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변경감지 로직이 실행되려면 @Transactional 이 필수인가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Transactionalpublic void updateItem(Long id, String name, int price, int stockQuantity) { Item item = itemRepository.findOne(id); item.setName(name); item.setPrice(price); item.setStockQuantity(stockQuantity);} 여기서 @Transactional 이 없으면 변경감지 로직이 발생하지 않나요? @Transactional 은 두개이상의 쿼리를 하나의 논리적인 단위로 묶어줄때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이 상황에서도 변경감지를 실행하기 위해 반드시 호출해주어야하나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어떤 상태를 준영속이라하는지 , 준영속 역할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준영속이란 한번은 영속상태였지만, 현재는 영속성 컨텍스트의 관리 대상이 아닌 엔티티인데db 에 저장될떄 pk 가 생기기 떄문에 객체에 식별자가 있으면 무조건 준영속 엔티티인가요?엔티티매니저에서 꺼내서 Detached되어 식별자가 셋팅되거나 아니면 새로운 객체에 id 값만 셋팅되어 있으면 준영속 상태볼 수 있나요?왜 준영속 상태는 따로 있나요? 비영속만 있어도 되지않나요? 무슨 이점이 있나요?
-
해결됨Spring Boot를 활용하여 채팅 플랫폼 만들어보기
JWTDecodeException 에러가 나옵니다.
알려주신데로 UserControllerV1.java에 어노테이션 추가하고 재기동한 뒤 검색 했는데...로그에com.auth0.jwt.exceptions.JWTDecodeException: The token was expected to have 3 parts, but got 1.이런 에러가 나옵니다.ㅠㅠ개발자 도구에는 아래와 같은 에러가 나옵니다. UserControllerV1.java는 이렇게 작성되어 있습니다. 어떤 부분을 더 확인해야 하는지, 어떤 부분이 문제 인건지 확인 부탁드립니다.ㅠㅠ **추가로 에러내용 전체입니다.com.auth0.jwt.exceptions.JWTDecodeException: The token was expected to have 3 parts, but got 1. at com.auth0.jwt.TokenUtils.splitToken(TokenUtils.java:21) ~[java-jwt-3.12.0.jar!/:3.12.0] at com.auth0.jwt.JWTDecoder.<init>(JWTDecoder.java:36) ~[java-jwt-3.12.0.jar!/:3.12.0] at com.auth0.jwt.JWTDecoder.<init>(JWTDecoder.java:32) ~[java-jwt-3.12.0.jar!/:3.12.0] at com.auth0.jwt.JWT.decode(JWT.java:45) ~[java-jwt-3.12.0.jar!/:3.12.0] at com.example.demo.security.JWTProvider.decodedJWT(JWTProvider.java:109) ~[!/:0.0.1-SNAPSHOT] at com.example.demo.security.JWTProvider.getUserFromToken(JWTProvider.java:123) ~[!/:0.0.1-SNAPSHOT] at com.example.demo.domain.user.controller.UserControllerV1.searchUser(UserControllerV1.java:43) ~[!/:0.0.1-SNAPSHOT] at java.base/jdk.internal.reflect.NativeMethodAccessorImpl.invoke0(Native Method) ~[na:na] at java.base/jdk.internal.reflect.NativeMethodAccessorImpl.invoke(NativeMethodAccessorImpl.java:77) ~[na:na] at java.base/jdk.internal.reflect.DelegatingMethodAccessorImpl.invoke(DelegatingMethodAccessorImpl.java:43) ~[na:na] at java.base/java.lang.reflect.Method.invoke(Method.java:568) ~[na:na] at org.springframework.web.method.support.InvocableHandlerMethod.doInvoke(InvocableHandlerMethod.java:255) ~[spring-web-6.1.13.jar!/:6.1.13] at org.springframework.web.method.support.InvocableHandlerMethod.invokeForRequest(InvocableHandlerMethod.java:188) ~[spring-web-6.1.13.jar!/:6.1.13] at org.springframework.web.servlet.mvc.method.annotation.ServletInvocableHandlerMethod.invokeAndHandle(ServletInvocableHandlerMethod.java:118) ~[spring-webmvc-6.1.13.jar!/:6.1.13] at org.springframework.web.servlet.mvc.method.annotation.RequestMappingHandlerAdapter.invokeHandlerMethod(RequestMappingHandlerAdapter.java:926) ~[spring-webmvc-6.1.13.jar!/:6.1.13] at org.springframework.web.servlet.mvc.method.annotation.RequestMappingHandlerAdapter.handleInternal(RequestMappingHandlerAdapter.java:831) ~[spring-webmvc-6.1.13.jar!/:6.1.13] at org.springframework.web.servlet.mvc.method.AbstractHandlerMethodAdapter.handle(AbstractHandlerMethodAdapter.java:87) ~[spring-webmvc-6.1.13.jar!/:6.1.13] at org.springframework.web.servlet.DispatcherServlet.doDispatch(DispatcherServlet.java:1089) ~[spring-webmvc-6.1.13.jar!/:6.1.13] at org.springframework.web.servlet.DispatcherServlet.doService(DispatcherServlet.java:979) ~[spring-webmvc-6.1.13.jar!/:6.1.13] at org.springframework.web.servlet.FrameworkServlet.processRequest(FrameworkServlet.java:1014) ~[spring-webmvc-6.1.13.jar!/:6.1.13] at org.springframework.web.servlet.FrameworkServlet.doGet(FrameworkServlet.java:903) ~[spring-webmvc-6.1.13.jar!/:6.1.13] at jakarta.servlet.http.HttpServlet.service(HttpServlet.java:564) ~[tomcat-embed-core-10.1.30.jar!/:na] at org.springframework.web.servlet.FrameworkServlet.service(FrameworkServlet.java:885) ~[spring-webmvc-6.1.13.jar!/:6.1.13] at jakarta.servlet.http.HttpServlet.service(HttpServlet.java:658) ~[tomcat-embed-core-10.1.30.jar!/:na] at org.apache.catalina.core.ApplicationFilterChain.internalDoFilter(ApplicationFilterChain.java:195) ~[tomcat-embed-core-10.1.30.jar!/:na] at org.apache.catalina.core.ApplicationFilterChain.doFilter(ApplicationFilterChain.java:140) ~[tomcat-embed-core-10.1.30.jar!/:na] at org.apache.tomcat.websocket.server.WsFilter.doFilter(WsFilter.java:51) ~[tomcat-embed-websocket-10.1.30.jar!/:na] at org.apache.catalina.core.ApplicationFilterChain.internalDoFilter(ApplicationFilterChain.java:164) ~[tomcat-embed-core-10.1.30.jar!/:na] at org.apache.catalina.core.ApplicationFilterChain.doFilter(ApplicationFilterChain.java:140) ~[tomcat-embed-core-10.1.30.jar!/:na] at org.springframework.web.filter.RequestContextFilter.doFilterInternal(RequestContextFilter.java:100) ~[spring-web-6.1.13.jar!/:6.1.13] at org.springframework.web.filter.OncePerRequestFilter.doFilter(OncePerRequestFilter.java:116) ~[spring-web-6.1.13.jar!/:6.1.13] at org.apache.catalina.core.ApplicationFilterChain.internalDoFilter(ApplicationFilterChain.java:164) ~[tomcat-embed-core-10.1.30.jar!/:na] at org.apache.catalina.core.ApplicationFilterChain.doFilter(ApplicationFilterChain.java:140) ~[tomcat-embed-core-10.1.30.jar!/:na] at org.springframework.web.filter.FormContentFilter.doFilterInternal(FormContentFilter.java:93) ~[spring-web-6.1.13.jar!/:6.1.13] at org.springframework.web.filter.OncePerRequestFilter.doFilter(OncePerRequestFilter.java:116) ~[spring-web-6.1.13.jar!/:6.1.13] at org.apache.catalina.core.ApplicationFilterChain.internalDoFilter(ApplicationFilterChain.java:164) ~[tomcat-embed-core-10.1.30.jar!/:na] at org.apache.catalina.core.ApplicationFilterChain.doFilter(ApplicationFilterChain.java:140) ~[tomcat-embed-core-10.1.30.jar!/:na] at org.springframework.web.filter.CharacterEncodingFilter.doFilterInternal(CharacterEncodingFilter.java:201) ~[spring-web-6.1.13.jar!/:6.1.13] at org.springframework.web.filter.OncePerRequestFilter.doFilter(OncePerRequestFilter.java:116) ~[spring-web-6.1.13.jar!/:6.1.13] at org.apache.catalina.core.ApplicationFilterChain.internalDoFilter(ApplicationFilterChain.java:164) ~[tomcat-embed-core-10.1.30.jar!/:na] at org.apache.catalina.core.ApplicationFilterChain.doFilter(ApplicationFilterChain.java:140) ~[tomcat-embed-core-10.1.30.jar!/:na] at org.apache.catalina.core.StandardWrapperValve.invoke(StandardWrapperValve.java:167) ~[tomcat-embed-core-10.1.30.jar!/:na] at org.apache.catalina.core.StandardContextValve.invoke(StandardContextValve.java:90) ~[tomcat-embed-core-10.1.30.jar!/:na] at org.apache.catalina.authenticator.AuthenticatorBase.invoke(AuthenticatorBase.java:483) ~[tomcat-embed-core-10.1.30.jar!/:na] at org.apache.catalina.core.StandardHostValve.invoke(StandardHostValve.java:115) ~[tomcat-embed-core-10.1.30.jar!/:na] at org.apache.catalina.valves.ErrorReportValve.invoke(ErrorReportValve.java:93) ~[tomcat-embed-core-10.1.30.jar!/:na] at org.apache.catalina.core.StandardEngineValve.invoke(StandardEngineValve.java:74) ~[tomcat-embed-core-10.1.30.jar!/:na] at org.apache.catalina.connector.CoyoteAdapter.service(CoyoteAdapter.java:344) ~[tomcat-embed-core-10.1.30.jar!/:na] at org.apache.coyote.http11.Http11Processor.service(Http11Processor.java:384) ~[tomcat-embed-core-10.1.30.jar!/:na] at org.apache.coyote.AbstractProcessorLight.process(AbstractProcessorLight.java:63) ~[tomcat-embed-core-10.1.30.jar!/:na] at org.apache.coyote.AbstractProtocol$ConnectionHandler.process(AbstractProtocol.java:905) ~[tomcat-embed-core-10.1.30.jar!/:na] at org.apache.tomcat.util.net.NioEndpoint$SocketProcessor.doRun(NioEndpoint.java:1741) ~[tomcat-embed-core-10.1.30.jar!/:na] at org.apache.tomcat.util.net.SocketProcessorBase.run(SocketProcessorBase.java:52) ~[tomcat-embed-core-10.1.30.jar!/:na] at org.apache.tomcat.util.threads.ThreadPoolExecutor.runWorker(ThreadPoolExecutor.java:1190) ~[tomcat-embed-core-10.1.30.jar!/:na] at org.apache.tomcat.util.threads.ThreadPoolExecutor$Worker.run(ThreadPoolExecutor.java:659) ~[tomcat-embed-core-10.1.30.jar!/:na] at org.apache.tomcat.util.threads.TaskThread$WrappingRunnable.run(TaskThread.java:63) ~[tomcat-embed-core-10.1.30.jar!/:na] at java.base/java.lang.Thread.run(Thread.java:833) ~[na:na]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Service+Repository 통합테스트 관련 질문입니다.
요즘 서비스 계층 단위테스트를 위해 모킹과 fake 객체 구현을 공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레포지토리를 일일이 모킹하는 코드를 작성하는 것이 빠른 피드백이 장점인 단위테스트로 의미가 있는지 의문이 들 정도로 시간이 많이 들더라고요. 그래서, 좀 더 효율적인 강사님의 방식을 따라가고 싶어 강의를 듣던 중 의문이 생겨서 질문드립니다.1. 계층별 테스트 분리 기준에 대한 질문입니다.컨트롤러, 레포지토리는 단위테스트, 서비스 계층은 레포지토리 부분과 통합테스트 이렇게 분리해서 진행하셨던 이유를 여쭤봐도 될까요? 서비스, 컨트롤러, 레포지토리 계층 각각 단위테스트를 작성하고 컨트롤러에서 레포지토리까지 한번 통합테스트를 작성하는 방법도 있을 것 같고, 묶어볼 방법은 몇 가지 더 있는 것 같습니다.그런데 강의에서처럼 분리했던 게 가장 효율적이라고 생각하는 기준과 이유…. 이 분리 방식의 발견 과정이 너무 궁금하네요2. 통합테스트 DB 관련 질문입니다.서비스계층과 레포지토리 계층을 묶은 상태로 H2 같은 임베디드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면 테스트 속도가 상당히 느리게 나오긴 합니다. 이런 부분은 어쩔 수 없이 안고 가는 것인가요? 그리고 운영이나 개발 DB를 postgress같이 H2말고 다른 걸 사용한다고 해도, H2로 통합테스트 테스트하는게 이점이 있을까요?3. 서비스 계층 단위테스트 관련 질문입니다.혹시, 부담이 안 된다면, 서비스 계층의 단위테스트가 중요도가 많이 떨어진다고 생각하시는 이유가 Fake든 Mockito를 사용한 Stub이든 데이터베이스를 흉내만 내는 테스트가 의미가 없다고 여기셔서 그런 것일까요?부족한 질문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책과 관련하여 궁금한 게 있습니다.
기본편 강의 수강을 다 하고 복습 및 좀 더 깊은 이해를 위해 JPA 프로그래밍 책을 구매하였습니다 JPA 로드맵의 각 강의가 책의 어떤 부분과 매핑 되는지 알 수 있을까요?- 기본편 : 책 1~10장- 활용1 : 책 11장- 활용2, 스프링 데이터 JPA, Querydsl : ??? 기본편과 활용1 두 강의는 1~11장에 딱 매핑 되는 거 같은데나머지 강의들은 뭔가 순서가 섞여있는 거 같아서요 "어떤 강의는 책의 어느 장을 봐야 한다" 등의 가이드가 혹시 따로 있을까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도메인 설계에 대한 고민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erd 설계를 하다가 스스로 의문이 조금 들어서 질문드립니다.현재 다음과 같은 앱을 구상하고 있습니다. AI 모델과 연동해서 추천 시스템을 생각 중인데 도메인 설계에 대해서 궁금한 부분이 생겨서 질문드립니다.package forpracticejunbao.junbaoprac_be.recommend.domain; import forpracticejunbao.junbaoprac_be.user.domain.User; import forpracticejunbao.junbaoprac_be.common.util.BaseEntity; import jakarta.persistence.*; import lombok.*;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List; @Table(name = "recommend") @Entity @Getter @NoArgsConstructor @AllArgsConstructor @Builder public class Recommend extends BaseEntity { @Id @Column(name = "recommend_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private Long id;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JoinColumn(name = "user_id", nullable = false) private User user; @OneToMany(mappedBy = "recommend",cascade = CascadeType.ALL, orphanRemoval = true) @Builder.Default private List<RecommendClusterOption> recommendClusterOptions = new ArrayList<>(); @OneToMany(mappedBy = "recommend",cascade = CascadeType.ALL, orphanRemoval = true) @Builder.Default private List<RecommendValueOption> recommendValueOptions = new ArrayList<>(); @OneToMany(mappedBy = "recommend",cascade = CascadeType.ALL, orphanRemoval = true) @Builder.Default private List<RecommendResult> results = new ArrayList<>(); public void updateRecommendClusterOptions(List<RecommendClusterOption> recommendClusterOptions) { if (this.recommendClusterOptions != null) { this.recommendClusterOptions.clear(); this.recommendClusterOptions.addAll(recommendClusterOptions); } else { this.recommendClusterOptions = recommendClusterOptions; } } public void updateRecommendValueOptions(List<RecommendValueOption> recommendValueOptions) { if (this.recommendValueOptions != null) { this.recommendValueOptions.clear(); this.recommendValueOptions.addAll(recommendValueOptions); } else { this.recommendValueOptions = recommendValueOptions; } } }Recommend 클래스를 만들고, ClusterOption(클러스터 선택)과 ValueOption(계절, 요일 등등)을 일대다 다대일로 풀고자 했는데 이 두가지 엔티티가 크게 다르지 않은 것 같아서 그냥 하나로 합치는게 좋을지(그냥 enum으로만 구분) 아니면 의미적으로 좀 다르기 때문에 구분하는게 좋을지 궁금합니다.(클러스터 선택과 계절 선택은 하나만 선택 가능, 나머지는 하나 이상 선택 가능 조건이기에 클러스터와 계절을 도메인으로 묶을지도 살짝 고민이 되는 것 같습니다..)결과를 RecommendResult로 보여주고자하는데(ai 추천 받은 top 5값에 대한 스팟 정보 제공 목적) 괜찮은 설계일지 궁금합니다.init.sql을 통해 클러스터, 계절, 요일 등 초기값들을 insert 해주고, spot 정보는 csv 파일로 부터 읽어오도록 구현하고 있는데(@PostConstruct, implementation 'com.opencsv:opencsv:5.5' 이용) 실제로 이런 설계에서 초기값을 주입하고 이후 로직 구현하는게 실무적으로 일반적인 방식인지 궁금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미해결Java/Spring 테스트를 추가하고 싶은 개발자들의 오답노트
최종 완성된 코드를 받아 볼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최종완성된 코드를 받아서 확인해보고 싶은게 있는데 공유 가능할까요?
-
미해결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카프카 도커 오류
강의대로 docker-compose-single-brokey.yml 파일 작성하고 파일 안에 맨 밑에networks: my-network: external: true name: ecommerce-network 이렇게도 작성하고 아래 명령어 그대로 docker-compose -f docker-compose-single-broker.yml up -d 입력했는데 Error response from daemon: user specified IP address is supported only when connecting to networks with user configured subnets 이런 오류 가 발생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해결 방법] 스프링 부트 2.x -> 3.x 업그레이드
섹션5의 MyBatis 적용2 - 설정과 실행에서 원하는 결과가 나오질 않아서 봤더니, MyBatis는 스프링 부트 3.x에 지원하는 버전으로 설정되어있고 현재 프로젝트 설정은 스프링 부트 2.x 이다보니 버전 충돌로 되지 않아서 과감하게 프로젝트를 3.x 대로 변경하는 삽질을 해봤습니다. #1. 먼저 3.x 에서 만든 프로젝트가 필요합니다.#2. 1에서 만든 프로젝트에서 gradle/wrapper에 있는 아래의 두개 파일을 복사해 옵니다.gradle-wapper.jar gradle-wrapper.properties#3. build.gradle 수정plugins { id 'java' id 'org.springframework.boot' version '3.4.5' #버전에 맞게 수정 id 'io.spring.dependency-management' version '1.1.7' } group = 'com.example' version = '0.0.1-SNAPSHOT' java { toolchain { languageVersion = JavaLanguageVersion.of(17) } }#4. Project Structure 확인#인텔리제이에서 File -> Project Stucture 에서 Project Settings > Project : SDK 가 17 이상인지 확인#5. Gradle 동기화인텔리제이에서 했는데 잘 안되면 CLI 환경에서 아래처럼 시도#in mac chmod +x gradlew ./gradlew clean ./gradlew build#6. 5를 시도했는데도 안되면,#인텔리제이에서 File -> Invalidate Caches... 를 하고 재시도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h2 database jdbc 주소 변경
jdbc:h2:tcp://localhost/~/test는 다른 프로젝트에서 연습하고 있어서 다른 주소로 사용하려고하면 어떻게 하죠???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OrderControllerDocsTest 작성 해봤는데요. 날짜 형식이 이상하게 나와요
OrderControllerDocsTest.java@DisplayName("주문 생성 API") @Test void createOrder() throws Exception { OrderCreateRequest request = OrderCreateRequest.builder() .productNumbers(List.of("001")) .build(); LocalDateTime now = LocalDateTime.now(); given(orderService.createOrder(any(OrderCreateServiceRequest.class), any(LocalDateTime.class))) .willReturn(OrderResponse.builder() .id(1L) .totalPrice(4000) .registeredDateTime(now) .products(List.of(ProductResponse.builder() .id(1L) .productNumber("001") .type(ProductType.HANDMADE) .sellingStatus(ProductSellingStatus.SELLING) .name("아메리카노") .price(4000) .build())) .build()); mockMvc.perform(post("/api/v1/orders/new") .contentType(MediaType.APPLICATION_JSON) .content(objectMapper.writeValueAsString(request))) .andDo(print()) .andExpect(status().isOk()) .andExpect(jsonPath("$.code").value("200")) .andExpect(jsonPath("$.message").value("OK")) .andExpect(jsonPath("$.status").value("OK")) .andDo(document("order-create", preprocessRequest(prettyPrint()), preprocessResponse(prettyPrint()), requestFields( fieldWithPath("productNumbers").type(JsonFieldType.ARRAY) .description("상품 번호") ), responseFields( fieldWithPath("code").type(JsonFieldType.NUMBER) .description("코드"), fieldWithPath("status").type(JsonFieldType.STRING) .description("상태"), fieldWithPath("message").type(JsonFieldType.STRING) .description("메시지"), fieldWithPath("data").type(JsonFieldType.OBJECT) .description("응답 데이터"), fieldWithPath("data.id").type(JsonFieldType.NUMBER) .description("주문 ID"), fieldWithPath("data.totalPrice").type(JsonFieldType.NUMBER) .description("주문 총 금액"), fieldWithPath("data.registeredDateTime").type(JsonFieldType.ARRAY) .description("주문 시각"), fieldWithPath("data.products").type(JsonFieldType.ARRAY) .description("주문 상품"), fieldWithPath("data.products[].id").type(JsonFieldType.NUMBER) .description("상품 ID"), fieldWithPath("data.products[].productNumber").type(JsonFieldType.STRING) .description("상품 번호"), fieldWithPath("data.products[].type").type(JsonFieldType.STRING) .description("상품 타입"), fieldWithPath("data.products[].sellingStatus").type(JsonFieldType.STRING) .description("상품 상태"), fieldWithPath("data.products[].name").type(JsonFieldType.STRING) .description("상품 이름"), fieldWithPath("data.products[].price").type(JsonFieldType.NUMBER) .description("상품 가격") ))); } docs/index.html 에서 확인한 registeredDateTime처음에 테스트 코드 작성시에 ieldWithPath("data.registeredDateTime").type(JsonFieldType.ARRAY) .description("주문 시각"),이 부분을 JsontFieldType.STRING 으로 했더니 테스트 실패 메시지에 해당 타입이 Array 라고 해서 바꿨는데... 문서에 저렇게 나옵니다. 이게 맞는건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test 용 .yml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강의에서는 테스트에 사용되는 설정 파일을 main/resources/~.yml 파일을 사용하셨는데요.혹시 test 패키지에 별도의 .yml 파일을 둬서 사용하는 것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보통 어떻게 하는 것이 올바르고? 장단이 있을지 궁금합니다. 강사님 의견도 궁금하구요! 감사합니다.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throws Exception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테스트마다 보통 throws Exception 으로 처리하는 경우가 많은데, 별도로 checked exception 에 대해서는 신경을 안 써도 되는걸까요? 강사님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카페키오스크 클래스 문의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어떤 부분이 고민인지, 무엇이 문제인지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 보세요.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CafeKiosk 클래스 의 add를 아래처럼 구성 했습니다.public void add(Beverage beverage, int count) { if(count <= 0){ throw new IllegalArgumentException("음료는 1잔 이상 주문 하실 수 있습니다."); } for(int i = 0; i<count; i++){ beverages.add(beverage); } } 3:54 초에 add에 americano 변수 1개만 들어 가는데 강의에는 오류가 안나네요..?저는 count 값도 입력하라고 나옵니다.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Rest docs 문서용 테스트코드를 따로 작성해야 되나요?
ProductControllerDocsTest 를 따로 작성하지 않고 기존에 작성했던 ProductControllerTest 에 Rest Docs 용 코드를 얹어서 작성해도 상관없나요?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테스트 코드에서 필요한 생성자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잘 듣고 있습니다. 두 가지 궁금한 것이 있습니다.테스트 코드에서만 필요한 생성자가 있다면, 그 생성자를 위해서 해당 객체나 엔티티에 생성자를 추가하는 과정이 옳은 것일까요? 아니면 애초에 그런 생성자가 필요한 상황 자체가 잘못된 것일까요? (프로덕션 코드를 테스트하는 것이 목적이니, 프로덕션 코드에서 이미 사용되고 있는 생성자를 쓰면 되지 않냐..) 모 회사에서는 @Builder 패턴은 무조건 restdocs 를 생성하는 경우에만(fixtures) 사용하라고 해서 프로덕션 코드에서는 무조건 생성자만 사용한 경우가 있었는데 @Builder 패턴의 사용 범위? 그런 것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강사님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해결됨RabbitMQ를 이용한 비동기 아키텍처 한방에 해결하기
알림은 왜 pub sub 구조로 설계하나요?
동일한 메시지를 여러 서비스에서 처리하는 것을 pub sub 구조로 이해하였는데요,알림이라는 하나의 서비스에서 처리한다면 pub sub 구조로 설계할 필요가 없는 걸까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OrderService의 .cancel() 메서드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이 부분 관련해서 반복적으로 학습중인데 이해가 잘 되지 않아 질문드립니다! /* 취소 */ @Transactional public void cancelOrder(Long orderId) { //주문 엔티티 조회 Order order = orderRepository.findOne(orderId); //주문취소 order.cancel(); }이 부분에서 orderId"주문 PK" 를 인자로 받아 주문에 대한 데이터 order 를 조회해왔습니다.그다음 order.cancel(); 메서드를 호출하는데해당 메서드에는 파라미터로 아무것도 넣지 않았습니다. //==비즈니스 로직==// /** * 주문 취소 */ public void cancel(){ if (delivery.getStatus() == DeliveryStatus.COMP) { throw new IllegalStateException("이미 배송완료된 상품은 취소가 불가능합니다."); } this.setStatus(OrderStatus.CANCEL); for (OrderItem orderItem : orderItems) { orderItem.cancel(); } }그 다음 위의 Order 엔티티의 cancel 메서드가 호출이 되는데예외처리 부분을 지나 이제"해당 주문에 포함된(저장된) 주문품목(OrderItem) 의 addStock() 하는 메서드까지 연결이 됩니다.OrderService > Order > OrderItem > Item 까지의 순차적인 cancel 및 addStock() 메서드까지 실행이 완료되면OrderService의 cancelOrder메서드의 트랜잭션이 종료가 되어 flush가 발생/DB 쿼리가 날라감까지 제가 이해를 하고 있습니다.혹시 틀린 부분이 있다면 말씀부탁드리겠습니다!가장 헷갈리는 부분이 이건데,Order order.cancel() 이 부분에서order 라는 Order 엔티티 객체에 바로 cancel() 메서드를 사용했는데 /** * 주문 취소 */ public void cancel(){ if (delivery.getStatus() == DeliveryStatus.COMP) { throw new IllegalStateException("이미 배송완료된 상품은 취소가 불가능합니다."); } this.setStatus(OrderStatus.CANCEL); for (OrderItem orderItem : orderItems) { orderItem.cancel(); } }조회한 데이터는 Order 뿐인데 다음 코드가delivery.getStatus() 입니다.갑자기 delivery가 어디서 나온건지.. 모르겠습니다.예외처리가 끝나면 나오는 orderItem 또한 갑자기 무슨 데이터를 가지고 반복문을 돌리는지 모르겠습니다.제 짧은 지식의 추측상예외처리시에 delivery.getStatus() 는 Order엔티티와 1:1 관계이기에 delivery가 사용하게 될 때 지연로딩을 이용하여 delivery 데이터를 조회하여 사용하고OrderItem 또한 Order와 일대다관계이기에for (OrderItem orderItem : orderItems) { orderItem.cancel(); }이렇게 사용될 때 지연로딩을 이용하여Order pk를 가진 OrderItem 의 데이터를 가지고와 반복문을 돌리게 되는건가요??너무 헷갈리네요.. 제가 이해하고 있는게 맞나요?
-
해결됨RabbitMQ를 이용한 비동기 아키텍처 한방에 해결하기
Receiver를 여러개 하려면 어떻게하나요?
@Bean public SimpleMessageListenerContainer container(ConnectionFactory connectionFactor, MessageListenerAdapter listenerAdapter) { SimpleMessageListenerContainer container = new SimpleMessageListenerContainer(); container.setConnectionFactory(connectionFactor); container.setQueueNames(QUEUE_NAME); container.setMessageListener(listenerAdapter); return container; } @Bean public MessageListenerAdapter listenerAdapter(Receiver receiver) { return new MessageListenerAdapter(receiver, "receiveMessage"); // Receiver의 메소드명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해주셔서 감사합니다.만약 하나의 큐에서 여러 컨슈머를 통해 동시에 여러개를 소비하고자한다면 Receiver를 추가해서 새롭게 MessageLisnterAdaper 빈을 추가하는걸까요? 어떤식으로 하는것인지 궁금합니다.여러큐와 거기에 따른 여러 컨슈머 구성시에는 어떤식으로 환경설정하면 될까요? 감사합니다.
-
해결됨스프링부트를 이용한 웹 프로그래밍: 웹사이트 이렇게 만드는 거예요!
AOP에 대한 설명
안녕하세요! Class08.스프링 프레임워크2 강의 중 8:00 쯤 "이 앞강에서 AOP 프로젝트가 있었죠...."라고 해주셨는데 해당 설명이 이전 강의 어디에서 해주셨는지 알 수 있을까요? AOP가 조금 추상적이어서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