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8
·
수정됨
1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강의 주제에 맞는지는 모르겠으나 강의 중에 코파일럿 이야기가 종종 나와서 여쭤봅니다.
요즘 AI 도구들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데,
현재의 지식공유자 님께서는 실무에서 주로 어떤 도구들을 어떤 방식으로 활용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추가로 2편 제작 여부도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답변 2
0
넵 2편제작 계획도(1편과는 다른 기술과 문제해결 중심으로) 있긴한데.. 격무와 개인사정으로 조금씩 미뤄지고있네요 😭
소식이 나온다면 게시판 등을 통해서 안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0
안녕하세요 정주님~ 질문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넵 말씀주신대로 강의에서 제가 AI도구도 언급을 했었죠!
저는 실무에서 주로 gpt(간단한질문용), grok(복잡한 로직) 을 자주사용하고 요즘은 cursor를 종종 사용하고있습니다. perplexity(출처찾기), gemini(글쓰기)도 종종 사용하고있습니다. 근데 다들 각자의 발전속도가 빨라서 어떨때는 차이없이 다 괜찮기도하더라구요~ 현재는 무료버전으로도 충분히 사용하고있습니다. 툴보다는 어떤 모델로 돌리느냐에 따라 퀄리티 차이가 많이 나구요 ㅎㅎ
사용방식은 코딩측면에서는 작성된 코드가 결점이 있는지 확인하거나 테스트작성에 주로 사용하고있습니다. IDE에 내장된 추천기능만 활용하더라도 굳이 물어보는 과정이 많이 필요없기도하구요. 시스템 스크립트작성이나 아주 반복적인 쿼리, 파일 작성에는 cursor를 활용해서 빠르게 작업합니다.
신규기능에 대한 설계나 프로젝트와의 연관성 (MSA 구조의 멀티프로젝트라면 서로간의 상호작용을 고려하면서 AI로 한번에 코딩하거나 하는게 힘들죠)이 필요한 부분들은 수작업으로 틀을 잡습니다. 그과정에서 연필과 종이를 많이 활용하고있네요 ㅎㅎ;
프롬프팅이 필요하다싶으면 종이, 머릿속에 그림을 미리 그려놓고 프롬프팅을 어떻게할지 리스트업을 한뒤에 진행하곤합니다.
참고로 처음배우는거라면 AI로 바로 쓰기보다는 직접 생각하고 타이핑을 하는과정을 한동안 거쳐보고 나서 AI를 활용하는게 더 좋다고 생각했기때문에, 처음배우는 분들을 위해서 직접 타이핑을 하면서 강의를 만들었었습니다 ☺
두서 없는 질문에 자세한 답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