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40
답변 2
0
네 정확합니다.
평가지표는 내가 확인하기 위함이지 시험 점수 채점과는 무관합니다.
만약 평가지표를 확인하지 않는다며 검증데이터를 분리할 필요 없고
전체 데이터를 학습하고 예측한 후, 제출하면 됩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IMS님의 질문에 대한 답변을 드리겠습니다. 자격증 시험에서 작업형 2를 수행할 때, 주어진 문제의 평가 지표는 해답에 대한 공식적인 채점 방법입니다. 그러나 시험장에서 코드 작성 시 반드시 평가지표를 구할 필요는 없으며, 결과 파일(result.csv)만 올바른 형식으로 제출하면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다만, 시험 준비 및 연습 과정에서는 평가 지표를 직접 계산해 보는 것이 유익합니다. 이렇게 하면 모델의 성능을 스스로 평가할 수 있으며, 제출 전에 예측 결과의 신뢰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실제 시험에서는 제출한 result.csv
파일로 채점이 이루어지며, 내부적으로 평가 지표는 채점 과정에 사용됩니다. 실제 수험 환경에서 평가지표를 구하지 않고 제출해도 문제가 되지 않지만, 연습 과정에서는 지표를 계산해 보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유사한 질문 및 답변 사례가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작업형 2 시험에서 제출 시 평가를 꼭 해야하나요 ?”에서는 RMSE나 ROC-AUC와 같은 평가 지표를 시험장에서는 궁극적으로 구하지 않아도 된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작업형2에서 RMSE나 정확도 등 평가 코드는 주석 처리하면 안되나요?”에서도 채점 과정이 결과 CSV 파일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평가지표를 필수적으로 산출할 필요는 없다고 하며, 연습 과정에서는 지표를 계산해보는 습관을 기를 것을 권장합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너무 궁금한 부분있는데, 답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