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설계 1편, 현대적 데이터 모델링 완전 정복
데이터베이스 설계 시 전체 그림을 보는 방법
안녕하세요, 영한 강사님.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강의 중에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할 때는 개별 기능의 구현도 중요하지만, 비즈니스의 성공과 연관된 전체적인 관점을 갖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말씀을 들었습니다. 실제로 전체적인 관점에서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하실 때, 어떤 점들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시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기본편
실행 계획 공부 방법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강사님. 실무에서 SQL 실행 속도가 느릴 때 실행 계획을 확인해야 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요.실행 계획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 보니 좀 더 깊이 있게 공부해보고 싶습니다.혹시 추천해주실 만한 자료나 책이 있을까요?또한, 강사님께서는 실행 계획을 어떻게 공부하셨는지도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실전 연습으로 익히는 고급 타입스크립트 기술
object key 질문드립니다.
예시에서 let key: "a" | "b"코드를 작성하게되면 string | number로 추론되 는데, const foo = test[key] 일 때, 인덱스 접근이라 test["a"] | test[0] 으로 접근이 가능해서 추론된다고 이해한게 맞을까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3강 18. null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3강 18. null 강의를 보는 중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 드립니다.해당 강의 GC 섹션에서 말씀하신 참조하지 않는 인스턴스라는 부분이null -> x001 -> null이렇게 인스턴스에 값을 할당하는 과정에서 다시 null을 할당하며 x001 이라는 참조 값이 사라져서 x001 값이 GC가 된다는 게 맞을까요? 아니면 해당 인스턴스 자체가 GC가 되는 걸까요? 강의 잘 보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설계 1편, 현대적 데이터 모델링 완전 정복
단일 키로 행을 식별할 수 없을 때 어떻게 설계하나요?
실무에서 단일 컬럼 PK만으로 행을 식별할 수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예를 들어 영화 예매 시스템에서 ‘상영회차’와 ‘좌석’ 정보를 조합해야만 특정 예매 내역을 정확히 구분할 수 있을 때가 있죠.이런 경우 복합키를 사용하게 되는데, 실제 설계에서는 어떤 방식으로 복합키를 구성하고, 단일 PK와 비교했을 때 어떤 장단점이 있는지 경험 기반으로 설명해주실 수 있나요?
-
미해결파이썬 증권 데이터 수집과 분석으로 신호와 소음 찾기
주식 자동매매 프로그램 제작 관련 조언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좋은 강의 감사합니다.아직 강의를 완전히 제 것으로 만들기에는 시간이 부족해서 강의 외 질문드립니다.강의 주제와 관련은 있으나 강의 관련 질문은 아니니 가볍게 답변해 주시면 됩니다. 증권데이터 수집, 분석 강의를 수강한 이유가 주식 자동매매 프로그램을 만들고 싶어서입니다.가족 중 한 분이 투자한 많이 물려 있는 주식을 정리해야 하는데, 항상 주식 그래프를 보고 있을 수가 없어서 자동매매 프로그램 제작에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한국투자증권, 키움증권이 REST API를 지원해서 이 두 회사용으로 만들어 보려고 합니다.처음에는 조건을 주고 자동매매하고, 추후에는 강화학습을 활용해서 완전 자동화를 해보고 싶습니다.프로그램이 계속 돌면서 Discord로 알림 메시지를 보내는 걸로 하려고 합니다. 혹 유사한 사례나 참고할 자료, 프로그램 개발 방향에 대한 조언 등이 있으면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CS 지식의 정석 | 디자인패턴 네트워크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자료구조
44강 질문
안녕하세요.44강을 듣던 중 CRC 부분에서 “XOR 기반 이진 나눗셈“ 이라는게 무엇인지 여쭤봅니다.(어떤식으로 계산하는 것이 XOR 기반 이진 나눗셈인지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
Claude Code 무료 플랜
Claude Code(CLI)를 설치했는데 말씀하신 것처럼일단 무료 사용자입니다 강의를 온전하게 따라가려면 한 달치를 유료 플랜 결제해야하나요?
-
미해결절대강좌 유니티6 - 네트워크 게임 개발 마스터클래스 (Part3) : Netcode로 개발하는 2D RPG
Netcode 사용시 운영관점 질문
안녕하세요 강사님,먼저 좋은 강의에 감사드립니다.1회차 완강하고 실습 병행하면서 2회차 들으려고 합니다. Netcode로 실서비스를 운영하면서 강의에서는 안 다루지만 실무에서 꼭 알아야 했던 것이 있을까요?예를 들어 서버 배포 자동화, 모니터링 툴 구성, 아니면 설계 단계에서 미리 고려했어야 했던 확장성 이슈 같은 것이 있었는지 강의 외적으로 실전 팁을 미리 알고 싶습니다!그리고 유니티6 이전의 방식과 이후의 방식간에 운영관점에서 어떻게 달라졌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데몬스레드가 어떨 때 사용이 되는지 궁금합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데몬스레드의 특징은 이해했는데, 어떨 때 사용이 되는 건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현업에서도 보통 데몬 스레드를 사용할 일이 있나요?
-
미해결38군데 합격 비법, 2025 코딩테스트 필수 알고리즘
코테 준비중인데 파이썬으로 하다가 자바로 언제 넘어가면 좋을지 여쭤보고 싶습
현재 취준 준비중인데 기본기도 부족해서 어떻게 해야 좋을지 고민입니다.언어 연습하면서 알고리즘 공부하기언어 먼저 기본기 다시 잡고 알고리즘 공부하기현재 강의가 파이썬 기준이라 파이썬으로 연습하다가 어느시점에 자바나 자바스크립트로 넘어갈지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Kafka 대신 Redis Pub/Sub을 사용할 수도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강사님!Kafka 관련 강의를 듣다가 기술 선택의 기준에 대해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현재 강의에서 Kafka를 이벤트 브로커(Event Broker)로 사용하고 계신데,Redis의 Pub/Sub 또는 Redis Streams 기능을 이용하면비슷한 형태로 서비스 간 메시지 전달을 구현할 수도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아래 두 가지 부분이 궁금합니다 Kafka를 선택하신 이유 또는 기준이 무엇인지 예: 처리량, 확장성, 영속성, 장애 복구 등 기술적 관점에서 어떤 요소가 결정적이었는지혹은 실제 서비스 환경에서 Redis 기반 메시징을 사용했을 때의 한계가 있었는지도 궁금합니다. 이벤트 브로커(Event Broker)와 메시지 브로커(Message Broker)의 개념적 차이 두 용어가 거의 비슷하게 사용되는 경우도 많은데,Kafka가 ‘이벤트 브로커’로 분류되는 이유가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실제로 시스템 설계 시, 어떤 기준으로 두 개념을 구분하고 선택하시는지도 궁금합니다. 제가 이해하기로는 Redis는 단순한 메시지 전달 중심,Kafka는 이벤트 스트리밍 및 데이터 파이프라인 중심으로 알고 있는데,이 부분이 맞는 방향인지도 확인해보고 싶습니다.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최적화 순서
학습 관련 질문을 최대한 상세히 남겨주세요!고민 과정도 같이 나열해주셔도 좋습니다.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강사님, 최적화를 진행할 때 보통 어떤 순서로 고민하시나요?예를 들어 트래픽이 몰릴 때 먼저 어디를 확인하고, 어떤 기준으로 개선 방향을 정하시는지가 궁금합니다.
-
미해결38군데 합격 비법, 2025 코딩테스트 필수 알고리즘
코테준비
코딩테스트를 이 강의를 통해 공부하기 시작했고 이제 손에 익을정도로 익숙해져야할거같은데 관련 사이트를 찾아보니 프로그래머스와 백준이 있더라구요뭐가 더 좋은지 추천해주실수 잇을까요?? 많은 사람들의 풀이와 요즘 실제 기업에서 출제되는 문제들이 빠르게 반영되는 곳이 좋을거같은데 추천해주세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happens-before 관계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LockSupport의 park이랑 unpark이 호출될 때 두 스레드 사이에는 어떤 happens-before 관계가 만들어지고, 이런 메모리 가시성 보장은 volatile이나 synchronized와 비교했을 때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Docker 입문/실전
도커 볼륨 삭제후 복구방법
안녕하세요.좋은 강의 열심히 수강하고 있는 개발자 입니다. 강의를 수강하다 궁금한게 생겨 질문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만약, 실수로 볼륨을 삭제하게 된다면, 볼륨 파일을 다시 복구하는 방법이 있을까요??가령, 데이터베이스의 경우 commit 전이라면 rollback이 가능하듯명령어 실수 혹은 휴먼 에러로 불륨을 삭제하게 되었을시에 대응 방법도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초보 기획자/PM을 위한 Test Case 작성 및 QA 노하우
통합 테스트에서 TC 커버리지를 어디까지 고려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Test Case 포트폴리오 작성을 위해 본 강의를 수강중인 수강생입니다! 통합 테스트 수행 시 통합 테스트 케이스는 유저 시나리오 대로 작성하는 것이 일반적인 것 같은데, 유저 시나리오에서는 사용하지 않지만 스템적으로는 고려해야 할 예외 상황이나 경계 조건 등은 테스트 케이스에 어떻게 반영해야 할까요?예를 들어, API 간 연동 실패, DB 연결 지연, 특정 조건에서 발생하는 에러 등은 유저 플로우 상에는 없지만 실제 운영에서는 충분히 발생 가능한데,이런 케이스들을 통합 테스트 수준에서 어떻게 설계하거나 커버하는 것이 실무적으로 바람직한 접근일까요?
-
미해결웹소켓/STOMP 채팅서비스(spring, vue, redis)
리프레시 토큰은 알아서 구현하면 되는건가요??
리프레시 토큰은 알아서 구현해야 하면 되는건가요?? 따로 없는데..
-
미해결카카오 코테 6주 합격! 실전 파이썬 코딩테스트
선행으로 공부하면 좋을 이산수학 종류를 알고싶어요.
강의 중 교과서 공부라는 내용은 나오는데, 좀 추상적으로 느껴져서요.적절한 범위 내에서만 공부하는 게 좋을 것 같은데, 추천하는 범위, 단원, 종류 등 간단하게 알 수 있을까요?
-
미해결토비의 스프링 6 - 이해와 원리
오브젝트 정의 중 배열에 대해서
오브젝트를 클래스의 인스턴스 혹은 배열이다라고 하면 기술적으로 맞는 정의라고 하셨는데 배열이 별도로 정의에서 언급된 이유가 궁금합니다!찾아보았을 때에는 new 클래스명() 과는 다른 별도의 new int[] 와같은 형식으로 생성JVM내에서 바이트코드 레벨에서의 조작을 통한 다른 조작 방식으로 접근으로 일반적인 클래스 생성을 통한 방식과는 다른 방식으로 배열을 객체로서 구현하고 접근하기 때문에 별도로 정의한다라고 이해하였지만 단순 자바에서의 구현 방식 차이로 자바에서만 별도 정의되어 표현된것인지 원래 오브젝트의 개념중 배열은 별도 기술하는것인지 궁금하며 혹시 위의 기술한것과 다른 이유가 존재하는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