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JPA Cretieria와 QueryDSL
작성
·
46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Wendy Wendy님.
JPA Criteria와 QueryDSL은 둘 다 JPQL(자바 퍼시스턴스 쿼리 언어)을 사용하여 동적 쿼리를 작성할 수 있는 수단입니다. 두 기술 모두 코드 기반으로 쿼리를 생성하는 것을 도와주지만, 각각의 사용 목적과 장단점이 다릅니다.
JPA Criteria:
- 표준(Java EE 표준): JPA Criteria API는 JPA 표준의 일부로, 모든 JPA 구현체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타입 안전성: 구조화된 모양의 Java 코드를 통해 쿼리를 작성하여 타입 안전성을 제공합니다.
- 복잡성: 기존의 Java 코드 구조와 매우 비슷하게 되어 있지만, 코드가 다소 장황해질 수 있으며 가독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 표준(Java EE 표준): JPA Criteria API는 JPA 표준의 일부로, 모든 JPA 구현체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QueryDSL:
- 외부 라이브러리: QueryDSL은 다른 서드파티 라이브러리로서, 사용하기 위해 추가 설정이 필요합니다.
- 강력한 타입 안전성: Java의 문법을 활용하여 더 자연스럽고, 가독성이 뛰어난 쿼리 작성을 지원합니다.
- 유연성 및 확장성: 다양성과 확장성이 높아 프로젝트가 커질수록 유리합니다.
- 외부 라이브러리: QueryDSL은 다른 서드파티 라이브러리로서, 사용하기 위해 추가 설정이 필요합니다.
질문하신 “차이점”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을 원하는 경우,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위의 답변을 통해 유용한 정보를 얻으실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