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Inflearn brand logo image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danseung님의 프로필 이미지
danseung

작성한 질문수

대규모 트래픽 처리를 위한 부하테스트 입문/실전

수직적 확장과 가용성의 관계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해결된 질문

작성

·

73

0

안녕하세요 강사님.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강의를 듣다 한가지 의문점이 생겼습니다.

가용성과 수평적 확장, 수직적 확장에 대해 설명해주실 때 수평적 확장은 가용성이 높아지고 수직적 확장은 가용성이 낮아진다고 하신 부분입니다.

가용성아라는 것이 시스템이 서비스를 정상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퍼센티지로 나타낸 것이고, 서비스에 장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작을수록 가용성이 높다고 할 수 있기 때문에, 수직적 확장으로 시스템의 스펙을 높이면 기존보다 더 많은 트래픽을 감당할 수 있어서 가용성이 높아진다고 할 수도 있는 것 아닌가 싶어서 질문 남깁니다.

답변 2

0

JSCODE 박재성님의 프로필 이미지
JSCODE 박재성
지식공유자

안녕하세요 danseung님!

 

제가 강의 때는 수평적 확장과 비교해서 설명하려고 하다보니

'수직적 확장이 가용성이 낮아진다'라고 표현했던 것 같네요!

말씀해주신 대로 수직적 확장만 놓고 봤을 때는

시스템의 스펙을 높이면 서버에 장애가 날 확률이 일반적으로 낮아지기 때문에

가용성이 더 높아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D

 

이 외로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또 질문 남겨주세요~~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danseung님.

강의에서 다루었던 수평적 확장과 수직적 확장에 대한 개념은 시스템 아키텍처 설계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질문 주신 내용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수평적 확장(Horizontal Scaling)

  • 높은 가용성: 수평적 확장을 통해 여러 대의 서버를 추가하므로 하나의 서버에 문제가 생겨도 다른 서버들이 요청을 계속 처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다중 서버 구성은 장애 시에도 서비스가 중단되지 않도록 해주어 가용성을 높입니다.

수직적 확장(Vertical Scaling)

  • 제한된 가용성 개선: 수직적 확장은 하나의 서버의 자원을 추가하여 성능을 높이는 방식입니다. 즉, CPU, 메모리, 디스크 용량 등을 업그레이드하여 더 많은 트래픽을 처리할 수 있게 됩니다. 그러나 이는 물리적 한계에 도달할 수 있으며, 서버 자체에 장애가 발생하면 서비스 전체가 중단될 수 있어, 상대적으로 수평적 확장보다 가용성에서 취약할 수 있습니다.

요약: 수직적 확장을 통해 단일 서버의 성능을 극대화하여 트래픽 처리 능력을 높일 수 있지만, 실제 가용성 측면에서는 수평적 확장이 더 유리합니다. 여러 대의 서버를 운영함으로써 개별 서버의 장애 발생 시에도 서비스를 이어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유사한 질문에 대한 답변 링크는 아래를 참고하세요: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립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danseung님의 프로필 이미지
danseung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