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LangGraph를 활용한 AI Agent 개발 (feat. MCP)
human-in-the-loop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human-in-the-loop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랭그래프에서 워크플로우를 정의할 때,LLM응답 후 reivew 작업을 노드에 추가하여 human-in-the-loop를 구현할 수 있다고 이해하였습니다. 이때, LLM응답이라는 작업이 끝나지 않아도(응답이 stream으로 생성되는 도중에도)사람이 review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을까요?생성되던 응답을 일시 정지 시키고,응답 history를 토대로 tool이나 args를 변경시킬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TS/JS 디자인 패턴 with Canvas: 제로초에게 제대로 배우기
[프론트엔드 문서화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 제로초님.프론트엔드 문서화 관련하여 질문을 드릴 게 있습니다.저희 회사에서 단기간에 규모가 큰 프로젝트를 진행하다보니 AI의 도움을 빌려 만들기는 만들었는데 문서화가 제대로 되지 않은 상태입니다.최근 한 명의 백엔드 개발자가 프론트엔드도 함께 개발을 하게 되어 문서화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는데, 문서화에 대한 경험이 없어 제로초님께 여쭤봅니다.현재 폴더 구조는 FSD를 채택하여 개발 중입니다.구상중인 것은 Slice 단마다 문서를 만드려고 하는데,해당 Slice에 포함된 파일의 사용 방식(API input값, output 값 등)에 대해 작성하고, store(zustand)에 저장된 값을 적고, ui에서 필요한 정보값들에 대해서도 적어보려고 합니다.이렇게 모든 폴더에 정리하게 된다면 못해도 50개가 넘는 문서가 만들어지게 될텐데, 괜찮은 방법인지 확신하지 못하겠네요.(현재 회사에 있는 개발자분들은 딱히 관심이 없어보이십니다ㅠ)제로초님이라면 해당 문서에 어떤 내용을 담으실지 궁금합니다.그리고 프로젝트 전체를 소개하는 문서에는 Tech Stack, 프로젝트 구조 이외에 어떤 항목을 넣는 것이 좋을지도 궁금합니다.이 수업에서 배운 디자인패턴에 대해서도 작성하는 것이 좋을까요?
-
해결됨넓고 얕게 외워서 컴공 전공자 되기
자료구조 공부 언어
선생님 안녕하세요!저는 3년차 웹 FE 개발자(비전공)로 일하고 있습니다. 언급해주신 대로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공부를 최소 3개월 이상 제대로 해보려고 합니다. 자료구조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를 알기 위해서는 C언어로 공부하는 것이 좋다고 들은 적이 있는데, 이미 익숙한 자바스크립트로 친숙해진 다음 C언어로 학습하는 것이 좋을지 처음부터 C언어로 시작하는 것이 좋을지 여쭙습니다.그냥 시작하는 게 제일 중요할 것 같지만 그래도 선생님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
해결됨서버개발자 과제전형 완벽가이드 - 1편
AI 도구 활용에 대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강의 주제에 맞는지는 모르겠으나 강의 중에 코파일럿 이야기가 종종 나와서 여쭤봅니다. 요즘 AI 도구들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데,현재의 지식공유자 님께서는 실무에서 주로 어떤 도구들을 어떤 방식으로 활용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추가로 2편 제작 여부도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Next.js 완벽 마스터 (v15): 노션 기반 개발자 블로그 만들기 (with 커서AI)
private folders 와 전역 폴더
프로젝트 개발 중에, src/components 폴더에 재사용할 것들을 만들어서 사용하는 것과, src/app/_components 를 사용하는 것을 배웠는데, 둘의 사용성 차이가 있나요? 굳이 이 두 기능을 둘 다 사용을 할 필요가 있을까요? 오히려 하나만 사용하는게 좋지 않나 싶었습니다. 반드시 분리를 해야만 하는 특별한 이유가 있어서 굳이 분리를 하게 되는 것일까요?
-
미해결코드 5줄의 마법, 5줄 머신러닝 PyCaret: 데이터 분석 프로젝트에 AutoML 날개 달기
PyCaret의 장단점
PyCaret 외에 같은 목적을 가진 다른 라이브러리(예: SHAP, Yellowbrick)와 비교하면 어떤 장단점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
컬렉션의 개념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HTTP 메서드 활용 파트에서 URI 설계 개념을 알려주셨는데 컬렉션의 경우서버가 리소스의 URI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리소스 디렉터리로 나와 있는데 구체적인 예시가 어떻게 될까요?데이터베이스 안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내용들을 말하는 건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NestJS REST API 백엔드 완전 정복 마스터 클래스 - NestJS Core
DELETE 요청의 반환값은 어떤 기준으로 결정하는 게 좋을까요?
CRUD 중 DELETE 요청의 경우 어떤 기준으로 반환 타입을 정하는 게 좋을지 궁금합니다.제가 생각하기에는 아래 두 가지 방식이 있을 것 같습니다.강사님께서는 이러한 상황에서 어떤 기준을 표준으로 사용하시는지 궁금합니다.1. 일관된 응답return { success: true, data: null };CREATE, READ, UPDATE와 동일하게 성공 여부를 명시하고 data는 null로 처리하여 응답 구조를 통일하는 방식입니다.이렇게 하면 프론트엔드에서 일관된 형태로 응답을 처리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2. HTTP 표준 준수 (204 No Content)@HttpCode(204)응답 본문을 따로 내려주지 않고 상태 코드만 반환하는 방식입니다.이 경우 RESTful 표준에 부합하고 불필요한 네트워크 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 같습니다.다만 프론트엔드에서는 응답 본문이 없어 분기 처리가 필요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이 두 가지 방식 중에서 실무에서는 어떤 기준으로 선택하시는지 또는 프로젝트 성격에 따라 구분하는 기준이 있을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주문시스템으로 알아보는 분산트랜잭션
예시 코드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혹시 예시 코드 제공이 되나요?
-
미해결롱런하는 슈퍼 개발자가 되기 위한 필수 지식, IT 인프라 기초 총정리
데이터베이스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 데이터베이스 쪽 강의 들으면서 궁금한 부분이 있어 질문 남깁니다! 데이터베이스에는 크게 RDBMS 와 NoSQL 나뉠 수 있다고 했는데그럼 둘 중에 하나를 선택할 때 기준이 있을까요? 답변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컨트롤러는 모킹을 한 이유가 궁금합니다.
강사님은 Classicist 쪽에 속하셔서 Service를 테스트할 경우 Repo도 포함한다고 하셨었는데 Controller에서는 MockMvc를 활용하셔서 따로 테스트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컨트롤러 - 서비스, 레포지토리의 관계와 서비스 - 레포지토리의 관계에서 어떤 차이점 때문에 이렇게 구성하신 것인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코딩 없이 AI 자동화 전문가가 되는 법, n8n 완벽 가이드
31강, 공공데이터 API 접속
31강 공공데이터 API 를 사용하여 자동화하는 공부중인데요, 정부 전산센터 화재로 인해, 공공데이터 포털 접속이 되질 않아 실습을 할 수가 없네요^^공공데이터에 대해 관심이 많은데^^ 아쉽습니다... 실습을 하려면, 공공데이터 포털이 빨리 복구 되는 수 밖에 없겠죠??항상 열정적인 강의 감사드립니다..
-
해결됨카카오 개발자와 함께하는 워크플로우 기반의 대용량 트래픽 처리 기법 [ By. 비전공자 & Kakao 개발자 ]
전체적인 플로우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이론 부분을 제가 이해를 잘 못해서 질문드리는 것 같은데요,Kafka와 Debezium 까지의 전반적인 그림은 그려지는데temporal(acitivity나 workFlow클래스 등) 까지 합쳐졌을 때의 플로우가 잘 이해가 가지 않는데구상하신 아키텍처를 모두 합친 플로우가 궁금합니다!
-
미해결면접 전에 알고 가면 좋을 것들 - 신입 Java 백엔드 개발자편
Drive by download 공격에 대해 찾아보았는데, 맞게 이해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4. 운영과 보안 - XSS와 CSRF 공격을 막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강의를 보던 중에 drive by download 공격에 대해 공부해보라고 말씀해주셔서, 널널한 개발자님의 코멘트를 참고하고, LLM과 문답하며 이해한 내용을 적어보았습니다. 제가 이해한 내용이 맞는지 확인하고 싶어 질문을 남깁니다. 🙇♂ Drive-by Download는 웹사이트를 방문만 해도 사용자의 클릭이나 동의 없이 악성코드가 침투될 수 있는 공격입니다. (cf. drive by : '지나가면서 쏘는' 의미) 이 공격이 가능한 이유는 브라우저가 iframe이나 광고를 표시하기 위해 제3의 서버에서 JavaScript를 다운로드하여 실행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광고 네트워크나 외부 위젯이 해킹당하면, 정상적인 웹사이트를 통해서도 악성 코드가 전파될 수 있습니다. 과거(~2010년대 초반)에는 Flash Player 같은 플러그인의 취약점을 통해 시스템에 직접 접근이 가능했습니다.(cf. 지금은 사라진 Flash Player 플러그인이 성능을 위해 C/C++ 코드로 구현되어, 브라우저에서 JS 엔진이 아닌 플러그인 API를 통해 로드되어 실행되었습니다. 그래서 운영체제 수준의 바이너리로 동작할 수 있어, 보안상 더 위험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현재에는 브라우저 샌드박스 덕분에 브라우저에서 js로 할 수 있는 작업이 제한적이어서, Drive-by Download로 인한 피해가 크게 줄어들었다고 이해했습니다. 강의 내용 뿐만 아니라 강의 중에 추천해주신 기술 블로그를 보며, 시야가 넓어지는 느낌을 받았습니다.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미해결한 입 크기로 잘라먹는 타입스크립트(TypeScript)
유니온타입의개념 및 프로퍼티 접근
type Dog={ name:string, color:string } type Person={ name:string, language:string } let union1 : Dog | Person = { name:"", color:"", language:"" } console.log(union1.name) console.log(union1.color) 교집합은 이해가 너무 잘 됩니다. 질문1. 유니온타입이 온전히 Dog 이던가 / 온전히 Person 이던가 / 둘 다 포함된 객체이다 .제가 배운내용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질문2 .그런데 밑에 속성에 접근 할 때에는 왜 name 은 접근이 가능한데 color 는 접근이 안되는지 궁금해요질문3. 유니온타입은 Dog 또는 Person 둘 중 하나만 만족해야하는 건가요?? 다른자료를 찾다가 개념이 헷갈리네요
-
미해결38군데 합격 비법, 2025 코딩테스트 필수 알고리즘
배달의 민족 문제에서 효율적인 탐색 방법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해당강의 : 2주차;2-10. 2주차 끝&숙제 설명 강사님 안녕하세요.강의 중 두 번째 문제인 ‘배달의 민족 - 배달 가능 여부’ 문제를 풀이하며,아래와 같이 코드를 작성해보았습니다.def is_available_to_order(menus, orders): for order in orders: if order not in menus: return "주문 불가능" return "주문 가능"강의에서 설명하신 set()을 활용한 방식이 탐색 효율이 높다는 점은 잘 이해했습니다.이에 대해 생각해보며, 제가 작성한 방식도 리스트 탐색만으로 충분히 동작하여데이터 규모가 크지 않은 상황에서는 큰 성능 차이가 없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두 방식 모두 평균적인 입력 크기에서는 큰 차이가 없을 것 같은데,혹시 제가 사용한 방법도 일정 규모 이하의 데이터에서는 효율적인 접근으로 볼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또한, 실제 서비스 코드에서는 어떤 기준으로 set() 변환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한지 알고 싶습니다.
-
해결됨카카오 개발자와 함께하는 워크플로우 기반의 대용량 트래픽 처리 기법 [ By. 비전공자 & Kakao 개발자 ]
Temporal에 대해서 더 알고 싶어요.
교육을 듣다보니 Temporal에 대해서 더 알고 싶은데Temporal 공식 사이트는 너무 방대하고, 사용법 위주로 설명되어 있어서, 혹시 내부 아키텍처 같은 내용을 참고할 수 있는 자료가 있을까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기본편
강의에서 나온 IN 최적화 관련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이번 복합 인덱스3 강의에서 인덱스 활용 팁으로 범위 조건을 IN절로 바꿔 최적화하는 부분을 설명해 주셨습니다. IN이 마치 OR처럼 변화될 수 있다고 설명해 주셨고 실제 쿼리 실행 시에 이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강의 시간 18분 경) 그런데 이후 비유해주신 쿼리에서는 UNION ALL을 사용하셨습니다. 저는 OR과 UNION ALL이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생각했지만 실제로 눈으로 확인하고 싶어서 다음 세가지 쿼리를 모두 EXPLAIN, ANALYZE 해보았습니다. 1) 기존 IN 쿼리EXPLAIN ANALYZE SELECT * FROM items WHERE category IN ('패션', '헬스/뷰티') AND price = 20000;2) OR로 풀어낸 쿼리EXPLAIN ANALYZE SELECT * FROM items WHERE (category = '패션' AND price = 20000) OR (category = '헬스/뷰티' AND price = 20000);3) UNION ALL 로 풀어낸 쿼리EXPLAIN ANALYZE SELECT * FROM items WHERE category = '패션' AND price = 20000 UNION ALL SELECT * FROM items WHERE category = '헬스/뷰티' AND price = 20000; 그 결과 2)의 처리 cost는 1.41, 3)의 처리 cost는 0.7로 나타났으며, 1)은 2)와 동일하게 실행되었습니다. 여기서 다음 의문이 나타났습니다. 1) IN 최적화는 OR 또는 UNION ALL 방식으로 옵티마이저가 상황에 따라 선택하나요? 혹은 OR 방식으로만 처리하나요?2) OR, UNION ALL을 모두 사용할 수 있을 때, 언제 각각을 사용하는 것이 더 좋을까요? 그리고 위 경우에서는 왜 UNION ALL이 더 cost가 작았을까요?3) 만약 새로운 카테고리가 추가된다면 모든 IN 쿼리에 해당 카테고리를 추가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그래서 애플리케이션 계층(JPA 등으로)에서 category >= '패션'인 SELECT DISTINCT쿼리 1번, 해당 값을 통해 IN에 넣어주는 쿼리 1번, 총 2번 쿼리를 실행하는 방식으로 바꾼다면 기존 쿼리를 수정하지 않아도 괜찮을 것 같은데 실무면에서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긴 질문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아키텍쳐 선택의 순수한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토비님! 순수한 궁금증이 생겨서 질문 드립니다!아키텍처마다 장단점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프로젝트의 규모나 확장성 여부에 따라 어울리는 아키텍처가 다를 것 같은데요, 토비님은 현업에서 어떤 기준을 가장 중점적으로 두고 아키텍처를 선택하시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설계 1편, 현대적 데이터 모델링 완전 정복
실무에서 느린쿼리나 벡엔드 성능 테스트하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75강 인덱스 설계 - 실습 관련강의 중에 느린 쿼리를 로그 분석을 하거나 성능 테스트를 통해서 실제 쿼리 패턴과 성능을 측정해서 특정 컬럼에 인덱스를 적용해야 한다고 하셨는데요.로그를 하나씩 확인하면서 각 쿼리별로 비교하기가 조금 불편하고 어려울 것 같습니다. 또한 몇가지 쿼리 케이스만으로 성능을 일반화하기도 쉽지 않을 것 같구요.실무에서 느린쿼리나 다양한 벡엔드 성능 테스트를 수행하는 별도의 모니터링 프로그램이나 방법론이 존재하는지 궁금합니다.또한 저희 실습에서 사용한 MySQL에서는 어떤 식으로 테스트를 수행하면 좋을지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