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안녕하세요 API 테스트 하는 부분에서 질문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선생님 코드를 보면 댓글 서비스에서 댓글을 생성할때 request로 들어온 articleId 나 writerId에 대해서 실제로 데이터 베이스에 있는지 검증하는 부분이 없는데,이렇게 구현을 하면 확실히 테스트 코드를 짤때 실제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게시글을 넣어주지 않아서 편한것 같습니다.혹시 실제 현업에서 코드를 짤때도 request 로 넘어온 데이터를 따로 검증을 하지 않아도 되는 건가요? @Transactional public CommentResponse create(CommentCreateRequest request) { Comment parent = findParent(request); Comment comment = commentRepository.save( Comment.create( snowflake.nextId(), request.getContent(), parent == null ? null : parent.getCommentId(), request.getArticleId(), request.getWriterId() ) ); return CommentResponse.from(comment); }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3편, 람다, 스트림, 함수형 프로그래밍
고급편 우선순위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이제 중급까지 듣고 고급편을 들어야되는데생각보다 람다식이 스프링이나 다른곳에서 함수형을 많이 쓰는것 같은데 시간이 많이 없으면 고급 1,2편보다 람다식,스트림인 고급3편을 들어도 괜찮을까요?고급 1,2편을 안봐도 문제없을까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Category 엔티티 계층 질문드립니다.
@Entity @Getter @Setter public class Category { @Id @GeneratedValue @Column(name = "catagory_id")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name; @ManyToMany @JoinTable(name = "category_item",joinColumns = @JoinColumn(name = "category_id"),inverseJoinColumns = @JoinColumn(name = "item_id")) private List<Item> items = new ArrayList<>(); @ManyToOne @JoinColumn(name = "parent_id") private Category parent; @OneToMany(mappedBy = "parent") private List<Category> child = new ArrayList<>(); }이 부분에서, 카테고리의 계층? 을 표현하기위해 카테고리 엔티티를 위와 같이 하셨는데요. 여기에서@OneToMany(mappedBy = "parent") private List<Category> child = new ArrayList<>();이 부분이 무슨 의미로 사용되는지 이해가 잘 되지않습니다.. 연관관계의 주인이 아닌쪽이기 떄문에 mappedBy를 적어준거같은데, 해당 코드가 필요한 이유와 사용되는 목적이 무엇인지 질문드립니다. 그리고 private Category parent와 private List<Category> child = new ArrayList<>();가 어떤 연관관계가 있길래 연관관계를 맺는것인지 이해가 잘 되지않아서 질문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타입 매개변수 제한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타입 매개변수를 Animal로 상한을 지정함으로써 제네릭 타입 안에서 Animal 클래스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는 건 이해했는데,Animal의 자식인 Dog, Cat의 기능도 사용을 못하나요?코드를 짜서 실행해본 결과 사용이 안되는걸로 확인 했습니다..만약 안되는거면 왜 그런지, 만약 Dog, Cat의 기능을 사용하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다운 캐스팅을 해야하는건지..?)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인증 관련 질문
학습 관련 질문을 최대한 상세히 남겨주세요!고민 과정도 같이 나열해주셔도 좋습니다.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잘 보고있습니다.이와 같이 마이크로 서비스로 프로젝트가 구성되면, 유저 인증과 관련된 부분은 어떻게 처리되는지 궁금합니다. 일단 스스로 생각해본 바로는, 게시글/댓글 쓰기, 좋아요 API는 로그인 한 유저만 가능하다고 하면, 각각의 서비스에서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았을 때 해당 요청을 유저 API를 호출하여 인증을 하는 방식이 있을 것 같은데 이 방법은 각 서비스들이 유저 서비스를 알고 있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을 것 같습니다..위와 같은 상황에서의 실무에서 모범 사례나 정형화된 방법이 있을까요?
-
미해결재고시스템으로 알아보는 동시성이슈 해결방법
get_lock 의 timeout이 3000초 이던데 너무 긴거 아닌가요?
3000 ms 인 줄 알았는데 그냥 second 던데 저렇게 길게 설정해도 괜찮을까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2편, I/O, 네트워크, 리플렉션
BufferedInputStream이 1바이트씩 조회해도 성능이 좋은 이유
BufferedInputStream에서 read() 를 호출하면 buf 라는 버퍼에 있는 것을 1바이트씩 꺼내어 조회한다고 하는데, 그렇다면 처음에 FileInputStream에서 하나씩 read() 하는 것이랑 결국 호출 횟수는 같으니 똑같은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그러니까 버퍼에 데이터 100바이트를 FileInputStream에서 한번에 들고와도 결국 바깥에서는 1바이트씩 꺼낸다고하니 뭐가 다른건가 궁금해졌습니다. 강의에서 버퍼에 데이터가 채워져있으면 FileInputStream의 read()를 호출하지 않고 바로 버퍼에서 꺼내준다고 하셨는데요, 여기서 버퍼에 한번에 많이 가져옴으로서 FileInputStream의 read()를 적게 호출하게 되기 때문에 이에 따라 시스템콜도 적게 호출되므로 성능이 증가하는건가요?앞의 강의에서 FileInputStream과 FileOutputStream의 read(),write()의 횟수를 줄여야 성능이 증가한다고 하셨으니까요.그래서 BufferedInputStream의 read()로 1바이트씩 꺼내는건 성능에 큰 지장이 없는 것인가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2편, I/O, 네트워크, 리플렉션
오타제보
강의명 : 파일 입출력과 성능 최적화4 - Buffered 스트림 읽기강의 위치: 1분 22초오타 위치: 2. IO 기본1.pdf 26페이지 최하단오타 내용 : BufferedOutputStream 분석 -> BufferedInputStream 분석 해당 부분의 강의는 BufferedInputStream 에 대한 내용이므로 BufferedInputStream 분석 이 되어야하지 않나 싶습니다.감사합니다
-
해결됨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MemberRepository의 JPA 종속성에 관하여
쉽게 이해할 수 있게 설명해주셔서 강의 잘 봤습니다. 👍 강의 후반부(39. 문서와 코드 다듬기)에 MemberRepository에 @Query를 사용하면서 JPA 종속성이 추가되었는데 이 부분에 대해서 언급 없이 2가지 조인 방식과 관련하여 설명하고 넘어갔습니다.강의 중반부(23. 회원 애플리케이션의 포트 정의)의 MemberRepository 설명과 같이 spring-data-commons의 Repository라는 마커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것은 동의하나 application layer에 기술 종속성이 추가된 내용 관련하여 부가 설명 요청 드려도 될까요? 물론 다음 강의에 해당 설명이 있을것으로 생각되지만.. MemberQueryRepository로 분리하고 adapter layer에서 구현하는 방향이 더 좋아보이는데 개선 방향도 같이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sql 연결 오류
Caused by: org.hibernate.service.spi.ServiceException: Unable to create requested service [org.hibernate.engine.jdbc.env.spi.JdbcEnvironment]이러한 오류가 뜨는데 어떻게 해결해야 할지 잘 모르겠습니다 ㅠㅠ application.yml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spring: datasource: url: "jdbc:mysql://localhost/library" username: "root" password: "" driver-class-name: com.mysql.cj.jdbc.Driver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2편, I/O, 네트워크, 리플렉션
문자 집합 호환성 여부를 판단할 때
어떤 두 문자 집합이 호환되는지의 기준은 해당 언어를 표현하는 바이트가 일치해야함그리고 해당 문자 집합들의 문자의 바이트(비트) 값이 일치해야함.위 두가지를 모두 만족한다면 두 집합은 서로 호환된다고 이해하면 될까요?
-
해결됨죽음의 Spring Batch: 새벽 3시의 처절한 공포는 이제 끝이다.
processorNonTransactional 멱등성 질문
강의 잘 보고 있다. 잘 정리된 자료 덕분에 배치 작업을 이해하고 있는 중이다. 다만 설명 중 이해 안되는 부분이 존재한다. 바로 이 부분 멱등하지 않은 ItemProcessor를 내결함성(FaultTolerance) 기능과 함께 사용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반드시 processorNonTransactional를 설정하도록 하자. 오히려 멱등하지 않은 ItemProecessor의 경우에는 이 설정을 비활성화 해야 하는 거 아닌가? 나의 부족한 영어실력과 GPT를 통해 스프링 배치는 ItemProcessor가 트랜잭션이나 멱등성을 가져야 한다고 되어 있는 것으로 이해하였다. It must be either transactional or idempotent.출처: https://docs.spring.io/spring-batch/reference/transaction-appendix.html 떠라서 멱등하지 않은 ItemProcessor는 processorNonTransactional()을 지양해야 하는 것으로 나는 이해된다... 답변 부탁한다. (존대로 질문하면 rm -rf 하신다길래 이렇게 남겨요 ㅎㅎ..)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compareTo
[질문 내용]처음 문제를 풀떄Card 클래스에 compareTo 오버라이딩을 @Override public int compareTo(Card o) { if(number != o.getNumber()){ return this.number - o.number; } return shape.compareTo(o.getShape()); }위 코드처럼 작성했는데 숫자가 낮은 카드 먼저 안 나올때가 있는데 잘못 작성한걸까요?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자바 버전에 관하여
자바 21버전이 아닌 17버전을 사용해도 괜찮나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질문
안녕하세요 문제1번 관련 문의 사항이 있어 글 남깁니다.1번에 getCount는 synchroinized 하는 이유가 뭔가요?중간에 호출되는 부분이 없는 것 같고, t1.join() t2.join() 으로 마지막 출력할때도,,, synchroinized이게 안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어서요 제가 이해를 잘못한건지 문의드립니다.
-
해결됨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db 연결 url 오류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h2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해보고 난 후 직접 mysql을 연결하여 해보고 싶어져 연동을 시도하였습니다.<오류화면><application.properties>그런데 이때 사진과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 application.properties에 mysql에 대한 정보를 정확히 적었으나 해당 오류가 발생합니다. application.properties의 위치는 src/main/resources에 위치하고 있습니다.사진과 같이 build.gradle에 의존성도 추가해 두었습니다.이 때, 영상에서 말씀해주신대로 빌드를 intelliJ로 설정해두면 해당 오류가 발생하나 gradle로 변경하면 정상적으로 db와 연결되어 작동합니다,,intelliJ가 속도가 빠르다고 하셔서 사용하고 있었으나 intelliJ로 빌드하면 오류가 발생하는지 모르겠습니다...ㅜ코드가 정확히 작성되어도 해당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일까요? 이대로 gradle로 빌드하면서 나아가도 나중에 문제가 없을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RabbitMQ를 이용한 비동기 아키텍처 한방에 해결하기
RabbitMQ에서의 트랙잭션 메시징 질문
안녕하세요. 트랜잭션 메시징에 대해 궁금한 것이 생겨 질문드립니다.트랜잭션 메시징은 데이터베이스 작업과 메시지 발행 작업을 원자적으로 수행하여 데이터의 일관성을 보장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강의 내용 중 '트랜잭션 메시징의 한계'에서 분산 트랜잭션을 완벽하게 보장하지는 않는다고 하셔서 이를 DB의 트랜잭션과 메시지 전송의 트랜잭션이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한다고 이해했습니다.그럼 RabbitMQ에서 트랜잭션 메시징을 지원한다고 할 수 있나요?
-
해결됨모르면 야근하는 문자 인코딩 완전 정복
코글 인코딩이 뭔가요?
안녕하세요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강의 듣다가 용어에 관해 궁금한게 생겨서 질문 남겨봅니다.1강 1분 27초쯤에 인코딩에 대한 구체화된 방법론을 설명하시면서 구글 인코딩이라고 하시는거 같은데 스크립트에서는 코글 인코딩이라고 표현되어서 확인 부탁 드립니다.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read Service 캐시방식 질문
학습 관련 질문을 최대한 상세히 남겨주세요!고민 과정도 같이 나열해주셔도 좋습니다.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안녕하세요? 강의 계속 잘 듣고 잇습니다. 이제거의 막바지에 이르렀네요 ㅎㅎ..게시글 목록조회 최적화와 관련하여 질문드리고자 합니다.제가 처음에 이해한 바는 최신의 천개의 데이터를 레디스에 적재하고, 그 외의 데이터는 직접 articleServcie를 통해 가져오자 라고 이해를 했었습니다.(hot, cold Data)그런데 이후의 결과적으로는 아래 두가지 캐시가 존재하게 되었더라구요1.zset을 활용한 인기글 데이터 관리(목록 조회 최적화)2.실제 데이터 queryModel(단건 조회 최적화)이런 구조에서는 zset에서 천개의 데이터를 관리하긴 하지만 실제로 queryModel에는 데이터가 있을지 없을지 확신을 할 수 없는 상황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즉 실제로 zset에 있는 데이터라 해도 하루가 지났다면 queryModel이 있을지 없을지 모르는 상황이라고 인지했습니다.질문1) 제가 이해한바가 맞을까요? 맞다면 이 구조를 선택하신 이유가 조금 궁급합니다.두 캐시를 합쳐서, queryModel자체를 하나의 캐시에서 천개의 데이터만 관리하면 되지않나? 라는 의문이 생겨가지구요어차피 천개의 데이터만 관리한다면 메모리를 그렇게 크게 차지 하지 않을 것 같기도 하구요질문2) 지금과 같은 구조에서는 zset을 활용한 article_id가 그렇게 큰 의미가 있는 부분인가? 라는 생각이 듭니다.- 어차피 최신순(1000개이하)의 데이터에 대해서 id를 추출하는거면 DB에서 offset을 세어도 그렇게 안느린 거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구요- zset에 포함되어 있더라도, 실제 데이터(QueryModel)가 있는지 없는지 확답을 할 수 없는 상황이니 큰 의미가 있는건가? 하는 의문이듭니다. 차라리 최신 천개의 데이터에 대해서는 조회에 필요한 모든 데이터를 캐싱해둔다면 큰 의미가 있을거라고 생각이 드는데, 지금의 경우에 대해서는 잘 모르겠네요 ㅠㅠ-결론적으로, 현재 회사에서 RDB를 주로 쓰고 있는 주니어 개발자 입장에서 관련해서 레디스를 도입해본다면.. 아키텍처 복잡도가 올라가는 부분에 비해 엄청 크게 이득이 되는 부분이 있나?? 라는 생각이 많이 들었습니다.질문3)추가로, 이거는 좀 다른 부분이긴 한데 read-service에서 like, unlike등 업데이트 이벤트 핸들러의 경우 동시요청에 대해서 lostupdate처럼 동작하는 부분이 있을 것 같은데 이부분은 배제하신건지, 혹은 제가 잘못생각하고 있는건지 궁금합니다.양질의 강의 정말 감사드립니다
-
미해결나도코딩의 자바 기본편 - 풀코스 (20시간)
변수 이름짓는법
5번 폴더에서 VariableNamimg)에서 강의에 있는데로 그대로 했고 6강상수로 넘어갔는데 6강에서 필드출력을 하려니까 5강이 에러라면서 넘어가지도 않고 5강도 필드출력이 안되네요. 왜 그런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