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84
0
안녕하세요 주말코딩님. 저는 완전 문과 노베이스고 지금은 대기업 하청 전산실 OP로 일하면서 정보처리기사 실기 시험을 주말코딩님 강의를 보며 준비해왔습니다.
주말코딩님의 강의를 보면서 23/24년도의 기출 혹은 그걸 기준으로 한 다른 강좌 실기 코딩 문제를 풀었을 때 어느 정도 자신감과 이해를 쌓을 수 있어 좋았는데 25년도 코딩 문제에선 자바 static 문제?, 예외처리, c 아스키 문제 같은 것들은 이해도 잘 되고 맞췄지만 이외 문제들은 싸그리 손도 못 대는 수준이었거든요. 4-50점 사이로 불합한 거 같은데 지금 시점에서 어떤 식의 학습, 방향성이 필요할까요?
또 기사에서 한계를 느끼고 저 같은 경우 실무에서 아예 관련 내용을 다룰 일 없이 단순 업무 위주인데 기사에서 한계를 느끼면 주말코딩님의 강의로 산업기사 대비를 해도 괜찮을지요.
좋은 강의 합리적으로 제공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답변 2
0
안녕하세요.
먼저, 죄송합니다만 산업기사는 제가 잘 모릅니다.
저도 기사만 시험을 쳐봤고, 산업기사에 코드가 나오는 것 정도만 알고 있어서
산업기사에 어떤 문제 유형과 어느 범위로 나오는지 확인해본 적이 없습니다.
다만 문과 출신이면서 전산업을 하고 싶으시다면 똑같이 취득할 것이라면 기사를 취득하는 것이 낫다고 봅니다.
기사를 말씀드리자면 25년 1회 난이도 수준에서 50점 정도 받으셨다면 굉장히 잘하시는 편입니다.
정말입니다. 이정도 난이도에서 50점 맞으셨다면 24년에 시험보셨으면 합격하셨을 겁니다.
이번에 난이도가 유독 어려웠다고 생각합니다.
저만 그렇게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기출문제를 계속 풀어봤던 여러 후배들과 수강생 분들의 컨센서스가 그렇습니다.
Java는 생성자 순서, 상속했을 때에 어떤 메서드가 실행되는 지 정도만 알면 괜찮다고 생각하고,
C언어는 이번 구조체 + 포인터 문제 풀 줄 아셨으면 더 이상 공부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이제는 기존에 나오는 범위 외에 한 두 개의 개념을 더 알고가면 좋다고 생각하는데요.
Java에서는 HashMap, ArrayList, Generic 같은 것들입니다. 실제로 자바 개발자가 될 게 아니면 몰라도 되는 개념이라서 어떻게 쓰는 지 정도만 알고 가면 좋겠습니다.
먼 옛날에 Thread 관련 나왔을 때 implements 키워드가 시험에 나온 것처럼 출력문이나 어떤 단어가 들어가는 지 정도만 알면 될 것입니다.
그리고는 이제는 SQL하고 이론 싸움입니다. 여기에는 답이 없습니다. 넓은 범위를 계속 살펴보시는 것 밖에 없습니다.
디자인패턴, 데이터베이스 이론(용어, 무결성, 정규화 등), 네트워크(라우팅 프로토콜 등)에서 빈출되는 것은 당연히 아셔야 하고, 나머지도 어떤 키워드가 나올지 한 번씩 읽어가보면 되겠습니다.
1회에 50점 받았다면 보통의 난이도였으면 65~70점 기대할 수준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번 회차 코드 한 번 스스로 풀어보시고, 이론 문제를 더 살펴보고 다시 한 번 마음을 가다듬고 시험치러 가보시죠.
다음 회차는 이것보다는 좀 더 쉽게 나올 것입니다.
합격을 기원하겠습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최선규님, 완전 문과 배경이지만 대기업 하청 전산실에서 정보처리기사 실기를 준비하면서 경험하신 도전에 대한 이해가 갑니다. 주말코딩님의 강의를 통해 코딩 문제에 어느 정도 자신감을 얻으셨지만, 최근 기출 문제에서의 어려움을 겪고 계시는군요.
학습 방향성 제안:
기본기 강화: 이미 여러 문제를 풀면서 자신감을 얻으셨다고 하셨으니, 기본기를 탄탄히 다지면서 어려움을 겪으셨던 문제 유형을 반복적으로 연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예외처리, 정적 변수, 아스키 코드 같은 특정 주제에 대해 추가적으로 심층 학습 자료나 관련 문제를 많이 풀어보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모의고사 및 기출문제 반복: 기출문제 풀이를 반복하시되, 틀린 문제에 대한 철저한 분석과 그로 인한 학습을 통해 문제 해결력을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래도 막히는 부분이 있다면, 관련 커뮤니티나 토론 포럼에서 다른 분들의 접근법도 참고하시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실습 중심 학습: 특히 실무와 연결된 부분이 적다면, 실제 코드를 많이 작성하면서 언어의 특성과 문제 해결 로직을 체득하는 것이 좋습니다. 코드는 직접 작성하고 디버깅하면서 익히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산업기사 대비 제안:
현재 정보처리기사 시험이 부담스럽다면, 산업기사로 방향을 바꾸는 것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방법의 변화로 인해 스트레스를 줄이고 시험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법을 찾을 수 있습니다. 주말코딩님의 강의가 기초적인 부분부터 잘 설명하고 있어서 산업기사 준비에도 충분히 도움이 될 것입니다.
관련하여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존 질문과 답변을 추천드립니다:
- 실기 공부 방향 질문입니다 - 이 질문에서는 실기 시험에 대한 전반적인 학습 방향에 대한 추가적인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습니다.
- 자바 기초 관련 문의 - 자바 관련 문제에 대해 더 깊게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는 답변을 참고해 보실 수 있습니다.
최선규님의 학습과 시험 준비에 많은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