탈했는지→ 이탈률이 높으면 검색 품질에 문제가 있을 수 있음검색 후 장바구니 추가율 (CVR)→ 검색 결과가 실제 구매로 이어졌는지 확인정확도 기반 평가 (검색결과 일치도)→ 키워드와 결과의 정합성, 예: ‘치킨’ 검색 시 상위에 리뷰/배달비 기준의 적절한 가게가 노출되었는지3. 검색 필터 기능 성과 지표검색 필터 사용 활성화 및 성과를 측정하는 방법필터 사용률→ 검색 유저 중 필터 기능을 사용한 비율필터 사용 시 CVR 변화→ 필터 사용 전/후 구매 전환율 비교필터별 클릭률 및 장바구니 추가율→ 예: ‘배달비 낮음’ 필터 사용 시 어떤 가게들이 클릭되었는가4. 배달 서비스에서 가장 중요한 지표배달 서비스의 전반적 성과를 확인하기 위한 핵심 지표가맹점 가입률→ 플랫폼 규모 확대의 핵심주문 건수 (배달 트래픽)→ 실제 수익을 좌우하는 트래픽 지표장바구니 담기 비율→ 구매 의사 형성의 선행지표배달 취소율 (가드레일 지표)→ 낮을수록 고객 경험 품질이 높다는 지표배달 시간 / 고객 후기 품질→ 배달 품질 및 고객 만족도를 반영5. 추천 알고리즘 성능 지표추천 알고리즘이 잘 동작하고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핵심 지표CTR (추천 상품 클릭률)→ 추천 상품이 사용자 관심을 얼마나 끌었는지CVR (추천→구매 전환율)→ 추천 결과가 구매로 이어졌는지카테고리 적합성→ 사용자 속성(성별, 나이 등)에 맞는 추천을 했는지→ 예: 여성 사용자에게 남성옷 추천 빈도 낮아야 함스크롤 뎁스 / 노출시간→ 추천 섹션이 얼마나 오래, 깊이 탐색되었는지유사 사용자와의 교차 추천 성과→ 나와 비슷한 사용자가 좋아한 상품이 효과적인가?6. 여러분들이 자주 사용하는 서비스의 지표서비스 1: 똑똑보카 (영어 학습 + 앱테크 서비스)1. 가장 중요한 지표: 광고 클릭률정의: 메인화면 또는 퀴즈 중간에 노출된 광고 대비 실제 클릭 비율이유: 똑똑보카의 수익모델(BM)은 광고 기반이며, 광고 클릭이 곧 수익으로 연결되므로 가장 핵심적인 지표2. 추가로 확인해야 할 지표광고 유지율→ 광고 유입 흐름 중 계속 유지 비율→ 광고 시청 시작 후 강제 종료하거나 앱을 나가버리는 비율로, 사용자 경험 저하나 보상 설계 문제를 점검할 수 있음연속 학습률→ 사용자가 며칠 연속으로 학습에 참여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영어 학습 앱으로서의 핵심 가치(지속적 학습)를 반영하며, DAU보다 질적인 사용자 유지 관리를 측정할 수 있음서비스 2: 유튜브 (유튜브 프리미엄으로 생각해보기)1. 가장 중요한 지표: 유튜브 프리미엄 가입률정의: 전체 사용자 중 유튜브 프리미엄에 가입한 비율이유: 유튜브의 수익원 중 광고 외 안정적인 구독 기반 수익을 의미하며, 장기적인 수익성과 만족도를 반영2. 추가로 확인해야 할 지표프리미엄 해지율→ 프리미엄 가입 후 일정 기간 내 해지하는 비율→ 사용자가 프리미엄에 만족하지 않았다는 신호로, 서비스 개선에 필요한 인사이트 제공추천 동영상 클릭률→ 유튜브가 메인화면, 사이드바, 자동재생 등을 통해 추천한 동영상의 클릭 비율→ 유튜브의 핵심 경쟁력인 추천 알고리즘 성능을 확인할 수 있는 핵심 지표7. 퍼널 개선 프로젝트문제현재 가입 퍼널의 전환율이 약 20%로 낮은 상태입니다.이를 개선하기 위해 온보딩 기능을 퍼널 안에 추가했으며, 온보딩이 가입 전환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파악하고자 합니다.제안 아이디어온보딩을 가입 후가 아닌 가입 전으로 배치하는 전략대부분의 서비스는 ‘가입 → 온보딩’ 흐름을 따르지만,오히려 ‘온보딩 → 가입’ 흐름이 사용자에게 서비스에 대한 확신을 줄 수 있다고 판단합니다.예를 들어 일부 모바일 게임은 닉네임만 정하고 바로 체험을 시작하게 한 후, 일정 시점에 가입을 유도합니다.사용자가 실제 서비스를 경험한 뒤에 가입을 유도하는 방식은 전환율을 높이는 데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온보딩 효과 측정을 위한 핵심 지표온보딩 완료 후 가입 전환율온보딩을 완료한 사용자 중 가입까지 이어진 비율온보딩이 실제 가입 의사 형성에 도움이 되었는지를 측정온보딩 이탈률온보딩 도중 앱을 종료하거나 더 이상 진행하지 않은 비율온보딩 자체의 UX 문제나 피로도를 진단가입 전 체류 시간 / 페이지 뎁스가입 전에 사용자가 체험한 화면 수, 머무른 시간온보딩 체험이 몰입감을 주고 있는지를 간접적으로 측정A/B 테스트: 기존 퍼널 vs 온보딩 우선 퍼널두 버전을 나눠 퍼널 전환율을 비교 실험온보딩 전략 변경이 실제 전환율 개선으로 이어지는지 검증결론온보딩을 먼저 제공하면 사용자는 서비스를 직접 체험해볼 수 있고,그로 인해 “이 정도면 가입해볼 만하네”라는 확신을 갖고 자연스럽게 전환될 수 있습니다.따라서 기존의 ‘가입 → 온보딩’ 패턴 대신, ‘온보딩 → 가입’ 흐름을 실험해보고 그 효과를 위 지표들로 측정하는 것이 전략적으로 유의미합니다.
-
해결됨LangGraph를 활용한 AI Agent 개발 (feat. MCP)
create_react_agent, retriever요약 문제점
안녕하십니까 선생님 강의 잘 듣고있습니다.만약 create_react_agent에 tool이 vectordb retriever를 수행 할 때 retriever의 문서의 내용이 너무 많은 context를 가지고 있다면 llm이 리트리버한 결과를 바탕으로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하지 않고 리트리버 문서를 요약해서 답변으로 출력합니다. 왜 그런건지 궁금합니다. from langgraph.prebuilt import create_react_agent @tool def retriever_tool(query: str)->List[Document]: """ 이 도구는 HR 데이터베이스에서 정보를 검색합니다. """ return retriever.invoke(query) tools = [retriever_tool] research_agent = create_react_agent( model = llm, tools = tools, prompt=(""), )
-
미해결[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작업형2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작업형2 지문에 보면 문제마다 아래와 같은 평가 지표들이 있는데.여러 처리를 통해 평가지표가 높은 모델이나 처리등으로 수정을 하겠지만혹시 해당 평가지표는 꼭 구하지 않아도 되는건지 궁금합니다.즉, 해당 평가 지표는 구하지 않고 그냥 결과 파일(result.csv)만 제출하는 코드를 작성해도 되는건지요.평가 지표: RMSE (Root Mean Squared Error)평가 지표: ROC-AU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