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122
0
강사님과 똑같이 RDS를 세팅했는데 왜 이런 걸까요...
현재 저는 팀 프로젝트 때문에 서버를 구성하는 작업을 맡았는데 RDS 쪽에서 과금이 발생했습니다...ㅠㅠ 구글링 통해서 확인해본 결과 뭐.... 퍼블릭 액세스 옵션을 금지해야한다. 라고 그것 때문인걸까요?? 현재 자동 백업이라던가 스토리지 이런 구성 AWS RDS 문서 읽으면서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기준은 맞췄다고 생각했는데 제가 놓친 부분이 있을까요??
밑에는 제 DB 인스턴스의 설정 부분입니다.
답변 2
0
안녕하세요 철현님! 질문 잘 주셨습니다:D
24년 2월부터 RDS를 퍼블릭 액세스 옵션을 지정하게 되면,
퍼블릭 IP에 대해 시간당 0.005USD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만약 이 비용을 줄이시려면 RDS를 퍼블릭 액세스를 불가능하게 설정하고 VPC 내부에서 사용하시거나
RDS를 사용하지 않고 EC2 내부에 MySQL을 직접 설치해서 사용하셔야 합니다ㅠㅠ!
혹시 강의에서 RDS를 사용하더라도 비용이 나가지 않는다고 하는 부분이 포함되어 있던가요~??
아하 그렇군요!! 혹시 강의 중에서 수정해야 하는 부분이 있을까 싶어서 여쭤봤습니다ㅎㅎ
VPC 쪽에서 돈이 나간 건 RDS의
퍼블릭 IP에 대해 시간당 0.005USD가 발생한 것 같습니다.
RDS에서 비용이 왜 나갔는 지 확인하고 싶으실 경우,
AWS 청구서 페이지에서 세부 사항을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https://chick-it.tistory.com/96
확인해보시고 또 이해 안 되시는 점 있으시면 댓글 남겨주세요~~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박철현님.
현재 AWS RDS에서 발생한 비용과 관련된 질문을 주셨는데요. 과금이 발생한 이유와 조치 방법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먼저, 과금이 발생할 수 있는 몇 가지 요인을 점검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퍼블릭 엑세스 옵션: 퍼블릭 엑세스를 허용하면 퍼블릭 IP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설정 화면을 보면 퍼블릭 액세스를 불가능하게 설정하셨지만, 잘 확인해보셔야 합니다.
자동 백업 및 스토리지: 자동 백업이 설정되어 있으면 예상치 못한 스토리지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설정에서는 Backup Retention Period가 0일로 설정된 것으로 보이나, 이 부분을 재확인해주세요.
프로비저닝된 스토리지: 20 GiB의 범용 SSD(GP2)가 설정되어 있습니다. 프리티어 조건에 맞는 스토리지를 사용하고 있는지 확인해주세요.
추가적으로, AWS의 요금 변경 사항이나 새로운 정책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계속해서 최신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래에 관련 질문과 답변이 있는 기존 포스트들을 참고하세요:
- Virtual Private Cloud 요금 질문입니다
- 과금질문입니다.
이 포스트들은 AWS 관련 과금 문제의 다양한 상황을 잘 설명하고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제가 알기로는 RDS 프리티어로 사용하면 월 750시간 미만 사용이랑 20GB 스토리지 사용은 무료인걸로 알고 있어서 질문 드린 거긴합니다... 혹시 제 과금 그래프 보시면 VPC쪽에서 돈이 나가는데... 저게 대체 뭘까요??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