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컨트롤러는 모킹을 한 이유가 궁금합니다.
작성
·
42
답변 2
0
안녕하세요, jaljayo85 님!
Controller 계층은 보시다시피 매우 얇은 계층으로, 비즈니스 로직이 없고, 파라미터의 검증 정도만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Controller를 테스트하고자 할 때는 상대적으로 무거운 비즈니스 로직을 담고 있는 Service를 mocking하는 것이 적절한 판단이라고 생각합니다.
반면 Service, Repository 는 두 레이어가 연합하여 비즈니스 로직을 전개하고 있으므로, (Repository의 기능도 단독 테스트로 보장함과 동시에) 통합 테스트를 작성하여 원하는 요구사항을 반영하고 있는지를 테스트한다고 이해해주시면 되겠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jaljayo85님.
컨트롤러와 서비스/레포지토리 관계에서의 테스트 방식 차이에 대한 질문을 주셨군요. 이 차이는 주로 테스트의 목적과 각 계층의 역할 때문에 발생합니다.
컨트롤러 테스트:
- 컨트롤러는 주로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을 받아 서비스 레이어에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컨트롤러의 주요 테스트 목적은 입력을 올바르게 처리하고, 적절한 응답을 받는지 확인하는 것입니다.
- 이를 위해 주로
MockMvc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HTTP 요청 및 응답 사이클을 모킹합니다. 이런 방식은 컨트롤러가 외부 의존성과 결합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테스트될 수 있게 합니다.
- 컨트롤러는 주로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을 받아 서비스 레이어에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컨트롤러의 주요 테스트 목적은 입력을 올바르게 처리하고, 적절한 응답을 받는지 확인하는 것입니다.
서비스/레포지토리 테스트:
- 서비스 레이어는 비즈니스 로직을, 레포지토리 레이어는 데이터 접근을 담당합니다. 서비스 레이어 테스트에서는 레포지토리와의 상호작용을 포함하는 통합 테스트가 중요합니다.
- 이는 비즈니스 로직이 데이터 처리와 긴밀히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실제 데이터베이스와 유사한 환경에서의 테스트가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비즈니스 로직이 제대로 동작하는지, 레포지토리 호출이 예상대로 수행되는지를 검증합니다.
- 서비스 레이어는 비즈니스 로직을, 레포지토리 레이어는 데이터 접근을 담당합니다. 서비스 레이어 테스트에서는 레포지토리와의 상호작용을 포함하는 통합 테스트가 중요합니다.
이러한 차이를 이해함으로써 각 계층의 테스트에서 어떤 부분이 중요한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관련하여 더 깊이 있는 설명은 다음의 유사한 질문들을 참조하실 수 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아하 감사합니다.
현재 계층이 가진 책임에 따라 모킹 테스트와 통합 테스트를 분리하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