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MemberRegister 질문드립니다.
domain 패키지 안에 activate메서드가 있는데 포트 역할을 하는 MemberRegister 인터페이스에 activate메서드가 또 필요한 이유가 어떤건가요??activate는 외부로 공개될 필요가 없는거 아닌가용??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MemberService 코드 작성 중 질의
안녕하세요 실습 중 컴파일 오류가 왜 발생하는지 이해가 안되어 질문 남깁니다. private final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private final EmailSender emailSender; private final PasswordEncoder passwordEncoder;해당 코드에서 EmailSender와 PasswordEncoder 부분에서 Could not autowire. No beans of 'EmailSender' type found. 컴파일 오류가 발생합니다. final을 제거하면 컴파일 오류가 발생하지는 않는데요 하지만 github 페이지에 올려주신 소스코드를 보면 현재 영상 시점과 코드 구조가 100% 일치하지는 않지만 스프링 빈 관련 설정을 따로 해준 것 같진 않아보입니다만.. 토비님 영상에서는 오류가 없고 제 코드에서는 컴파일 오류가 나네요. 어떤 시점에 따로 Spring Bean 관련 설정이 되어있는게 있다던가.. 아님 제가 빼먹은 부분이 있다면 알려주실 수 있으신가요? 문제가 되는 부분 전체 코드 첨부드립니다. 시간되실 때 확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package com.ggne.splearn.application.required; import com.ggne.splearn.domain.Email; /** * 이메일을 발송한다. */ public interface EmailSender { void send(Email email, String subject, String body); }package com.ggne.splearn.domain; public interface PasswordEncoder { String encode(String password); boolean matches(String password, String passwordHash); }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JPQL 대신 네이티브 쿼리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강의를 듣다가 JPQL을 생성해주는 JPA나 QueryDSL이 되게 편리하고 유용한 기술이라는 생각이 들었는데, 네이티브 쿼리를 활용해야 하는 상황에 대해서도 궁금해지더라구요.네이티브 쿼리를 활용해야만 하는 상황이나, JPQL 대신 네이티브쿼리를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인 유스케이스를 알려 주실 수 있나요? 예를 들어, 대용량 배치 작업의 경우에는 ....과 같은 부분에서 오버헤드가 발생하는 JPQL 대신 네이티브 쿼리를 사용할 수 있는 JDBC 템플릿 등을 사용하는 것이 권장되서 많이 사용된다거나 하는 부분입니다.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checkDuplicateEmail 메서드와 동시 요청에 관한 질문
안녕하세요 토비님! 좋은 강의 만들어주셔서 잘 듣고 있습니다.작은 질문이 하나 있는데요. checkDuplicateEmail 메서드와 동시 요청에 관한 질문이 있습니다.섹션 5. 28강 회원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테스트(2) 20:47초 경에 email 중복 체크를 위하여 checkDuplicateEmail 메서드 코드를 작성하였고, 같은 email로 가입하려고 하면 DuplicateEmailException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다른 가정을 해보고 그런 상황에서 토비님이라면 어떻게 하셨을지 궁금합니다.만약 email이 아닌 id로 회원가입을 하는 상황을 가정한다면,email과 다르게 id는 여러 사람이 같은 id로 회원가입하려고 시도할 수 있습니다.따라서 동시에 2개의 요청이 들어오게 된다면 checkDuplicateEmail는 둘 다 통과하고 DataIntegrityViolationException이 발생하게 될 것입니다. (DB에서 유니크 제한을 걸었기 때문에)규칙인 id는 중복되지 않는다는 지켜지겠지만,사용자가 보게 될 예외는 우리가 의도했던 DuplicateEmailException가 아니게 되겠죠. 여기서 궁금한 점은 이런 상황까지 고려하여 코드를 작성하여야 하는 것인지아니면 그냥 넘어갈 것인지 궁금합니다. 저라면,드물게 발생할 것이라고 예상을 했다면 로깅만 잘 해놓고, 해당 예외가 많이 발생했거나 관련 cs문의가 많이 들어온다면 추가로 코드를 작성할 것 같습니다.처음부터 만약 많이 발생할 것이라고 예상했다면 try-catch를 통해 예외를 변경해줬을 것 같습니다.아마 다음과 같은 코드가 될 것 같습니다.@Override public Member register(MemberRegisterRequest registerRequest) { try { checkDuplicateEmail(registerRequest); Member member = Member.register(registerRequest, passwordEncoder); memberRepository.save(member); emailSender.send(member.getEmail(), "등록을 완료해주세요", "아래 링크를 클릭해서 등록을 완료해주세요"); return member; } catch (DataIntegrityViolationException e) { if (/*e를 통해 유니크 키 예외를 확인했다면*/) { throw new DuplicateEmailException(); } throw e; } }서비스의 코드가 현재보다는 보기 지저분해진다고 생각했습니다. (아니면 이 방법이 아닌 다른 방법이 있을까요?) 토비님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Spring Boot를 활용하여 채팅 플랫폼 만들어보기
비전공자인데 AI가 발전한 요즘 백엔드로 진로를 하고 싶으면 어떤식으로 공부를 해야 하는지 알 수 있을까요???
비전공자이고 백엔드로 하고 싶은데,AI가 발전한 현재 시점에서 어떻게 공부를 해야 할지 조언을 구하고 싶습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영속성 컨텍스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flush()는 영속성 컨텍스트의 변경 내용을 DB에 반영하지만, 영속성 컨텍스트 자체를 초기화하지는 않는다고 들었어요. 그렇다면 flush() 이후에도 1차 캐시에 남아있는 엔티티의 상태는 그대로 유지되나요?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아키텍처 선택 시 고려사항 질문입니다
이번 강의에서 아키텍처 설명과 interface를 활용해 계층 간 의존도를 끊는 방법을 보며 시야가 넓어지는 느낌을 받았습니다.토비님은 새로운 프로젝트를 시작하거나 기존 코드를 리펙토링할 때, 어떤 기준으로 아키텍처를 선정하는지 궁금합니다.팀원들의 지식 범위나 프로젝트의 뱡향성, 개발 속도 등 여러 요소 중 어떤 부분을 더 중요하게 고려하시는지도 듣고 싶습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실무에서도 EntityManager를 이용해서 많이 작업하는 편일까요?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Spring Data JPA에 있는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이 보이는데 강의에서는 EntityManager를 주입받아서 직접 구현하는 방식으로 설명해주신 이유가 궁금합니다.
-
해결됨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실무적용 관련 질문드립니다
회사 규모상 프로젝트를 혼자서 개발하는 경우, 강의의 내용을 적용해서 도메인 문서를 만드는 것이 개발에 대한 정리나 추후 다른 사람이 봤을 때 도움이 될 수는 있으나, 당장 시간에 쫓기기도 하고 다른 사람의 피드백 없이 혼자서 정리하다 보면 잘 정리하기 힘들다는 생각이 되는데요. 이런 상황에서의 정리는 오히려 도움이 안될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드는데, 토비님께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JPA 프록시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JPA 공부 중 프록시 객체부분에서 혼란이 있습니다.em.getReference()로 가져온 객체는 실제 엔티티가 아니고 프록시라는데, == 비교 시 언제 같고 언제 다른가요?프록시 객체는 언제 실제 엔티티로 초기화되나요? (예: 필드 접근 시점? 트랜잭션 종료 시점?)만약 영속성 컨텍스트에 이미 로드된 엔티티가 있을 때, em.getReference()를 호출하면 어떤 객체를 반환하나요?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커버리지는 어떻게 활용하시는지 궁금합니다.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어떤 부분이 고민인지, 무엇이 문제인지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 보세요.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안녕하세요.좋은 강의 재밌게 수강하고 있습니다!강의를 들으면서 의식적으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학습하다 보니 테스트 코드에 대한 부분을 정량적인 지표로 활용할 수 있는 커버리지라는 지표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는데요. 제가 개발하는 부분은 도메인이 복잡한 프로젝트는 아니다 보니, 주로 Service Layer와 Presentation Layer 위주로 작성하게 되더라구요. queryDSL이나 native query를 이용해 복잡한 쿼리를 작성하게 되면, 가끔 Persistence Layer까지 작성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그러다 보니, 도메인 패키지가 아닌 Config 등 global 패키지에 존재하는 코드나 Persistence Layer의 테스트 코드가 커버리지가 낮고, Persistence Layer의 커버리지도 낮아서 그런지 보통 프로젝트의 라인 커버리지가 60% 전후를 기록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우빈님께서는 커버리지를 어떤 식으로 활용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커버리지 자체를 신경쓰기 보다는 말씀해주신 대로 미래를 위해 의미가 있는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고 싶은데, 커버리지도 활용하는 방법이 있는지? 그리고 주로 어떤 레이어 위주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시는지 궁금합니다!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부트를 이용한 웹 프로그래밍: 웹사이트 이렇게 만드는 거예요!
JWT 기반 인증
JWT 기반 인증을 사용하면 서버 확장 시 세션 관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하는데, 혹시 이 부분 관련되어 시간있으실 때 추가 강의 요청드려도 될까요? 강의 너무 잘 보고 있습니다 ! 😀
-
미해결실전! Querydsl
Querydsl 6.X버전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안녕하세요.현재 공식 Querydsl이 활발히 관리되는 것 같지 않아 OpenFeign에서 포크한 6.x 버전을 사용해 진도를 따라가고 있습니다.당장은 Jakarta/Hibernate 최신 버전과 지원 문제도 있는 것 같고, orderBy 관련 SQL/HQL 인젝션 계열 취약점이 있는것 같아서 5.x 버전을 쓰고 있는데요.(물론 order by 관련해서 사용자에게 입력 받는 상황은 정말 드문 케이스 같긴 하네요)장기적으로는 포크 버전의 유지·보수나 향후 호환성 측면이 조금 걱정됩니다.이 상태로 6.x 포크 버전을 계속 따라가도 괜찮을지, 아니면 안정적인 5.10 계열(공식 안정 버전)로 머무르거나 돌아가는 게 나을지 의견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스프링부트를 이용한 웹 프로그래밍: 웹사이트 이렇게 만드는 거예요!
properties 파일 질문입니다
application.properties 파일에spring.devtools.restart.enabled=truespring.thymeleaf.cache=false각각 자바코드, 타임리프코드 수정 시에 서버를 재시작 안해도 수정사항이 자동 적용시키는 거라고 이해를 했는데 실제 해보니까 자동 적용이 안되는데 추가적으로 설정을 해야하는 부분이 있을까요??그리고 혹시 강의 듣고 제 나름대로 정리해서 내용을 블로그나 노션에 올리거나 강의 들으면서 친 코드를 깃허브 private 레퍼지토리에 올리는게 가능할지 문의드립니다.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AI 시대에서 공부와 실무의 관계를 어떻게 바라봐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토비님.강의에서 말씀하신 공부할 때는 AI 관련 도구를 끄고 지식을 습득 해야 한다는 부분이 인상 깊었습니다.이전에도 공부와 실무 사이에는 늘 간극이 있었고, 이번 강의는 그 간극을 인지하고 실무적인 관점에서 방향을 잡을 수 있도록 도와주신다고 느꼈습니다.그런데 요즘은 AI가 빠르게 보편화되면서, 공부와 실무의 관계가 또 다른 형태로 변화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실제로 신규 업무나 개인 프로젝트에서 AI의 활용 방식과, 기존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거나 확장하는 과정에서의 AI의 활용 방식이 다르게 느껴집니다.이런 변화 속에서 AI를 새로운 학습 형태이자, 학습과 실무를 잇는 새로운 도구로 봐야 할지, 아니면 보조적인 수단으로 바라봐야 할지 고민됩니다.토비님은 실무에서 AI를 어떤 방식으로 활용하고 계신지, 그리고 이 시대의 개발자가 어떤 균형점을 가져야 한다고 보시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도메인엔티티와 JPA 엔티티 분리 문의
안녕하세요. 도메인 엔티티와 JPA 엔티티를 아예 분리하는 case도 있는지 궁금합니다. 예를들어 Domain 패키지에는 순수한 도메인 클래스들만 모아놓고 JPA에선 도메인 엔티티 -> JPA엔티티로 변환해서 사용하는경우도 있나 궁금합니다.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헥사고날 아키텍처와 DDD
5년차 백엔드 개발자 이며 현재 섹션5. 헥사고날 아키텍처의 사실과 오해를 학습하고 있습니다.현업에서 신규 프로젝트를 준비 하면서 어떤 아키텍처를 가져가는 것이 좋을지 고민중에 강의를 접하게 되었습니다. 부동산 관련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서비스를 개발 및 설계 단계에 있습니다. 제가 전부 리드하는 것은 아니지만 프로젝트 전반적인 부분을 개발 리드분에게 권한을 받고 저와 팀원 둘이서 백엔드 구조를 설계 하고 있습니다.수천만건 그 이상이 될 수 있는 데이터를 기반으로한 서비스를 계획 및 설계하고 있는데, 자바 스프링으로 서버를 구축 하려고 하는데 헥사고날 아키텍처를 저와 팀원은 경험 하지 못하였는데, 확장성 있는 서비스를 만들기 위해 헥사고날 아키텍처 기반으로 어떤 구조 설계를 하는 것이 좋을지 ,,, 조언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후속 강의 출시 예정일 문의
안녕하세요!좋은 강의 제작해주셔서 감사합니다.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파트2 강의는 언제쯤 나오는지 알 수 있을까요??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테스트 문서화 질문입니다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어떤 부분이 고민인지, 무엇이 문제인지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 보세요.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BDD 설명하시면서 개발자가 아닌 사람이 봐도 이해할 수 있을 정도의 추상화 수준을 권장한다고 하셨는데요 작성한 테스트를 따로 문서화 하기도 하시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단위테스트 질문이 있습니다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어떤 부분이 고민인지, 무엇이 문제인지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 보세요.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단위테스트할때 항상 궁금했던 점이단순한 CRUD도 테스트코드를 구현해주는 게 맞는걸까요?JPA 기능을 그대로 적는? 느낌이 나서 굳이 필요한 테스트코드인가 하는 생각이 항상 드는데 왜 구현했는지에 대한 시나리오를 @DisplayName 적곤 하지만 뭔가 불필요하다는 생각이 가끔 들기도 하는데 다 적는 게 맞는거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