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모델에서의 상수항 처리
model.summary()하면 회귀 계수들이 나오는데회귀 계수 관하여 답을 제출할때는 상수항은 고려하지 않고 제하나요? 이질문을 드리는 이유는 기출8회 작업형3 문제와 캐글 문제 때문에 여쭈어봅니다기출8회 작업형3처럼 상수항은'독립변수'에 포함시키지 않는지이에따라 항상 상수항은 연산에대해서 포함시키지않는것인지하단 캐글 문제 처럼 회귀계수 중 가장 큰값 같은 문제에서 상수항 계수가 제일 큰데 이러면 상수항 회귀계수를 내는것인지 # 모든 변수를 사용하여 OLS 모델을 적합하고, 회귀계수 중 가장 큰 값은? from statsmodels.formula.api import ols formula = 'y~x1+x2+x3+x4' model = ols(formula, data = data).fit() print(model.summary()) print(model.params[1:].max()
-
해결됨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순수 jdbc, jdbc 템플릿 ,통합 테스트할때 결과 주소값 질문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복습 할겸, 새로운 헬로우 스프링을 만들어서 다시 영상을 보면서 치고 있었습니다.그리고 나서 테스트 케이스 만드는 부분이 잇었는데, 여기에서 저는 그냥 하는 김에 전부다 테스트 케이스를 만들자! 라는 생각이 들어서 만들었습니다.그리고 나서 통합 테스트 영상까지 따라 치고 나서,(메모리 테스트 케이스를 복사 붙여 놓기를 한다음 @SpringBootTest @Transactional @Autowired는 추가 햇음) 테스트 케이스를 실행햇는데테스트 케이스에서 노랑색 에러 메시지가 뜹니다. 이렇게요. 그래서. 전에 만든 helloSpring어떤가 시범을 해봤는데(코드를 똑같이 완전히 복사 붙여 놓기 하고 코드에 문제 없는지 확인.)잘 되더 라고요.근데. 빈 을 안 건드린게 생각나서 jpa템플릿에서 jdbc로 바꾸니 똑같이 오류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전에는 getId로 비교해서 테스트 케이스를 통과한 것 같습니다.)(jpa 메모리 에서 통합 테스트 한것) 여기서 궁금증이왜 jdbc에서는 객체의 주소값 이 다른지 알고싶습니다.테스트에서는 뭐 알수가 없더라고요.답변 부탁 드립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2번 관련해서
1-2 번 관련해서 궁금한게 있는데 idxmax( ) 가 가장 큰 거 반환해주는걸로 알고 있는데 idxmax(axis = 1 ) 을 사용하면 컬럼이 7 개 나오는데 그게 연도별로 가장 높은걸 반환해주는걸로 이해했습니다. 근데 어떤 원리인지 잘 모르겠어요
-
미해결UIKit - iOS14 실무 가이드 <iOS앱 진짜 개발자 되기>
클로저내의 return 질문
Movie App_4 강의 11:08초 화면 보시면dataTask 내에 클로저 부분에서 return을 주면dataTask의 클로저만 끝나는거 아닌가요?제가 이해한대로 해석한다면dataTask 클로저 내에 있는 completion 클로저가 실행 된 뒤 return으로 인해 dataTask클로저가 종료되고, 그 이후 메인스레드에 작성 해 놓은 completion(nil) 또한 실행 되어서 총 두번 실행 되는게 아닌가요??그리고 dataTask는 비동기 처리로 인해서 completion(nil)이 먼저 실행되고 그 다음에 dataTask내에 있는 클로저가 실행 될 수도 있지 않나요? 어렵네요
-
미해결스프링부트를 이용한 웹 프로그래밍: 웹사이트 이렇게 만드는 거예요!
추가 강의 해주실수 있나요?
강의 맘에 듭니다 아직 뒤에는 못봤지만 스웨거와 querydsl를 이용한 강의도 오픈 해주셨으면 해요
-
미해결실전에서 바로 써먹는 Elasticsearch 입문 (검색 최적화편)
스프링부트에서 엘라스틱 인덱스 설정(동의어 필터 적용 에러)
개발환경 : WSL 기반의 리눅스 + 엘라스틱 서치spring boot : 3.5톰캣 서버를 구동하면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합니다.request [HEAD http://localhost:9200/products] returned [HTTP/1.1 404 Not Found]2025-06-19T09:34:18.201+09:00 DEBUG 15492 --- [ restartedMain] org.elasticsearch.client.RestClient : request [PUT http://localhost:9200/products] returned [HTTP/1.1 400 Bad Request]인덱스를 생성하는 구문에서 에러가 발생하는데 이유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이 나옵니다.[illegal_argument_exception] failed to build synonyms from ['product_synonyms' analyzer settings product-settings.json 파일에 설정한 product_synonyms 부분에서 에러가 발생하고 있습니다.(혹시 잘못 작성했을까 해서 강사님의 github 파일을 복사했습니다.)---------------------------------------------------------------------------------------------[해결해보기]products_name_analyzer에서 product_synonyms 를 제거한 후 서버를 구동하면 서버는 문제없이 구동됩니다."products_name_analyzer": { "char_filter": [], "tokenizer": "nori_tokenizer", "filter": ["nori_part_of_speech", "nori_readingform", "lowercase"] },엘라스틱서치에 가서 확인해 보면 인덱스는 생성 되었으나 한글이 깨지는 상황입니다."analysis": { "filter": { "product_synonyms": { "type": "synonym", "synonyms": [ "samsung, �궪�꽦", "apple, �븷�뵆", "�끂�듃遺�, �옪�깙, 而댄벂�꽣, computer, laptop, notebook", "�쟾�솕湲�, �쑕���룿, �빖�뱶�룿, �뒪留덊듃�룿, �쑕���쟾�솕, phone, smartphone, mobile phone, cell phone", "�븘�씠�룿, iphone", "留λ턿, 留�, macbook, mac" ] } },[질문1] product_synonyms 필터가 적용된 상태에서 서버를 구동하는 부분 에러[질문2] 한글 깨짐 에러
-
해결됨코딩 없이 AI 자동화 전문가가 되는 법, n8n 완벽 가이드
AI영어 퀴즈 인스타그램 비지니스 인증 문의
강의 과정을 보고 다 따라 했고 credential까지 다 햇는데 api 인증 오류가 나더라구요gpt에 물어보니 비니지스 인증을 거치지 않아서 나는 오류라고 하는데 꼭 비지니스 인증을 해야만 사용가능한 api 인가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this()가 첫 줄에 못 오는 이유가 있을까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제목 그대로입니다. 제가 강의에서 설명을 놓친건지 강의에서 다루지 않으신건지 모르겠지만, this()가 첫 줄에 못 오는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ㅎㅎ;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작업형 2유형 변수 삭제
실제 시험 작업형 2유형에서설명력이 낮은 변수를 삭제하거나결측치나 이상치가 있는 데이터를 준다면 결측치를 제거하거나이런것에 기준이 있을까요?제가 문제를 읽어보고 임의로 결정해서 삭제를 해야할까요 아니면 문제에 있는 모든 변수(고유한ID컬럼제외)를 포함해서 학습해야할까요?
-
미해결코딩테스트 [ ALL IN ONE ]
linkedList - BrowserHistory 코드 질문
안녕하세요 linkedList에서 BrowserHistory 코드를 구현할 때저는 처음 linkedList 개념에서 생각했던 대로 linkedList + idx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생각했습니다.# idx로 생각한 예시 # O(n) def insert(self, idx): current = self.head NewNode = Node() # insert하려는 앞 노드까지 for i in range(idx - 1): current = current.next NewNode.next = current.next current.next = NewNode그런데, BrowserHistory에선 linkedList + class 속성?(current)으로 풀이를 하신 것 같은데 맞을까요?문제 풀이할 때, visit을 할때마다 현재 idx를 global 변수로 저장해둬야 하나?라는 고민을 했어서 혹시 잘못 생각한 부분이 있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귀무,대립가설
대립가설과 귀무가설은 대응표본검정의 모든 문제에서 동일한 설정인가요 ?? 귀무가설: 뮤d >= 0 대립가설: 뮤d <0 2. 그리고 정규성 검정(샤피로윌크)할 때 df['diff'] = df['after'] - df['before']로 항상 계산하는건가요 ??대응표본검정은 뮤d가 before- after였는데 뮤d와 diff값은 아예 다른값이라고 생각하면 되는걸까요 ??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먹는 Next.js(v15)
useActionState 사용 시 라우팅 처리 방법
안녕하세요! 회원가입 시 서버 액션을 작성 중인데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드립니다.현재 서버 액션 함수는 아래와 같이 작성하였고, 클라이언트에서는 useActionState를 사용하여 액션의 반환 값을 받아 에러 메세지를 처리하고 있습니다. if (!id || !nickname || !password) { return { status: false, messages: "정보를 입력해주세요." } } try { const response = await fetch(`${baseUrl}/api/users`, { method: "POST", body: formData, }) return { status: true, messages: "" } } catch (err) { return { status: false, messages: "회원가입에 실패했습니다." } } // redirect("/home")을 여기에 위치 했었음 }회원가입 성공 시에는 /home 으로 이동시키고 싶어서 redirect를 사용하려고 하는데, redirect는 return문 때문에 실행되지 않는 문제가 있습니다.이런 상황에서는 다음 중 어떤 게 더 적절한 방법인지 궁금합니다..! 1) 서버 액션에서 회원가입 성공 시 return { status: true, messages: "" } 형태로 값을 반환하고, 클라이언트에서 성공 여부를 판단해 라우팅을 처리하는 방식 2) 서버 액션 내부에 let isSignupSuccess = false 같은 변수를 선언한 뒤,회원가입 성공하면 return문 없이 isSignupSuccess = true로 값을 변경하고, try-catch문 이후에 if (isSignupSuccess) redirect("/home") 형태로 라우팅을 처리하는 방식
-
미해결TS/JS 디자인 패턴 with Canvas: 제로초에게 제대로 배우기
커맨드 패턴 적용
디자인 패턴을 공부하면서 실제 구현중인 서비스에 적용해보려고 노력중인데(위 이미지는 예시 코드)예시 처럼 작성했을 때의 실효성이 invoker에서 audit log 같은 공통 코드 추출하는것 이외에 잘 느껴지지 않는데, 적절하지 않은 부분에 적용하려해서 그런것일까요?-> 단축키 예시처럼 해당 커맨드를 다른곳에서'도' 사용한다면 유용할것도 같네요!!추가로 ValidateLeadFieldCommand, CreateLeadCommand 이런식으로 여러 커맨드가 순차로 실행해야하는 경우에 invoker도 커맨드마다 만들어야할까?하는 고민도 듭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8회 작업형2 원핫인코딩
기출 8회 작업형2 내용 중원핫인코딩을 하는 부분이 있는데먼저 cols에 train의 object타입 컬럼을 담아놓고train = pd.get_dummies(train,columns=cols) test = pd.get_dummies(test,columns=cols)이런식으로 작성을 하는데,다른 영상에서는 columns=cols 이 부분을 안 넣는 것도 본 것 같아서요!저 구문의 의미와 넣었을 때와 안 넣었을 때의 차이점이 궁금합니다!
-
미해결[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작업형 2 파일 생성전 pred 순서에 오류
안녕하세요 8회 작업형 2번을 간단한 방법을 풀다가 오류가 발생했는데 도통 뭐 잘못작성한지 모르겠습니다..확인 부탁드리겠습니다! import pandas as pd train = pd.read_csv("https://raw.githubusercontent.com/lovedlim/inf/refs/heads/main/p4/8_2/churn_train.csv") test = pd.read_csv("https://raw.githubusercontent.com/lovedlim/inf/refs/heads/main/p4/8_2/churn_test.csv") # print(train.shape, test.shape) # train.head() # train.isnull().sum() # train = train.drop('CustomerID', axis = 1) # tesT = test.drop('CustomerID', axis = 1) target = train.pop('TotalCharges') # cols = train.select_dtypes(include = 'O').columns # # print(cols) # from sklearn.preprocessing import LabelEncoder # for col in cols : # le = LabelEncoder() # train[col] = le.fit_transform(train[col]) # test[col] = le.transform(test[col]) train = pd.get_dummies(train) test = pd.get_dummies(test) from sklearn.model_selection import train_test_split X_tr, X_val, y_tr, y_val = train_test_split(train, target, test_size=0.2, random_state = 0) # print(X_tr.shape, X_val.shape, y_tr.shape, y_val.shape) # from sklearn.ensemble import RandomForestRegressor # rf = RandomForestRegressor(random_state = 0) # rf.fit(X_tr, y_tr) # pred = rf.predict(X_val) # print(pred) # 937.577739684466 import lightgbm as lgb model = lgb.LGBMRegressor(random_state = 0, verbose=-1) model.fit(X_tr,y_tr) pred = model.predict(X_val) # 946.7024808036148 from sklearn.metrics import mean_absolute_error print(mean_absolute_error(y_val, pred)) pred = model.predict(test) submit = pd.DataFrame({'pred':pred}) submit.to_csv('result.csv',index = False) # result = pd.read_csv('result.csv')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pd.to_datetime 적용시 오류 문의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질문과 관련된 영상 위치를 알려주면 더 빠르게 답변할 수 있어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df['날짜']=pd.to_datetime(df['날짜']) df['연도']=df['날짜'].dt.year 으로 변환해서 짜고 싶은데, 오류가 나는 이유가 뭘까요?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범주형변수 처리관련
ols사용할때 독립변수가 범주형이면C()로 감싸는데문제를풀면서 이 변수가 범주형인걸 알더라도문제에서 특정변수가 범주형이라고 주어지지않는한C()를 사용하지 않는게 낫나요? 자의로판단해서 C()를 하는건지 문제에서 주어진것만 하는지 질문드립니다. 왜냐면케글문제를 푸는데 특정변수가 범주형이라고 주어졌는데, 다른 변수도 범주형인 경우가 있었습니다https://www.kaggle.com/code/agileteam/t3-2-example-py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강사님 안녕하세요!
캐글 t1-38.pivot-py 질문이 있습니다. # - 1) 총가입금액 컬럼을 생성하세요. (총가입금액 = 보험상품_가입금액 + 저축상품_가입금액)df['총가입금액'] = df['보험상품_가입금액'] + df['저축상품_가입금액']# print(df.head())# - 2) 각 지점코드와 연령대별로, 성별에 따른 총가입금액 합계를 구하세요.(단 합계 결측치일 때는 0으로 대체하시오)df_pv = df.pivot_table(index=['지점코드', '연령대'], columns='성별', values='총가입금액', aggfunc='sum', fill_value=0).reset_index()# print(df_pv) # C303 50대 2 컬럼 => NaN# # # help(pd.pivot_table) # fill_value 여기서 확인 가능# - 3) 연령대가 40대 또는 50대인 경우에 한해, 성별 간 총가입금액 차이(절댓값 기준)가 가장 큰 지점코드를 구하세요. (정답은 지점코드 1개 예: B204)# print(df.head())cond40 = df['연령대'] == '40대'cond50 = df['연령대'] == '50대'df = df[cond40 | cond50]# print(df.head())df_pv2 = df.pivot_table(index=['지점코드', '연령대'], columns='성별', values='총가입금액', aggfunc = 'sum', fill_value=0).reset_index()# print(df_pv2)df_pv2['diff'] = abs(df_pv2[1] - df_pv2[2])# print(df_pv2['diff'].idxmax())cond = df_pv2['diff'].idxmax()# print(df_pv2.loc[cond]['지점코드'])# C303# - 4) 3번에서 찾은 지점과 연령대에서, 총가입금액이 더 높은 성별의 금액은 전체 고객 총가입금액의 몇 %를 차지하나요? (반올림 후 소수 셋째자리 구하기)# print(df_pv2)# print(df_pv2.loc[cond]['연령대']) # 50대# print(df.head())total = df['총가입금액'].sum()# print(total) # 150333657# print(df_pv2)cond_a = df_pv2['지점코드'] == 'C303'cond_b = df_pv2['연령대'] == '50대'df3 = df_pv2[cond_a & cond_b]# print(df3) # 12353774diff = 12353774result = diff / total * 100print(round(result, 3)) 제가 작성한 코드입니다.강사님께서 풀이로 올려주신 코드와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결국 차이(diff)값과 total값은 똑같을텐데저는 결과값이 8.218이 출력되고있습니다.잘못 코딩한 부분 지적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매번 감사드립니다.내일 모레 시험 잘 보고 오겠습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예제 작업형2 관련 질문드립니다.
아래와 같이 코드를 작성했는데, rmse값이 선생님께서 푸신거랑 다르게 너무 작게 나와서 질문드려요. 제가 봤을 땐 선생님이 작성하신 코드랑 똑같이 한 것 같은데.. 어떤 부분에서 달라진 건가요? 제가 어디서 실수한지 모르겠습니다 import pandas as pd train = pd.read_csv("data/customer_train.csv") test = pd.read_csv("data/customer_test.csv") pd.set_option('display.max_columns',None) pd.set_option('display.float_format','{:.10f}'.format) # 총구매액 예측 -> 회귀. RandomForestRegressor & predict # root_mean_squared_error # csv파일명 : result.csv / 타겟 칼럼명 : pred (2482개!) # EDA # 데이터전처리 # 환불금액 결측치 0으로 처리 train['환불금액'] = train['환불금액'].fillna(0) test['환불금액'] = test['환불금액'].fillna(0) # 레이블 인코딩 from sklearn.preprocessing import LabelEncoder lb = LabelEncoder() cols = train.select_dtypes(include = 'O').columns for col in cols: train[col] = lb.fit_transform(train[col]) test[col] = lb.transform(test[col]) target = train.pop('총구매액') # 데이터분할 from sklearn.model_selection import train_test_split X_tr, X_val, y_tr, y_val = train_test_split(train, target, test_size = 0.2, random_state = 0) # 모델학습 및 평가 from sklearn.ensemble import RandomForestRegressor rf = RandomForestRegressor(random_state = 0, n_estimators = 400) rf.fit(X_tr,y_tr) pred = rf.predict(X_val) from sklearn.metrics import root_mean_squared_error print(root_mean_squared_error(y_val, pred)) # 베이스라인 : 808.1092610336881 # n_estimators = 400 : 793.0646436460113 # 결과 계산 및 제출 pred = rf.predict(test) result = pd.DataFrame({'pred': pred}) result.to_csv('result.csv', index = False) submit = pd.read_csv('result.csv') print(submit)
-
미해결[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작업형 제1유형 문제 풀이 답안
작업형 제1유형은 문제 풀이 화면(python) 출력에서도 답안에 제출할 숫자만 출력이 되어야 하는건지 궁금합니다. 작업형 제1유형은 문제 풀이 화면(python)에서 문제를 푼 후, 답안 제출 화면에서 답을 입력하고 제출한다고 되어 있는데, 문제 풀이 화면(python) 속 출력 값도 채점에 포함되는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섹션 16. 67. 6회 기출문제(작업형3) 강의 중 3분 49초 쯤에 작업형3은 작업형1과 달리 출력을 답안에 맞게 할 필요가 없다는 말씀을 하셨는데 작업형 제1유형은 python 출력에서도 답안에 제출할 숫자만 출력이 되어야 하는건지 혼란스러워 질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