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대규모 트래픽 처리를 위한 부하테스트 입문/실전
안녕하세요 ㅠㅠ 과금되는게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강사님과 똑같이 RDS를 세팅했는데 왜 이런 걸까요...현재 저는 팀 프로젝트 때문에 서버를 구성하는 작업을 맡았는데 RDS 쪽에서 과금이 발생했습니다...ㅠㅠ 구글링 통해서 확인해본 결과 뭐.... 퍼블릭 액세스 옵션을 금지해야한다. 라고 그것 때문인걸까요?? 현재 자동 백업이라던가 스토리지 이런 구성 AWS RDS 문서 읽으면서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기준은 맞췄다고 생각했는데 제가 놓친 부분이 있을까요??밑에는 제 DB 인스턴스의 설정 부분입니다.
-
미해결대규모 트래픽 처리를 위한 부하테스트 입문/실전
스프링서버 2개일 때 병목지점 판단하는 법(CPU 사용률?), 권장 TPS 수치
안녕하세요. 강의 정말 잘 수강하였습니다. 지난번 로드밸런서 관련 질문도 강의를 들으면서 자연히 해결이 되었는데요, 현재 완강 상태에서 풀리지 않는 의문점과 개인적으로 궁금한 점이 하나 있어 질문 2가지 드립니다. 로드밸런서를 활용해 스프링 서버를 2개를 띄우고 부하테스트를 진행하여 AWS CloudWatch에서 사용률을 확인하는 것까지는 이해를 하였습니다. 그러나 병목지점을 CPU 사용률이라고 판단을 하셨는데, CPI 사용량이 한 스프링 서버는 100%여서 더 이상 가용할 자원이 없는 것은 이해를 하였으나 나머지 한 서버는 77%로 아직 가용 CPU 리소스가 남아있는 것으로 보여 전체 CPU시스템으로 보았을 때 아직 사용할 수 있는 CPU자원이 남은 것이 아닌지 궁금합니다. 한 학기 동안 구성한 프로젝트를 출시를 앞두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tps가 몇 정도는 돼야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한지 여쭙니다. 좋은 강의 제공해주시어 감사합니다.
-
미해결대규모 트래픽 처리를 위한 부하테스트 입문/실전
로드밸런서를 넣은 이유가 있을까요?
지금 제가 하고 있는 프로젝트에서는 로드밸런서 없이 그냥 ec2에 서버만 띄웠는데일반적으로 로드밸런서가 필수적인가요?
-
미해결대규모 트래픽 처리를 위한 부하테스트 입문/실전
tps에 관하여 질문있습니다.
안녕하세요!tps에 관하여 질문있습니다.개별 api 부하테스트를 진행하고 예를들어 결제 api가 900tps가 나왔는데 전체 시나리오 테스트를 해보니 2300tps가 나왔습니다.이해한바로는 api 에서 아무리 빠른 tps가 나오는것이 있더라도 낮은 tps가 있으면 그거 때문에 병목현상이 일어나는 걸로 알고 있어서 900tps가 나올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이럴 경우에는 이 서비스의 tps는 900인가요 2300tps인가요??
-
해결됨대규모 트래픽 처리를 위한 부하테스트 입문/실전
수직적 확장과 가용성의 관계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강의를 듣다 한가지 의문점이 생겼습니다.가용성과 수평적 확장, 수직적 확장에 대해 설명해주실 때 수평적 확장은 가용성이 높아지고 수직적 확장은 가용성이 낮아진다고 하신 부분입니다.가용성아라는 것이 시스템이 서비스를 정상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퍼센티지로 나타낸 것이고, 서비스에 장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작을수록 가용성이 높다고 할 수 있기 때문에, 수직적 확장으로 시스템의 스펙을 높이면 기존보다 더 많은 트래픽을 감당할 수 있어서 가용성이 높아진다고 할 수도 있는 것 아닌가 싶어서 질문 남깁니다.
-
미해결대규모 트래픽 처리를 위한 부하테스트 입문/실전
실제 서비스를 할때 rds에 접근하는 방법
실제 서비스를 할때 ec2 인스턴스랑 rds 이 두개를 보안성을 높이기위해 프라이빗ip 로 설정을하는데 이러면 제 개인컴퓨터에 rds의 db를 시각화해서 볼수있는 dbeaver나 워크벤치를 연결자체가 불가능해서 인터넷에 찾아보니 베스천호스트 방식으로 ec2인스턴스를 새로하나 더만들어서 이것을 퍼블릭ip로 바꿔서 rds에 접근하는 방식이 있던데 이방식이 일반적으로 실무에서도 자주쓰이는 방식일까요? 제가 실제 서비스를 해본 적이없어서 공부하는입장에서 궁금했습니다. 그리고 실제 서비스에서 다른방법이 있다면 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대규모 트래픽 처리를 위한 부하테스트 입문/실전
cpu, memory 모두 100%를 치지 않았을 때 병목을 확인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수업 잘 듣고 저희 서비스에서 테스트를 해보고 있습니다. duration 3m, target 500 으로 테스트를 해보았는데, 46TPS 정도 에서 병목이 생긴걸로 파악 했습니다. 다만 메트릭들을 확인해보니, ec2 메모리 사용률은 46% 정도고, CPU 사용율도 58% 정도며, DB 의 메모리도 충분히 남아있고, CPU 사용율도 59%정도로 여유가 있어보이는데요, 이 메트릭 외에도 병목을 확인할 수 있는 메트릭이 있을까요? 예시로 보여주셨던 걸로는 100% 에 가깝게 수치가 튀어야할거 같은데, 그정도가 아닌 상태에서 병목이 발생해서요!
-
미해결대규모 트래픽 처리를 위한 부하테스트 입문/실전
ec2에 세팅을 하는이유
안녕하세요혹시 로컬 말고 ec2에서 세팅을 하는 이유가 있는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