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시스템 디자인 첫걸음: 면접에서 돋보이는 백엔드 아키텍처 설계하기
MSA 전환 시점
안녕하세요!덕분에 아키텍처에 대한 큰 그림을 그려보며 강의를 듣고 있습니다. MSA 전환 시점 관련해서 질문 드립니다.모놀리식 아키텍처에서 MSA로 전환하는 적절한 시점은 어떤 기준으로 잡는게 좋을까요?물론 상황마다 다르겠지만, 강사님은 어떤 기준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예를 들어, Scale-out 한계, 빌드&배포 시간 증가, 혹은 서비스 크기와 복잡성 같은 요소들.. 이 있을 것 같은데 제가 미처 생각 못한 부분이 있다면 덧붙여 답변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
해결됨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실무적용 관련 질문드립니다
회사 규모상 프로젝트를 혼자서 개발하는 경우, 강의의 내용을 적용해서 도메인 문서를 만드는 것이 개발에 대한 정리나 추후 다른 사람이 봤을 때 도움이 될 수는 있으나, 당장 시간에 쫓기기도 하고 다른 사람의 피드백 없이 혼자서 정리하다 보면 잘 정리하기 힘들다는 생각이 되는데요. 이런 상황에서의 정리는 오히려 도움이 안될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드는데, 토비님께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C#과 유니티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2: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게임개발에서 주로 어느부분에 알고리즘들이 쓰이는지 궁금합니다
강의에서 배운 DFS, BFS, Dijkstra 알고리즘이 주로 “길찾기”나 “맵 탐색”, “던전·퍼즐·퀘스트 생성” 등에 사용된다고 배웠습니다그런데 일반 서버 개발에서는 이런 그래프 탐색 알고리즘들이 “추천 시스템”, “의존성 그래프 처리”, “네트워크 경로 최적화” 등에 자주 사용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궁금한 점은, 게임 개발에서도 위의 예시 외에 AI, 콘텐츠 로직, 엔진 내부 구조 등 다른 영역에서 DFS, BFS, Dijkstra 같은 탐색 알고리즘이 핵심적으로 쓰이는 사례가 있을까요?(클라이언트 / 서버 구분 없이 궁금합니다)
-
해결됨오브젝트 - 기초편
객체지향 설계에서 메서드를 설계할 때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메서드를 설계할 때 궁금한 점이 있어서 질문드려요.예를들어 메서드를 설계할 때 (Long customerId, Long screeningId, Integer audienceCount) 파라미터에 이렇게 ID 식별자를 넣어줘야는지 혹은 객체를 넣어줘야하는지를 설계할 때는 어떤 점을 판단하는 것이 좋을까요?
-
미해결
Kafka Connector 선택 관련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Debezium에 대해 찾아보던 중 Source Connector로 JDBC Connector 도 있는데 두개가 다른 유형의 Source Connector (Debezium - 로그, JDBC - 쿼리)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다만 타강의에서도 JDBC Connector 보다는 Debezium을 더 중점적으로 다루는 것 같은데 실무에서는 Debezium이 훨씬 많이 쓰이는지, 혹은 직접 경험하셨던 선택하기 모호하셨던 상황이 있으셨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실리콘밸리 엔지니어에게 배우는 쿠버네티스 for SWE
dns 관련하여 질문이 있습니다.
service나 namespace와 관련없는 커스텀한 domain name도 지원되는 걸까요?
-
미해결Basic SystemVerilog Testbench ( 회로설계 검증 )
sv에서 class에 대한 질문입니다.
이 부분에서 class는 tb의 하위블록처럼 취급이 되는 것인가요?아니면 일반 C++의 클래스처럼 생각하면 되는 것인가요?
-
해결됨은행 서버 프로젝트 실습을 통해 배우는 코틀린 마스터 클래스
OkHttpClientConfig timeout 설정 질문
안녕하세요! 매번 프로젝트에서 timeout 값을 설정할 때마다 얼마나 줘야 적절할까 하고 고민해보게 되는데, 강사님께서는 이런 값들을 결정하실 때 주로 어떤 요소들을 고려하시는지 궁금합니다.경험상 권장하시는 설정 방법이나 기준이 있으실까요?
-
미해결dbt, 데이터 분석 엔지니어링의 새로운 표준
강의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 강사님dbt랑 airflow를 현재 수강중인 직장인입니다.배울수록 굉장히 활용범위가 넓은 툴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두가지 질문 드리고 싶은데요1) 현재 저는 dbt+Airflow 기반으로 CRM 분석 마트 테이블을 팀에 적용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현재 raw테이블을 자동화해서 airflow로 db에 적재하여 사용하고 있는데요, 조인 결합, 가공을 통한 2차, 3차 테이블들은 현재 수동으로 만들어지고 있고 이를 자동화하려고 하고 있는데 현재 운영 및 성과 분석을 위한 너무 많은 테이블이 생기면서 점점 복잡해지고 있어 처음 만든 저도 헷갈려지는 단계에 왔는데...설계 관리(테이블간 관계, 단계로직을 정리하여 적재)하는 것에 대한 노하우가 있으신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설계 이후 dbt로 만든 모델을 팀원들(분석가나 마케터) 쉽게 활용할 수 있게 하려면, 어떤 방식으로 문서화나 공유를 하시나요?2) Airflow DAG에서 dbt run/test를 통합할 때, 실행 단위를 모델 단위로 쪼개는 게 좋은가요, 아니면 전체 프로젝트 단위로 돌리는 게 좋은가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JPA 프록시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JPA 공부 중 프록시 객체부분에서 혼란이 있습니다.em.getReference()로 가져온 객체는 실제 엔티티가 아니고 프록시라는데, == 비교 시 언제 같고 언제 다른가요?프록시 객체는 언제 실제 엔티티로 초기화되나요? (예: 필드 접근 시점? 트랜잭션 종료 시점?)만약 영속성 컨텍스트에 이미 로드된 엔티티가 있을 때, em.getReference()를 호출하면 어떤 객체를 반환하나요?
-
미해결함수형 프로그래밍과 JavaScript ES6+
프론트엔드 실무에서 어떤때에 쓰이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추석챌린지로 수강하고있어 미션으로 질문을 남기게되었습니다.함수형프로그래밍과 지연성 확장성… 의 중요성을 알게되긴했는데 실무에서 어떤때에 쓰일수있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자바 개발자를 위한 코틀린 입문(Java to Kotlin Starter Guide)
Kotlin과 Java의 현업에서의 활용
안녕하세요. Kotlin과 Java의 현업에서의 활용에 있어 궁금한 내용이 있어 질문드려요. 서버를 개발하실 때 Kotlin과 SpringBoot를 활용한다고 수업시간에 지나가면서 잠깐 말씀해주셨는데요. 혹시 Kotlin + SpringBoot의 프로젝트 작업을 진행하실 때 전혀 Java를 사용하지 않고 활용하시는지 아니면 Java와 Kotlin을 같이 사용하는 지 현업에서 실제 어떻게 활용하시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Gradle에서implementation("org.apache.commons:commons-lang3:3.0") 와 같은 외부 라이브러리를 Kotlin + SpringBoot 프로젝트에서 사용할 때 Java로 가져와서 사용하는지 아니면 Kotlin으로 따로 제작된 코드를 사용하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만들면서 쉽게 배우는 컴퓨터 구조
IO·MI 우선 활성화 이유
안녕하세요!IO, MI 핀이 가장 먼저 활성화되어야 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
미해결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
쿠키에 대해 질문드려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쿠키와 세션의 차이를 배우면서 서버가 사용자의 상태를 관리하는 다양한 방식을 이해할 수 있었어요.근데 최근에는 JWT 같은 토큰 기반 인증 방식도 많이 쓰이잖아요. 이런 환경에서도 쿠키가 여전히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그렇다면 쿠키가 구체적으로 어떤 부분에서 필요한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기본편
인덱스 설계와 실제 운영의 관계
혹시 테스트 데이터베이스에서 인덱스를 설계하고, EXPLAIN을 통해 점검도 했는데, 실제 서비스 운영에서는 정작 풀 테이블 스캔 결과가 더 빠른 경우가 존재할 수도 있나요?
-
해결됨개발자를 위한 쉬운 도커
도커 가상 네트워크와 Stateless 특징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처음 도커를 공부하는데 강의 너무 잘 듣고 있습니다.😀도커 가상 네트워크와 컨테이너 상태 부분을 들으면서 2가지 궁금한게 있어 질문 드립니다. 1.지금까지 스프링부트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면서는 DB 접속 도메인을 고정으로 사용해도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는데, (로컬에서 h2 DB 사용 또는 aws rds 처럼 이미 도메인이 부여된 경우) 이런 백엔드 애플리케이션과 프론트엔드 애플리케이션을 같이 띄울때는 도커 dns 기능이 딱히 필요가 없어 보이는데 이런 경우에도 별도로 네트워크를 구성해서 띄우는게 좋을까요? 그냥 기본 bridge 네트워크를 사용하면 될까요?도커 가상 네트워크가 단지 dns 기능만을 위해서 사용되는건지,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필요한 서버 전체 구성을 묶어 주는 개념으로도 사용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2. 컨테이너의 Stateless 특징 중에“특정 컨테이너에 쌓인 파일들이 컨테이너의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서버를 지우고 다시 생성하거나 필요하지 않은 서버를 제거할 때 걱정 없이 제거 가능하다” 는 부분이 조금 모호하게 이해됩니다.이미지와 컨테이너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서버의 변경 사항을 수정하고 재기동을 하면 이전 서버의 상태와 상관 없이 새로운 내용이 적용되는데, 어떤 차이점이 있는걸까요?여러대의 서버를 사용하는 환경에서 컨테이너를 사용하면 여러대의 서버가 동일한 상태를 가질 수 있다는것이 핵심인 것으로 이해하면 되는 내용인지 헷갈려서 질문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java static class와 kotlin class
[질문 내용]kotlin으로 실습을 진행하고 있는데, java의 static class에서 static은 무슨 의미인가요? kotlin에서의 그냥 class와 같은 역할인 걸까요?
-
미해결[게임 프로그래머 입문 올인원] C++ & 자료구조/알고리즘 & STL & 게임 수학 & Windows API & 게임 서버
explicit을 붙였을 때 빨간줄이 뜨는 이유가 맞는지 궁금합니다.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안녕하세요 루키스님. 좋은 강의 제공해주셔서 감사합니다. 13:56초에서 한개의 인자를 받는 Pos 생성자에 explicit을 붙이니 main 함수에 있는 일부 문법들이 빨간줄이 뜨는 이유가, 암시적으로 변환되던 아래의 구문이Pos pos1 = 10; -> Pos pos1(10);explicit 키워드를 붙임으로써 대입연산자의 생성자로 암시적 변환이 막힌 것이고, 따라서 빨간줄이 뜬다고 생각하면 되는걸까요?
-
미해결350개의 개인 앱을 만들어 월급의 7배 수익을 달성한 방법
다작 환경에서 cursor를 통한 제작 룰 설정
요즘 바이브 코딩이 대세인데 cursor를 기반으로 룰을 세팅하는데 혹시 따로 세팅하시는 룰이 있으실까요??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게임에서 랜선 뽑았다 다시 꽂을 때, 입력 몰아 보내기가 가능한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널널한 개발자님!예전에 게임을 할 때 "랜선을 뽑고 5초 동안 무한 클릭 → 다시 연결하면 입력이 한꺼번에 서버로 전달되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을 경험한 적이 있습니다.제가 헷갈리는 부분은 다음과 같습니다:버퍼링 영역입력(클릭) 버퍼는 애플리케이션 레벨에서 관리되는 것인지, 아니면 TCP/UDP 자체에서 지원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UDP 자체에는 순서 보장이나 재전송이 없는데, 그렇다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이 버퍼링을 했다가 복구 시 몰아서 보내는 구조"일까요?TCP와 버퍼TCP도 송신 버퍼/재전송 메커니즘이 있으니, 이론적으로는 일정 시간 동안 못 보낸 데이터를 나중에 한꺼번에 보내는 게 가능할 것 같습니다.그렇다면 "버퍼만 있다면 TCP에서도 동일한 효과"가 가능한 걸까요?아니면 이런 식의 입력 버퍼링은 UDP 환경에서만 가능한 건지, 구분이 궁금합니다.정리하자면👉애플리케이션 레벨 버퍼링이냐, TCP/UDP 레벨 버퍼링이냐👉TCP에서도 '랜선 뽑았다가 꽂으면 입력 몰아 보내기' 같은 현상이 가능한가?이 부분을 명확히 알고 싶습니다.예전에 메이플이라는 게임을 했을 때 위와같은방식으로 사람들이 몰리는 상점에 저렇게 뚫어서 들어가는게 유행했었거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