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56
0
안녕하세요! 회원가입 시 서버 액션을 작성 중인데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현재 서버 액션 함수는 아래와 같이 작성하였고, 클라이언트에서는 useActionState를 사용하여 액션의 반환 값을 받아 에러 메세지를 처리하고 있습니다.
if (!id || !nickname || !password) {
return { status: false, messages: "정보를 입력해주세요." }
}
try {
const response = await fetch(`${baseUrl}/api/users`, {
method: "POST",
body: formData,
})
return { status: true, messages: "" }
} catch (err) {
return { status: false, messages: "회원가입에 실패했습니다." }
}
// redirect("/home")을 여기에 위치 했었음
}
회원가입 성공 시에는 /home 으로 이동시키고 싶어서 redirect를 사용하려고 하는데, redirect는 return문 때문에 실행되지 않는 문제가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는 다음 중 어떤 게 더 적절한 방법인지 궁금합니다..!
1) 서버 액션에서 회원가입 성공 시 return { status: true, messages: "" }
형태로 값을 반환하고, 클라이언트에서 성공 여부를 판단해 라우팅을 처리하는 방식
2) 서버 액션 내부에 let isSignupSuccess = false
같은 변수를 선언한 뒤,
회원가입 성공하면 return문 없이 isSignupSuccess = true
로 값을 변경하고, try-catch문 이후에 if (isSignupSuccess) redirect("/home")
형태로 라우팅을 처리하는 방식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이정환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서버액션에서보다는 클라이언트 측에서 처리하는 걸 더 선호합니다.
이유는 역할의 확실한 분리를 위해서인데요 서버 액션 내부에서는 비즈니스 로직에 최대한 집중하도록 하고, UI를 변경하고 리디렉션 하는 등의 클라이언트 측 작업은 컴포넌트 내부로 분리하는게 좋은 것 같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