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6
0
[질문 템플릿]
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질문 내용]
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LockSupport의 park이랑 unpark이 호출될 때 두 스레드 사이에는 어떤 happens-before 관계가 만들어지고, 이런 메모리 가시성 보장은 volatile이나 synchronized와 비교했을 때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oukr님.
질문하신 LockSupport의 park()
와 unpark()
메서드가 어떻게 스레드 간의 happens-before 관계를 형성하는지에 대해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Happens-Before 관계 설명:
LockSupport.unpark(Thread thread)
메서드를 호출하면 해당 스레드를 깨울 수 있습니다. 이 메서드가 수행되기 전에 다른 모든 쓰레드가 수행한 액션들은 이 쓰레드가 park()
에서 깨어나 실행하기 전에 완료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happens-before 관계가 발생합니다.unpark
호출 이후의 park
를 깨어난 쓰레드에 의해 확실히 보이는 것입니다.Volatile, Synchronized 비교:
volatile
키워드는 변수의 메모리 가시성을 보장하지만, 자신의 읽기와 쓰기에 대해서만 직접적인 happens-before 관계를 만듭니다. 즉, 한 스레드가 volatile 변수를 쓰기하면, 그 후에 읽는 다른 스레드는 그 변경을 확실히 볼 수 있습니다.synchronized
블록은 전체 임계 구역 안에서 happens-before 관계를 만들어냅니다. 즉, 임계 구역 진입 전후의 모든 작업은 다른 스레드의 임계 구역 실행 전후로 배치됩니다.LockSupport
는 특정 스레드의 대기 및 재개와 관련된 명시적인 컨트롤을 제공하며, volatile
이나 synchronized
보다 더 세밀하게 쓰레드의 sleep/wake 관리가 가능합니다.질문해 주신 내용을 통해, LockSupport
의 적절한 사용은 volatile
이나 synchronized
보다 더 낮은 수준의 제어로 세밀하게 대기 및 재개의 동기화를 제어할 수 있음을 설명드렸습니다.
추가로 깊이 있는 이해를 위해 관련된 내용을 아래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Java 메모리 모델의 happens-before 규칙: 스레드 간의 happens-before 관계와 메모리 일관성에 대한 설명을 제공합니다.
- LockSupport 및 메모리 가시성 문제: LockSupport 사용할 때 고려해야 할 메모리 가시성 문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