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업로드 및 배포" 후 에러 메시지가 뜨지 않네요..
교재 561페이지를 따라가면서, 위의 메시지까지 받았습니다. 그리고 나서 10여분이 지났는 데도, 교재에서 얘기하는 것처럼 에러 메시지가 출력되지 않네요. 에러 메시지가 없어도 정상적으로 진행이 된 것인가요?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bootJar가 어디에 있지요?
교재 560페이지에서 "API 서버 프로젝트에서는 Gradle의 'bootJar'를 실행합니다'라고 되어 있는데, bootJar가 어디에 있지요?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양방향 참조 관계에서 `mappedBy` 를 생략하면 어떻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JPA 학습중인 학생입니다.양방향 참조 관계에서 여러 방법으로 연습하던 중, 예상치 못한 행동을 발견해 왜 이렇게 작동하는지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연습한 코드입니다.// Team - Member 는 1:N @Entity class Member { @Id @GeneratedValue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name; // 편의상 public @ManyToOne @JoinColumn(name = "TEAM_ID") public Team team; public Member() { } public Member(String name) { this.name = name; } } @Entity public class Team { @Id @GeneratedValue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name; // 편의상 public @OneToMany // 원래는 mappedBy = "team" 으로 owner 를 설정해야 함. @JoinColumn(name = "TEAM_ID") public final List<Member> members = new ArrayList<>(); public Team() { } public Team(String name) { this.name = name; } } 강의에서 배웠듯, 양방향 참조관계에선 mappedBy = ... 로 관계의 주인을 설정해야 합니다.그런데 만약 이를 생략하면 어떻게 작동할까 호기심이 생겨 아래의 코드를 실행시켰습니다. EntityManager em = getEm(); // 편의상 코드 생략 em.getTransaction().begin(); Member member1 = new Member("member1"); Member member2 = new Member("member2"); Team team1 = new Team("team1"); Team team2 = new Team("team2"); // 편의상 코드 생략 // 단순 em.persist( given ) 을 수행합니다. persistAll(member1, member2, team1, team2); em.flush(); // DB 반영 System.out.println("============== AFTER FLUSH =============="); member1.team = team1; // [1] : mem1 의 팀을 t1 으로 설정 team2.members.add(member2); // [2] : mem2 의 팀을 t2 로 설정 em.getTransaction().commit(); // Member - Team 연관관계 변경 내용 commit em.close(); System.out.println("============== END =============="); 제 예상은 실행시 오류가 발생하거나 [1] 내용만 반영되는 것이었습니다.하지만 실행하니 [1], [2] 모두 반영되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DDL & 출력 내용Hibernate: create table Member ( id bigint not null, name varchar(255), TEAM_ID bigint, primary key (id) ) Hibernate: create table Team ( id bigint not null, name varchar(255), primary key (id) ) Hibernate: alter table Member add constraint FKl7wsny760hjy6x19kqnduasbm foreign key (TEAM_ID) references Team ... ============== AFTER FLUSH ============== Hibernate: /* update scripts.entities.Member */ update Member set name=?, TEAM_ID=? where id=? Hibernate: /* create one-to-many row scripts.entities.Team.members */ update Member set TEAM_ID=? where id=? ============== END ==============실행 후 DB 조회 내용입니다. 위 상황에서 왜 member1, member2 의 팀 변경내용이 모두 반영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이러한 경우 JPA 가 Member, Team 모두를 연관관계의 주인이라 인식하는 건가요?아니면 JPA 가 Member -> Team, Team -> Member 두 참조를 서로 다른 연관관계(?) 라 해석해 동작하는 걸까요?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스프링 sql오류
insert부분이랑 select부분에 저렇게 네모로 표시가 되고 오류가 떠서 웹에 사용자를 등록하면 서버 오류라고 뜨네용 ㅠㅠ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H2 사용 시 ddl-auto update 설정하고 age 컬럼 alter 쿼리 발생 안 할 때
평소 같으면 그냥 업무할 때의 개발 환경과 동일하게 설정해서 할텐데...무슨 바람인지.. 이번엔 그냥 영한쌤 강의 보면서 그대로 따라해야지 하고 별생각 없이 강의를 듣던 중...ddl-auto create, create-drop까지 무난했음..ddl update로 하고 id , name 컬럼 생성 create문 정상 여기까지도 무난...ㅎ그러나 대망의 age 컬럼 추가하려고 하니?? alter문 왜 안 날라감? 했습니다...이것 저것하다가 해결되서 공유합니다..ㅎ영한 쌤이 실제 사용중인 H2 버전이랑 의존성 추가할 때 버전 맞추라고 하셨는데Hibernate 버전은 말씀이 없으셨습니다..그래서 H2 버전이 2.3.232 사용중이기 때문에 pom.xml 설정 중 hibernate 버전 6.4.4.Final 로 변경하고모든 import jakarta로 변경하니 잘되네요(JDK21 사용)```<!-- pom.xml --><!-- hibernate --><dependency><groupId>org.hibernate.orm</groupId><artifactId>hibernate-core</artifactId><version>6.4.4.Final</version></dependency><!-- Jakarta Persistence API --><dependency><groupId>jakarta.persistence</groupId><artifactId>jakarta.persistence-api</artifactId><version>3.1.0</version></dependency>```이후 모든 import문 jakarta로 변경Maven Refresh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양방향 연관관계와 연관관계의 주인 주의점 및 정리 강의에서 질문입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강의에서 마지막에 “처음 JPA로 설계할 때, 무조건 단방향 매핑으로 설계를 완료”하는 것이 좋다고 해주셨는데,여기서 얘기하는 단방향 매핑이 1:N 연관관계에서 N쪽에서만 연관관계를 맺는 걸 말씀하신 걸까요?@ManyToOne@JoinColumn(name=“TEAM_ID”)private Team team;이런식으로요~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강의 2:29 ItemMapper itemMapper
강의 2분 29초 부분public class MyBatisConfig {private final ItemMapper itemMapper;,,,} 강의에서는 에러가 생기지 않지만, 이 부분에서 itemMapper에 컴파일 에러가 뜹니다.(Could not autowire. No beans of 'ItemMapper' type found.) ItemMapper가 스프링 컨테이너에 스프링 빈으로 등록되지 않아서 생기는 에러가 맞나요?등록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ItemMapper를 주입할 수 없어 컴파일 오류가 나는건지 궁금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메모리db로 하는 테스트와, 서버를 띄워서 하는 테스트 모두 성공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MyBatisConfig클래스 위에 @MapperScan(basePackages = "hello.itemservice.repository.mybatis")를 하니 컴파일 에러가 사라지긴 합니다. @MapperScan을 통해 ItemMapper를 Bean으로 수동으로 등록하니 컴파일 오류가 생기지 않는건가요?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7강 관련 질문
7강에서 유저 생성 APi를 만들때 user클래스를 따로 또 만드는데 전에 덧셈이나 곱셈 api에서는 객체를 dto에서 바로 만들어서 가져왔는데 여기서는 domain-user처럼 따로 또 클래스를 만들어서 객체를 호출하는 이유가 있을까요?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중복_회원_예외 에서 예외가 안터지는 문제 + 터미널에서 해보세요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선생님 질문이 있는데요중복 회원 예외에서예외가 안터지고 그냥 테스트를 성공해버립니다 뭐가 문제일까요? 아래 구글 드라이브 링크 걸어뒀습니다.@Test public void 중복_회원_예외() throws Exception { //given Member member1 = new Member(); member1.setName("kim"); Member member2 = new Member(); member2.setName("kim"); //when memberService.join(member1); memberService.join(member2); //then fail("예외가 발생해야 한다."); }예외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코드 압축해서 드라이브에 올렸습니다. https://inf.run/CFDK6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해결은 못했습니다만...
거듭된 질문에 한결같이 답변을 해주셔서 감사합니다.교재 9장까지는 문제없이 잘 진행되어서, 10장 부터 새로 작성한, 엔티티, DTO, Repository 싹 다 지우니, 앞서 작성한 테스트는 그나마 제대로 실행이 되는군요. 다시 엔티티부터 하나씩 깔면서, 동시에 테스트를 다시 진행해봐야 겠습니다.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testInsertByProduct() 와 관련된 에노테이션은 교재하고 똑같이 했고, log.info만 남기고 나머지 코드는 다 지웠는데도, 여전히 Test Failed가 뜨고, testInsertProduct() 메소드로 진입조차 안되는 군요.
testInsertByProduct() 와 관련된 에노테이션은 교재하고 똑같이 했고, log.info만 남기고 나머지 코드는 다 지웠는데도, 여전히 Test Failed가 뜨고, testInsertProduct() 메소드로 진입조차 안되는 군요.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CartRepositoryTests.java 에서 테스트 실행을 시켰더니 tests failed 가 뜹니다.
교재를 똑같이 따라왔는데, testInsertByProduct()에서 tests failed 메시지가 뜨는 군요.서버코드는 cookie_00@naver.com으로 첨부했습니다.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testInsertByProduct()에 아예 들어가지를 못하네요...
교재 9장까지 잘 따라왔습니다.10장 장바구니 api 만들기에 들어와서 CartRepository 만들고CartItemRepository를 만들고CartRepositoryTests를 만들었습니다.그리고, testInsertByProduct()를 테스트 하는데,Tests failed 가 나왔습니다.코드 몇 군데에서 로그를 확인해봤는데, configuration 부분은 잘 통과했는데, testInsertByProduct() 메소드로는 진입조차 못하고 있습니다.실습환경은 "인텔리제이" 입니다. 아래 캡쳐는, 에러가 시작되는 경계로 생각되는 부분입니다.질문 내용이, 답변 주시기에 좀 부족하다면, 더 필요한 코드 부분이나, 에러로그를 보충해서 다시 질문에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
미해결스프링과 JPA 기반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강의 버전 정보
프로그램 버전 정보가 없는데 어디서 찾아요?
-
해결됨Spring Boot를 활용하여 채팅 플랫폼 만들어보기
MySQLConfig 관련 질문있습니다.
선생님께서 말씀을 조금 두루뭉술하게 해주셔서인지 ㅠㅠ 다들 궁금해 하시는거같은데 저또한 궁금한 부분들이 있습니다. JPA에서 처음부터 트랜잭션 매니저 구현체로 JpaTransactionManager를 사용하지 않고 auth쪽은 DataSourceTransactionManager를 사용한건 왜 그런건가요?AuthService#createUser()부분에서는 일반 JDBC 기반의 DataSourceTransactionManager를 사용하셨더라구요.이러한 경우 영속성 컨텍스트에서 Entity들의 생명주기까지는 관리가 안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Lazy Loading이나 Dirty Check 등..채팅관련 트랜잭션 설정할때에는 구체적으로 어떤 메커니즘에 의해 어떤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지 명확히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제가 몇 번 돌려서 듣긴 했는데 느낌이 STOMP 통신 특성상 발생되는 이슈라고 이해는 한 것 같은데 그게 구체적으로 어떠 어떠한 이유로 오류가 발생한다?혹은 할수도 있다? 는것인지 이해를 못했습니다. 확실히 무조건 오류가 발생을 한다는걸까요? 그리고 그 원인은 무엇일까요?단순히 JPA를 이용한 비즈니스 로직을 작성할때는 JpaTransactionManager가 관리하는 트랜잭션 내에서 작성하자. 그리고 그러기 위해서 createChatTransacationMansger를 사용하자. 라고 이해해도 될까요?JpaRepository 구현체인 SimpleJpaRepository에는 기본적으로 save()에는 트랜잭션이 걸려 있지만 저장 이후에 Entity 조작하는 로직이 있다면 동작하지 않게 되니까요.. 혹시 일반적인 JPA 환경과 별개로 STOMP를 통한 웹소켓 통신 환경에서의 JPA 트랜잭션 처리에 대해 특이사항이 있었던거라면 자세히 설명좀 부탁드려도 될까요? 예를 들어 일반 MVC 프레임웍의 http 통신 환경일때는 스레드 또한 톰캣의 스레드를 사용하지만 STOMP는 환경이 달라서 뭔가 신경써야 할게 있다든지..? 감사합니다.
-
해결됨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stubbing을 해줘야 하는 이유
안녕하세요https://inf.run/QwLTR위의 링크와 연계되는 질문입니다. 복습을 하다 보니 언제 when()으로 stubbing 을 해 줘야할까에 대해 헷갈려져서, 저의 사고 흐름을 정리해봤습니다컨트롤러에서는 서비스 단 하위로는 모킹을 한다.모킹하는 객체들은 테스트에서 주 관심사가 아니며, 항상 잘 동작한다고 가정한다.모킹해오는 객체들은 stubbing을 해주지 않는다면 기본 값들을 반환하는 정책을 따른다.위 질문 링크의 "판매 상품을 조회한다." 테스트에서는 모킹 객체인 productService의 메소드가 어떤 리턴값을 반환하든 presentation 레이어에서 검증하고 싶은 내용이 아니기 때문에, 검증을 수행하지 않았고, productService.getSellingProducts()에 대한 stubbing도 굳이 필요 없다."메일 전송 테스트" 에서 mailSendClient.sendEmail()에 대한 stubbing이 필요한 이유모킹 객체인 mailSendClient.sendMail()이 기본 값 반환 정책이 false이어서, 테스트 하고자 하는 mailService.sendMail()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여기서 기본 값 반환 정책이 true였다면 굳이 stubbing 해주지 않아도 된다 -> "메일 전송 테스트"에서 검증하고자 하는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이런식으로 테스트에 검증하고자 하는 대상에 집중하다 보면 모든 동작을 제대로 stubbing했다고 보장하기 어려워 진다 -> Mockist의 치명적인 단점 제가 정리해 본 내용이 적절한지 알려주시면 감사합니다.테스트의 세계는 정말 헷갈리네요..
-
미해결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MSA 개발 배포 방식에 대한 선택과 방향성
안녕하세요! 강의를 마친 후, 여러 가지 궁금한 점이 생겼습니다.지금까지 로컬,및 도커에서 사용한 config-service, apigateway-service, discovery-service(유레카 서버) 의 역할이 Kubernetes 환경에서 대체될 수 있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구체적으로는:유레카 대체: 각 Pod의 DNS 이름을 사용하여 서비스 간 통신API Gateway 대체: Ingress 리소스를 사용하여 외부 요청을 라우팅(강의엔 없음) Config 서버 대체: RabbitMQ를 통한 busrefresh로 설정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대신, Kubernetes의 ConfigMap을 사용하여 설정을 동적으로 업데이트이렇게 Kubernetes에서 많은 기능을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다는 점에 대해 배우면서, 이전의 복잡한 서비스 구조가 생각보다 간단하게 대체될 수 있다는 점에서 약간 허무한 느낌도 듭니다.강의를 마친 후의 궁금증은, 실제 MSA 개발 시에 Kubernetes, Docker, AWS를 사용하는 다양한 배포 방식 중 어떤 선택을 해야 할지에 대한 부분입니다.EC2에 Docker 사용하여 배포EC2에 Kubernetes 사용하여 배포AWS의 EKS, ECS, API Gateway를 사용하는 방법 등 여러가지 방법이 있을텐데요 이와 같은 다양한 옵션 중에서 어떤 방식을 선택 해야하는지 공부의 방향성을 제시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해결됨Spring Boot와 React로 배우는 초간단 REST API 게시판 만들기
중괄호 Tab to Exit 설정
js파일에서 html 작성할 때 속성의 중괄호 부분이 tab키를 눌러도 빠져나가지지 않네요.다른 괄호나 따옴표는 나가지는데 따로 설정을 하신건가요?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테스트코드 범위
안녕하세요 선생님 질문이 생겨서 글 남깁니다.! 선생님이 생각하시는 가장 이상적인 테스트 코드 범위는 어디 까지인가요??예를들어 controller,service,repository가 있다고 가정하고 선생님 강의처럼 각각 레이어별로 테코를 짜고 service 쪽도 repo를 mock처리하여 단위테스트까지도 진행 하여야하나요?제 질문을 정리하자면 controller,service,repository 각각 단위테스트 작성후 service + repo로 통합테스트 하는게 옳은 이상적인 범위인가 궁금합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마지막강의 k8s catalog 404 오류
serivce 오타네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