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ElasticSearch Essential
하루 100GB 로그를 30기간 저장하는 클러스터 예시중 질문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오픈서치 샤드와 노드 구성 관련해서 질문이 있는데요,강의에서 말씀해주신 예시를 다시 계산해보니 뭔가 안 맞는 것 같아서요.하루 100GB 로그, 30일 보관, 레플리카 1로 설정했을 때전체 저장공간: 6,000GB인덱스별 샤드 최대 크기: 10GB데이터 노드: 10개노드당 가져야 할 디스크 크기 : 600GB이렇게 계산하셨는데, 결국에는 인덱스별 프라이머리 샤드개수가 10개고, replica까지 포함하면 20개니까 실제로는 노드 하나에 샤드 2개(프라이머리+레플리카)씩 들어가고 각 샤드 최대 크기가 10GB라면 노드당 최대 20GB밖에 저장이 안 되는 거 아닌가요?그럼 하루에 600GB를 저장하려면 샤드 1개당 최대크기가 최소 300GB는 되어야 할 것 같은데... 제가 잘못 이해한 건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파이썬 알고리즘 트레이딩 파트1: 알고리즘 트레이딩을 위한 파이썬 데이터 분석
local 환경에서 수업을 진행해도 무리가 없을까요?
local 사양이 괜찮은 편이여서 그대로 진행하려고 합니다. 괜찮을련지요? 기존에 수업을 듣다가 프로그래밍에 관심이 생겨서, C언어 기본, C++ 자료구조 및 알고리즘을 제대로 학습한 후에 돌아왔습니다. 다시 수강해보겠습니다~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2025 년 1회 구조체와연결리스트 문제누락
5페이지 구조체와연결리스트 해설 누락된것같습니다.
-
미해결죽음의 Spring Batch: 새벽 3시의 처절한 공포는 이제 끝이다.
FaultTolerant의 retryLimit() 횟수 질문
킬구형 안녕, Fault Tolerant 쪽에서,retryLimit()을 설명해줄 때만약 retryLimit 값이 3일경우, "첫번째 호출시도 1번, 재시도 호출 2번"으로 총 3번이 호출된다고 했잖아.재시도 횟수는 항상 retryLimit - 1 이라 그랬고. 근데 왜 "ItemProcessor의 예외 발생 시 재시도 - 아이템 단위로 재시도 관리"의 마지막 호출 결과 찍어준 부분에서, retryLimit()은 3인데 왜 ItemProcessor는 4번이 호출되는거야?위에 설명한대로라면 3번만 호출되어야 하는거 아냐?
-
미해결
fillna 방식 문의
안녕하세요. 빅분기 교재를 구입해서 연습문제를 풀어보고있는데요p164df['view'].fillna(min,inplace=True) 라고 풀이에 되어있는데결측치를 원본에서 직접수정하는 코드라 그런건지코랩에서 오류가 나기도 하고 이 문장 대신 시험에서df['view'] = df['view'].fillna(min)으로 써도 무방한건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시험환경test 제2유형
강사님 안녕하세요.강사님께서 말씀해주신 랜포 + train, test = train.align(test, join='left', axis=1) 하고나서에러메시지가 뜨길래 추가적인 fillna(0)를 해주고, 아래와 같이 작성했는데요 문제에서 제시한 예시와 제 답안의 수치가 너무 차이가 많이납니다.어떤부분이 문제일까요? ㅜ_ㅠ 확인 부탁드립니다.isnull 에 무조건 0채우라고해서 fillna(0)한거밖에 차이가 없습니다. import pandas as pdtrain = pd.read_csv("data/customer_train.csv")test = pd.read_csv("data/customer_test.csv")# print(train.info())# print(test.info())train = train.fillna(0)test = test.fillna(0)# df.isnull().sum()target = train.pop('총구매액')train = pd.get_dummies(train)test = pd.get_dummies(test)train, test = train.align(test, join='left', axis=1)train = train.fillna(0)test = test.fillna(0)from sklearn.model_selection import train_test_splitx_tr, x_val, y_tr, y_val = train_test_split(train, target, test_size=0.2, random_state=0)from sklearn.ensemble import RandomForestRegressorrf = RandomForestRegressor(random_state=0)rf.fit(x_tr, y_tr)pred = rf.predict(test)submit = pd.DataFrame({'pred':pred})submit.to_csv('result.csv', index=False)ans = pd.read_csv('result.csv')print(ans) 저장
-
미해결
시험환경test 제2유형
강사님 안녕하세요. 강사님께서 말씀해주신 랜포 + train, test = train.align(test, join='left', axis=1) 하고나서 에러메시지가 뜨길래 추가적인 fillna(0)를 해주고, 아래와 같이 작성했는데요 문제에서 제시한 예시와 제 답안의 수치가 너무 차이가 많이납니다. 어떤부분이 문제일까요? ㅜ_ㅠ 확인 부탁드립니다. isnull 에 무조건 0채우라고해서 fillna(0)한거밖에 차이가 없습니다. import pandas as pdtrain = pd.read_csv("data/customer_train.csv")test = pd.read_csv("data/customer_test.csv")# print(train.info())# print(test.info())train = train.fillna(0)test = test.fillna(0)# df.isnull().sum()target = train.pop('총구매액')train = pd.get_dummies(train)test = pd.get_dummies(test)train, test = train.align(test, join='left', axis=1)train = train.fillna(0)test = test.fillna(0)from sklearn.model_selection import train_test_splitx_tr, x_val, y_tr, y_val = train_test_split(train, target, test_size=0.2, random_state=0)from sklearn.ensemble import RandomForestRegressorrf = RandomForestRegressor(random_state=0)rf.fit(x_tr, y_tr)pred = rf.predict(test)submit = pd.DataFrame({'pred':pred})submit.to_csv('result.csv', index=False)ans = pd.read_csv('result.csv')print(ans)
-
미해결자바 개발자를 위한 코틀린 입문(Java to Kotlin Starter Guide)
범위 비교 질문
안녕하세요.범위를 비교하는 방식의 성능차이에 대해서 궁금한데요.1번1<=x && 3>=x2번x in 1..31번방식에 비해 2번방식은 수열을 순회하면서 수열에 포함 여부를 확인하게 되는 방식일거 같은데, 제 예상이 맞을까요? 그렇다면 성능상 더 좋지 않을거 같아서요.감사합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예시문제 작업형1(ver. 2025)
예시문제 작업형1(ver.2025) 문제풀어보니강의내용과 실제 데이터 시험환경 금액이 다릅니다. 체험유형사이트가 data를 업데이트 한것 같은데 맞나요? 아니면 제가 지금 잘못풀어낸건가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왜 변수는 오버라이딩 불가능하고, 메서드는 오버라이딩이 가능한가요?
[질문 내용]변수는 오버라이딩이 불가능한 반면, 메서드는 오버라이딩이 가능한 이유가 궁금합니다.메서드는 가상테이블(vtable)을 가지고서 실제 메서드 호출시 파라미터로 넘어온 주소값을 기준으로 동적으로 메서드를 찾아서이고,반면 변수는 가상테이블이 아닌 현재 참조 변수의 타입을 기준으로 값이 정해져있기 때문일까요?자바에서 모든 인스턴스 메서드가 vtable 을 통해 호출된다고 이해하면 될까요?
-
미해결홍정모의 따라하며 배우는 C++
Lecture 클래스 멤버변수 명명 관련
멤버변수에 m_을 붙여주는 것이 강제되는 것이 아니라는 걸 알지만 teacher와 students의 경우 m_을 붙이지 않은것이 혹시 의도가 있으셨던건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작업형2, 작업형3 pd.get_dummies시 drop_first 유무
작업형2 할때는 pd.get_dummies(df) 할때 drop_first가 들어가지 않았었는데 작업형3 강의에서는다중공선성을 피하기 위해pd.get_dummies(df, drop_first=True)넣으라고 되어있는데 각 유형별로 저렇게 나눠서 꼭 해야하나요?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궁금한게있습니다!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질문과 관련된 영상 위치를 알려주면 더 빠르게 답변할 수 있어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2개의 파일, 3개의 파일도 연습해봐야 한다고 말씀하셨는데 시험에서 train, test 데이터 외에 다른 파일이 있을수도 있다는 말씀이신건가요?? 만약 그렇다면 어떤식으로 데이터를 나눠야하고 그래야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ㅜㅜ 추가로 마지막에 y_test 데이터는 따로 만들어야하는 데이터인지도 궁금하구요 추가로 랜덤포레스트랑 lightgbm 말고 xgboost 도 꼭 알아야 하는건가요?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기출7회 작업형3번
[기출7회, 작업형3번, 문제 1번]문제: 주어진 조개 데이터 300개 중 앞에서부터 210개는 train 데이터로 만들고, 나머지 90개는 test데이터로 만든다. 강의 해설 :train = df.iloc[:210] test = df.iloc[210:]저의 풀이train = df[:int(len(df)*0.7)] test = df[:int(len(df)*0.3)]저의 풀이로 진행했을 경우 1-1, 1-2번 답은 강의와 동일한데1-3번 오류율 구할때 답 차이가 나네요 ㅠ강의 0.478저의 답 : 0.5 train = df[:int(len(df)*0.7)]test = df[:int(len(df)*0.3)]이렇게 분리하면 안되는걸까요?
-
미해결React Native with Expo: 제로초에게 제대로 배우기
탭 전환 안됨
강의 잘 따라가다가 로그인까지 성공했는데 20강부터 갑자기 add,activity,user탭을 눌러도 전환이 안돼요.. home이랑 search만 전환이 됩니다. 에러도 안떠서 어디부터 잘못된건지 감이 안 오는데 어떤 파일을 확인해야 할까요?app/(tabs)_layout.tsx 입니다import { Ionicons } from "@expo/vector-icons"; import { type BottomTabBarButtonProps } from "@react-navigation/bottom-tabs"; import { Tabs, useRouter } from "expo-router"; import { useContext, useRef, useState } from "react"; import { Animated, Modal, Pressable, Text, TouchableOpacity, View } from "react-native"; import { AuthContext } from "../_layout"; export default function TabLayout(){ const router=useRouter(); const [isLoginModalOpen,setIsLoginModalOpen]=useState(false); const {user}=useContext(AuthContext); const isLoggedIn = !!user; const openLoginModal=()=>{ setIsLoginModalOpen(true); }; const closeLoginModal=()=>{ setIsLoginModalOpen(false); }; const toLoginPage= ()=>{ setIsLoginModalOpen(false); router.push("/login"); } const AnimatedTabBarButton=({ children, onPress, style, ...restProps }: BottomTabBarButtonProps)=>{ const scaleValue=useRef(new Animated.Value(1)).current; const handlePressOut=()=>{ Animated.sequence([ Animated.spring(scaleValue,{ toValue:1.2, useNativeDriver:true, speed:200, }), Animated.spring(scaleValue,{ toValue:1, useNativeDriver:true, speed:200, }), ]).start(); } return ( <Pressable onPress={onPress} onPressOut={handlePressOut} style={[{ flex: 1,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 style]} android_ripple={{ borderless: false, radius: 0 }} > <Animated.View style={{ transform: [{ scale: scaleValue }] }}> {children} </Animated.View> </Pressable> ); } return ( <> <Tabs backBehavior="history" screenOptions={{ headerShown:false, tabBarButton: (props)=><AnimatedTabBarButton {...props}/>, }} > <Tabs.Screen name="(home)" options={{ tabBarLabel:()=>null, tabBarIcon:({focused})=>( <Ionicons name="home" size={24} color={focused ? "black":"gray"}/> ), }} /> <Tabs.Screen name="search" options={{ tabBarLabel:()=>null, tabBarIcon:({focused})=>( <Ionicons name="search" size={24} color={focused ? "black":"gray"}/> ), }}/> <Tabs.Screen name="add" listeners={{ tabPress:(e)=>{ e.preventDefault(); if(!isLoggedIn){ openLoginModal(); } } }} options={{ tabBarLabel:()=>null, tabBarIcon:({focused})=>( <Ionicons name="add" size={24} color={focused ? "black":"gray"}/> ), }} /> <Tabs.Screen name="activity" listeners={{ tabPress:(e)=>{ e.preventDefault(); if(!isLoggedIn){ openLoginModal(); } }, }} options={{ tabBarLabel:()=>null, tabBarIcon:({focused})=>( <Ionicons name="heart-outline" size={24} color={focused ? "black":"gray"}/> ), }}/> <Tabs.Screen name="[username]" listeners={{ tabPress:(e)=>{ e.preventDefault(); if(!isLoggedIn){ openLoginModal(); } }, }} options={{ tabBarLabel:()=>null, tabBarIcon:({focused})=>( <Ionicons name="person-outline" size={24} color={focused ? "black":"gray"}/> ), }}/> <Tabs.Screen name="(post)/[username]/post/[postID]" options={{ href:null, }} /> </Tabs> <Modal visible={isLoginModalOpen} transparent={true} animationType="slide" > <View style={{ flex:1, justifyContent:"flex-end", backgroundColor:"rgba(0,0,0,0.5)" }}> <View style={{backgroundColor:"white",padding:20}}> <Pressable onPress={toLoginPage}> <Text>Login Modal</Text> </Pressable> <TouchableOpacity onPress={closeLoginModal}> <Ionicons name="close" size={24} color='#555'/> </TouchableOpacity> </View> </View> </Modal> </> ); }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안녕하세요 주말코딩님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주말코딩님. 저는 완전 문과 노베이스고 지금은 대기업 하청 전산실 OP로 일하면서 정보처리기사 실기 시험을 주말코딩님 강의를 보며 준비해왔습니다. 주말코딩님의 강의를 보면서 23/24년도의 기출 혹은 그걸 기준으로 한 다른 강좌 실기 코딩 문제를 풀었을 때 어느 정도 자신감과 이해를 쌓을 수 있어 좋았는데 25년도 코딩 문제에선 자바 static 문제?, 예외처리, c 아스키 문제 같은 것들은 이해도 잘 되고 맞췄지만 이외 문제들은 싸그리 손도 못 대는 수준이었거든요. 4-50점 사이로 불합한 거 같은데 지금 시점에서 어떤 식의 학습, 방향성이 필요할까요? 또 기사에서 한계를 느끼고 저 같은 경우 실무에서 아예 관련 내용을 다룰 일 없이 단순 업무 위주인데 기사에서 한계를 느끼면 주말코딩님의 강의로 산업기사 대비를 해도 괜찮을지요. 좋은 강의 합리적으로 제공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미해결Readable Code: 읽기 좋은 코드를 작성하는 사고법
오버 엔지니어링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어떤 부분이 고민인지, 무엇이 문제인지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 보세요.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안녕하세요. 우빈님인프런 워밍업 클럽 덕분에 우빈님 강의를 끝까지 수강 중에 있는 러너입니다! 오버 엔지니어링 강의에서 오버 엔지니어링을 경계하고 적재적소에 리팩토링 강의에서 배웠던 것들을 써야한다. 이건 '경험'의 차원이라고 말씀하셨는데 실무에서 객체지향으로 개발하지 않는 경우에는 따로 '경험'을 쌓아야하는데 우빈님 강의 외에 적절하고 정확한 경험을 쌓을 수 있는 방법이 따로 있을까요? 간접 경험이라도 충분히 쌓을 수 있을 만한 방법이 있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작업2
작업2유형에서데이터 전처리 과정중 인코딩을 할때어떨때는 pd.concat([train, test])로 데이터를 합치고 할때가 있고 어떨때는 바로 인코딩하던데 기준이 어떻게 되나요? 좀 헷갈려요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해당 문제 코드 작성 문의
#print(train.shape, test.shape) #print(train.isnull().sum()) #print(test.isnull().sum()) Xtrain = train.drop(['ID', 'Segmentation'], axis = 1) ytrain = train['Segmentation'] Xtest = test.drop(['ID'], axis = 1) test_ID = test['ID'] col_cat = Xtrain.select_dtypes(include = 'object').columns col_num = Xtrain.select_dtypes(exclude = 'object').columns # 수치형 스케일링 from sklearn.preprocessing import MinMaxScaler, OneHotEncoder scaler = MinMaxScaler() Xtrain[col_num] = scaler.fit_transform(Xtrain[col_num]) Xtest[col_num] = scaler.transform(Xtest[col_num]) # 범주형 인코딩 encoder = OneHotEncoder(handle_unknown = 'ignore', sparse_output = False) Xtrain_ohe = encoder.fit_transform(Xtrain[col_cat]) Xtest_ohe = encoder.transform(Xtest[col_cat]) from sklearn.model_selection import train_test_split X_train, X_val, y_train, y_val = train_test_split(Xtrain_ohe, ytrain, test_size = 0.2, random_state = 2002) from sklearn.ensemble import RandomForestClassifier model = RandomForestClassifier() model.fit(X_train, y_train) y_pred = model.predict(X_val) y_test = model.predict(Xtest_ohe) submit = pd.DataFrame({'ID' : test_ID, 'y_test' : y_test}) submit.to_csv('0000.csv', index = False) submit2 = pd.read_csv('0000.csv') print(submit2) 이정도 수준으로 코딩 작성했는데 큰 문제 없겠죠? 중급 ~ 고급사이로 인지됩니다 제가 생각하기엔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랜포 회귀/분류구분
제2유형 랜포로 일관되게 풀건데요. 분류 : RandomForestClassifier회귀 : RandomForestRegressor 구분을 어떻게 진행할까요? 문제에서RSME 등과같은 오류율(- E로)끝나는 검증방법 제시하면 회귀로 풀면되고, ROU-AUC / F1등 구분하는 경우 분류로 풀 예정입니다. 추가적으로 ROU-AUC는 predic_proba 해줘야겠네요. ㅎㅎ이렇게 구분하는게 맞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