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TS/JS 디자인 패턴 with Canvas: 제로초에게 제대로 배우기
강결합
강결합되는게 왜 싱글턴 패턴의 단점인지 연결이 잘 되지 않아 질문드립니다. 매개변수 주입같은 해법을 주신 것 처럼, 싱글턴 패턴과는 별개의 문제로 느껴지는데, 싱글턴을 안 하면 어떻게 나아지는지 예제 같은게 있을까요?
-
미해결얄코의 떠먹여주는 객체지향 디자인 패턴
수정 요청
토끼가 나와서 하는 질문이 하나도 안들립니다. 어수룩함을 표현한거 같은데 이상한 말투로 질문을 하는데 전혀 어울리지도 않고 강의 내용에 전혀 도움이 안됩니다.
-
미해결마이크로서비스 디자인 패턴 완벽 가이드
https://github.com/joneconsulting/eshop 소스
강의에 나온https://github.com/joneconsulting/eshop강의 공개 후에도 비공개 레포지토리로 보이는데요어디서 확인가능할까요
-
미해결마이크로서비스 디자인 패턴 완벽 가이드
강의 pdf교재는 별도로 없나요?
강의 pdf교재는 별도로 없나요?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고급편
프록시는 싱글톤인건가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프록시는 싱글톤인건가요? 아니면 요청마다 최대 하나의 프록시가 생성되는건가요?
-
해결됨스프링 핵심 원리 - 고급편
reflection과 extracted 의 차이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제목과 동일한데 방식이 비슷해서 여쭤봅니다extracted(ctrl + alt + M) 는 단순히 같은 로직을 메서드로 추출해서 정적인 메서드를 제공하는 거고 reflection은 동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 외에도추가적인 다른 기능도 있나요?예외처리, 추상화 말고 또 다른 기능이 있을까요? 실무에서는 주로 두 방식 중에 어떤 방식을 자주 사용하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스프링 핵심 원리 - 고급편
저장 순서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강의에서 sleep을 주석 처리하고나서실행결과가 처음엔 B -> A로 나오더라고요재실행했을 땐 A -> B 순서로 잘 나옵니다그래서 주석을 다시 풀고 실행한 뒤다시 주석 적용하고 실행시키니까처음만 B -> A 순서로 나오고그 뒤로는 A -> B 로 나오더라고요신기해서 질문남겨봅니다
-
해결됨[유니티 게임 개발] 핵심 기술과 디자인 패턴
강의 소스 부탁 드립니다.
학습에 관련된 상세한 질문을 남겨주세요 🙂그 외에도 여러분들이 자체적으로 게임을 개발하면서 생긴 여러 오류들도 남겨주신다면 제가 아는 선에서 최대한 답변드리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강사님좋은 강의해 주셔서 감사합니다.강의 보면서 순간순간 집중력이 떨어져 예제 소스를 완성 못할 때가 많습니다. 강의에 나오는 모든 예제 소스를 받을 수 있을까요?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고급편
스프링 빈은 프록시에 등록한후 사용된다고 하셨는데..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Import로 Aspect를 불러지 않으면, getClass에서 target=class hello.aop.internalcall.CallServiceV0으로 뜨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Aspect를 적용하든 안 하든 프록시로 등록되어야 되지 않을까요?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고급편
release 필요성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자바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값은 GC가 알아서 제거해준다고 들었는데, 꼭 릴리즈를 해줘야 하는 필요가 쓰레드로컬에서는 있는건가요?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고급편
템플릿 메서드 패턴에 interface를 적용하면 장단점이 뭐가 있을까요?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템플릿 메서드 패턴에서 추상 클래스로 템플릿과 구현해야 하는 메서드를 제공하고 있는데, interface를 이용해서 패턴을 제공하면 어떤 장단점이 있나요? interface의 default 키워드를 사용해서 템플릿을 제공한다고 하면, 기존 추상 클래스 방식과 비교했을 때 어떤 차이가 있고, 어떤 상황에서 더 유용할까요? 감사합니다!
-
해결됨얄코의 떠먹여주는 객체지향 디자인 패턴
안녕하세요.
"구독자들에게 메시지를 보내는 발행 메소드는 발행자 인터페이스를 적용한 클래스로부터 호출 받습니다." 라고 설명해주셨는데요코드상에서는 Broker 클래스가 따로 Publisher 인터페이스를 적용하지 않은 상태인 것 같아서요.궁금하여 질문 남깁니다.
-
해결됨얄코의 떠먹여주는 객체지향 디자인 패턴
질문이있습니다.
현재 예시 코드에서는 state 상태에 따라서 생성자를 매번 호출하는데이거는 메모리 오버플로우 가능성이 있는 코드라고 볼 수 있을까요?
-
해결됨얄코의 떠먹여주는 객체지향 디자인 패턴
DIP 질문
DIP 예제 코드에서 질문이 있습니다.Switchable 이라는 interface를 객체로 Switch가 갖게되는데요.구조가 이렇게 바뀌어도Fan의 turnOn 함수에 예를 들어 매개변수가 들어가게 되면 (Overloading)Switch 클래스에도 영향이 가지 않나요?switch class의 tunrOn함수의 device.turnOn() 함수도 바뀌어야 하니까요..?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고급편
강의 오타인가요?
atTarget 메소드와 atWithin 메소드에서@target(hello.aop.member.annotation.ClassAop) 이부분이 오타인거같은데요??child 란 내부클래스는 hello.aop.pointcut.AtTargetAtWithinTest.Child 이런 패키지에있는데 이게맞는건가요?
-
미해결TS/JS 디자인 패턴 with Canvas: 제로초에게 제대로 배우기
React 환경에서 클래스형 디자인 패턴 활용에 관한 질문
안녕하세요, React 환경에서 다음 강의를 보며 예제연습중인 수강생입니다. 먼저, 함수형 컴포넌트가 주류가 된 현대 React 생태계에서도 클래스형 디자인 패턴이 많이 활용되는지 궁금합니다. 특히 싱글톤, 팩토리, 빌더와 같은 클래스 기반 디자인 패턴들이 여전히 실무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또한 이러한 클래스 기반의 디자인 패턴 사용 시, React의 재렌더링 측면에서 성능 이슈가 발생하지는 않는지, 실제 개발 경험에서 어떤 장단점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TS/JS 디자인 패턴 with Canvas: 제로초에게 제대로 배우기
질문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싱글턴 강의 내용 중 매개변수로 빼거나 클래스라면 this를 사용하면 된다. 면 된다 하셨는데 this를 아래 코드처럼 운용 하는건 말하는 걸까요?? class Singleton<T> { private static instance: Singleton<any>; protected data: T; protected constructor(data: T) { this.data = data; } public static getInstance<T>(data: T): Singleton<T> { if (!this.instance) { this.instance = new this(data); } return this.instance; } public getData(): T { return this.data; } } export default Singleton; 감사합니다!!
-
미해결TS/JS 디자인 패턴 with Canvas: 제로초에게 제대로 배우기
[공유] State 패턴 강의 최종본 커밋에서 누락된 부분이 존재
git commit 으로 공유된 State 패턴 완성본 커밋 에서 강의 마지막 부분 (23:50) 과 달라서 해당 부분을 사용하시는 분들은 정상으로 동작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그래서 해당 공유합니다.강의 시작 부분 23:50코드 export class ChromeGrimpanMenu extends GrimpanMenu { onClickPen() { const command = new PenSelectCommand(this.grimpan); this.executeCommand(command); // { name: 'pen' }; // this.grimpan.setMode('pen'); // 변경, 해당 부분은 강의에도 나와있지는 않지만 pen 모드일때 변경이안되어서 자체적으로 추가함 this.grimpan.history.stack.push(command); } onClickEraser() { // this.executeCommand(new EraserSelectCommand(this.grimpan)); // { name: 'eraser' }; // 기존 this.grimpan.setMode('eraser'); // 변경 } onClickCircle() { // this.executeCommand(new CircleSelectCommand(this.grimpan)); // { name: 'eraser' }; this.grimpan.setMode('circle'); // 변경 } onClickRectangle() { // this.executeCommand(new RectangleSelectCommand(this.grimpan)); // { name: 'eraser' }; this.grimpan.setMode('rectangle'); // 변경 } onClickPipette() { // this.executeCommand(new PipetteSelectCommand(this.grimpan)); // { name: 'eraser' }; this.grimpan.setMode('pipette'); // 변경 }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고급편
걍의 중 LogTrace 빈등록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강의에서 빈으로 등록된 LogTrace를 파라미터로 받았는데요, 이처럼 빈으로 등록된 객체를 파라미터로 받으려면 해당 메서드에 @Bean 애노테이션이 붙어있으면 이게 가능한건가요? 혹시 다른 경우에도 빈을 파라미터로 받을 수 있는 경우가 있나요?강의에서 컴포넌트 스캔 범위를 "hello.proxy.app.v3"으로 한정지었기 때문에 LogTrace를 빈으로 등록한 ProxyApplication 클래스는 @SpringBootApplication에 @Configuration이 있지만 해당 클래스 자체가 컴포넌트 스캔 범위 밖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LogTrace가 빈으로 잘 등록될 수 있었던 건 컴포넌트 스캔과는 무관하게 @SpringBootApplication이 붙어있으면 그냥 무조건 빈으로 등록되기 때문에 ProxyApplication 클래스가 빈으로 등록되고 이 안에 있는 빈 등록 메서드를 통해 LogTrace도 따라서 빈으로 등록된는 건가요?
-
해결됨C개발자를 위한 최소한의 C++
변수 바인딩에 대한 의문점
변수는 컴파일 단계에서 이름과 타입이 명확하게 정해지기에 정적 바인딩으로 이해하는데 값을 바인딩 하는 것은 코드 if을 통해서 달라질 수도 있는데 이 경우는 동적 바인딩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