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56
0
[질문 템플릿]
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질문 내용]
N+1 문제 발생시에는 fetch join 을 사용하고,
컬렉션이 포함된 조회는 XtoOne 도 fetch join 을 유지했었습니다.
이번 강의의 findOrders 에는 fetch join 이 아닌 일반 join 을 사용한 이유는
findOrderItems 에서 OrderItems 를 따로 조회하기 때문에 일반 join 을 사용한건가요?
Order -> member 는 ManyToOne
Order -> delivery 는 OneToOne 이라서 N+1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고 이해는 하고 있습니다!
컬렉션타입인 OrderItems 는 별개의 쿼리를 이용해서 들고 오기 때문에 XtoOne 연관관계 엔티티를 조회하기 위해 fetch join 을 사용하지 않았다고 이해하면 될까요?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6udguin님.
질문해주신 내용과 관련해서 fetch join과 일반 join의 사용에 대해 간단히 설명드리겠습니다.
일반적으로 OneToMany와 같은 컬렉션 타입의 관계에서 fetch join을 사용하면 N+1 문제를 줄일 수 있지만, 해당 컬렉션에 대한 페이징이나 다른 제약사항 때문에 성능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컬렉션이 포함된 연관관계를 조회할 때는 필요에 따라 별도의 쿼리를 통해 데이터를 가져오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질문에서 언급하신 findOrders
메서드에서 주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N+1 문제 회피: 기본적으로 XtoOne 관계는 N+1 문제를 일으키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관계에서는 fetch join 없이도 효율적인 조회가 가능합니다.
데이터 중복: 컬렉션을 fetch join으로 가져올 경우 데이터의 중복이 쉽게 발생할 수 있어, 필요 데이터를 중복 없이 효율적으로 얻기 위해서는 별도 조회가 유리할 수 있습니다.
별도의 쿼리 사용: OrderItems
와 같은 컬렉션은 fetch join 없이 별도로 쿼리하여 가져옵니다. 이렇게 하면 결과가 간단해지고, 데이터 정합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findOrders
메서드에서는 일반 join을 사용하여 N+1 문제로부터 자유롭게 필요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가져오는 구조로 설계된 것입니다.
아래는 관련된 내용을 더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링크입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