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Inflearn brand logo image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트릴님의 프로필 이미지
트릴

작성한 질문수

스프링 핵심 원리 - 고급편

this, target

this를 단독으로 사용할때랑 파라미터 바인딩 할때 차이

작성

·

34

·

수정됨

0

@Before("allMember() && this(obj)")
public void thisArgs(JoinPoint joinPoint, MemberService obj) {
    log.info("[this]{}, obj={}", joinPoint.getSignature(), obj.getClass());
}

 

@Before("allMember() && this(hello.aop.member.MemberService)")
public void thisArgs(JoinPoint joinPoint, MemberService obj) {
    log.info("[this]{}, obj={}", joinPoint.getSignature(), obj.getClass());
}

 

@Before("allMember() && this(MemberService)")
public void thisArgs(JoinPoint joinPoint, MemberService obj) {
    log.info("[this]{}, obj={}", joinPoint.getSignature(), obj.getClass());
}

this를 단독으로 사용할 때 에는 이해가 되는데, 파라미터 파인딩에서는 왜 obj만 허용이 되나요?

allMember() 조건 이후에 MemberService타입만 받고 싶을 수도 있을거 같은데...

즉 allMember()의 this가 반드시 MemberService일거란 보장이 없지 않나요?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트릴님, 질문 주신 내용에 대해서 답변 드리겠습니다.

Spring AOP에서 this를 사용하는 경우, 프록시 객체가 해당 타입을 구현하는지를 체크합니다. 따라서 this는 프록시 대상의 타입을 지정할 때 주로 사용합니다. 이렇게 사용할 때, this() 안의 타입이 프록시 객체의 타입과 일치해야만 어드바이스가 적용됩니다.

  1. this(obj)와 같이 파라미터 바인딩을 수행할 때는 어드바이스 메서드의 매개변수에 프록시 객체가 바인딩됩니다. 이는 obj 자체가 프록시 객체라는 의미입니다.

  2. this(hello.aop.member.MemberService) 또는 this(MemberService) 이렇게 타입만 명시할 경우, 어드바이스는 해당 타입의 프록시에만 적용됩니다. 이 조건은 프록시 객체의 타입이 정확히 MemberService인지 체크하게 됩니다.

allMember() && this(hello.aop.member.MemberService)처럼 사용할 경우, allMember() 포인트컷이 지시하는 모든 오브젝트 중에서 hello.aop.member.MemberService 타입의 프록시 객체에 대해서만 어드바이스가 적용됩니다.

따라서 this와 파라미터 바인딩의 차이는, 전자는 특정 타입의 프록시 오브젝트와의 일치 여부를 체크하고, 후자는 그 프록시 오브젝트를 직접 메서드 파라미터로 바인딩하는 데 있습니다.

allMember() 조건 내에 반드시 MemberService 객체라는 보장이 없을 수 있지만, this 구문을 통해 특정 타입만 매칭되도록 제한할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질문해 주세요.

원본 문서: 링크

트릴님의 프로필 이미지
트릴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