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3편, 람다, 스트림, 함수형 프로그래밍
람다 궁금한 점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강의를 아직 다 듣지 못해서 뒤에 관련 내용이 나올 수도 있지만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같은 람다식이 여러번 실행될 때마다 새 인스턴스가 생성되는 건가요, 아니면 JVM이 내부적으로 같은 람다식을 한 번 생성해서 재사용하는 건가요?감사합니다!
-
미해결백엔드 개발자 성능 개선 초석 다지기
스카우터 대신 쓸만한 모니터링 툴을 추천해 주실 수 있을까요?
여러 모니터링 툴을 사용해 보고 비교해 보려고 하는데 스카우터 외에 괜찮은 툴 있으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참고로 다른 개발자로부터 네이버의 핀포인트를 추천받긴 했습니다.
-
해결됨멀티 모듈 아키텍처로 구현하는 은행 서버 핵심 기능 [ Kotlin & Spring ]
CQRS 설계 팁
대규모 트래픽 환경에서 Write Service의 부하를 줄이기 위한 CQRS 설계 팁이 있을까요?
-
해결됨C개발자를 위한 최소한의 C++
임시 객체 복사 생성자 질문드립니다
30강 19분에서 TestData result = testFunc( 10); 에서 10은 리터럴 상수인데, TestData 객체로 변환될 때 값이 아닌 상수형 참조로 처리되는 건가요? 상수형 참조로 처리되기 때문에 컴파일러가 내부적으로 TestData(10) 라는 임시 객체를 생성해서 그 객체를 testFunc() 의 인자로 넘기는 과정이 맞는 건지 헷갈립니다..!
-
미해결BHPT - 호스트 기반 모의해킹 기초
추가 랩은 어떤 것이 좋을 까요?
모든 질문은 레드라쿤 디스코드 서버의 BHPT 질문게시판에 해주세요추가로 공부하고 싶은데 Hack The Box 나 Try Hack Me 어떤 것부터 하는 것이 좋을 까요?추천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한 번에 끝내는 자바스크립트: 바닐라 자바스크립트로 SPA 개발까지
Promise 객체
안녕하세요! 강의 너무 잘 듣고 있습니다 ㅎㅎ21강 비동기 처리 부분에서 비동기란 무엇인지 너무 잘 알려주셔서 어느정도 이해를 했다고 생각했습니다.setTimeout을 활용해서 시간으로 생각하니까 이해가 잘 되는것 같아요! 그 다음 강의에서 Promise 라는 부분이 나오는데, const promise = new Promise()이와 같은 생성자 함수(?)로 Promise 객체를 생성해서 사용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정확히는 Promise 객체가 무엇인지 잘 와닿지 않습니다 ㅠㅠ 강의를 듣다 보면 "Promise를 반환한다." 라는 말을 자주 들어볼 수 있는데, 이 말이 잘 이해가 안되고 있어서 이렇게 질문 남겨봅니다.
-
미해결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
서버에서 캐시 검증 헤더를 직접 처리해야 하나요?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예 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예[질문 내용]HTTP 캐시와 조건부 요청을 공부하다가 검증 헤더 부분이 잘 이해되지 않아 질문드립니다. 브라우저의 캐시가 만료되면 요청을 보낼때 검증 헤더를 포함해서 요청을 보내는 것으로 이해하였고이때 서버가 요청을 받아서 처리할때 Last-Modified나 ETag 값을 기반으로 새로운 리소스를 보내거나 304 Not Modified 응답을 반환해야 할 것 같은데요.이 과정에서 서버가 직접 Last-Modified나 ETag 값을 비교하는 로직은 서버에서 처리해야 하나요?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고급편
실무에서의 동시성 문제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실무에서의 동시성 문제에 대해서 궁금한게 생겨서 질문 드립니다.현재 외부 API를 사용하는 서비스를 개발 중인데, WebClient, RestTemplate를 사용하여 개발 중에 있습니다.구글링 및 Claude MCP를 사용하여 검증 했을 때에는 해당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때 동시성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없다고 하는데, 해당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때 동시성 문제에 완전히 자유로운 건가요? 아니면 특정 상황에서는 동시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건가요?만약 발생할 수 있다면, 어떻게 테스트 코드를 작성해서 확인 할 수 있을까요?
-
미해결RAG를 활용한 LLM Application 개발 (feat. LangChain)
RAG 및 AI Agent 개발을 위한 Python 학습
기존 자바 스프링 백엔드로 학습하고 있는데, 인공지능 분야 학습을 하려고하는데, Python을 어느정도로 학습해야할지 궁금합니다.기본적인 개념은 이해하겠는데, 문법 등이 낯선 부분들이 많이 있습니다.혹시 추천해주실만한 강의가 있으신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3편, 람다, 스트림, 함수형 프로그래밍
스트림과 for문 질문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스트림과 for문을 어느 경우에 선택해서 사용해야 할까요?실무에서 스트림과 for문을 기준이 없이 남발하게 되면 오히려 코드 품질이나 성능이 악화될 수 있나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기본편
수업 자료 만드는 방법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영한님. 만들어주신 수업 자료 덕분에 수월하게 복습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수업자료를 만드시는 과정과 도구가 궁금합니다. (이미지도 전부 직접 만드시나요?)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커버리지는 어떻게 활용하시는지 궁금합니다.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어떤 부분이 고민인지, 무엇이 문제인지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 보세요.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안녕하세요.좋은 강의 재밌게 수강하고 있습니다!강의를 들으면서 의식적으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학습하다 보니 테스트 코드에 대한 부분을 정량적인 지표로 활용할 수 있는 커버리지라는 지표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는데요. 제가 개발하는 부분은 도메인이 복잡한 프로젝트는 아니다 보니, 주로 Service Layer와 Presentation Layer 위주로 작성하게 되더라구요. queryDSL이나 native query를 이용해 복잡한 쿼리를 작성하게 되면, 가끔 Persistence Layer까지 작성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그러다 보니, 도메인 패키지가 아닌 Config 등 global 패키지에 존재하는 코드나 Persistence Layer의 테스트 코드가 커버리지가 낮고, Persistence Layer의 커버리지도 낮아서 그런지 보통 프로젝트의 라인 커버리지가 60% 전후를 기록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우빈님께서는 커버리지를 어떤 식으로 활용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커버리지 자체를 신경쓰기 보다는 말씀해주신 대로 미래를 위해 의미가 있는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고 싶은데, 커버리지도 활용하는 방법이 있는지? 그리고 주로 어떤 레이어 위주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시는지 궁금합니다!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미해결아바타 커뮤니티앱 만들기 (React Native Expo)
어플 개발 후 배포 시에 주의할 사항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제 절반 이상 수강중인 열혈 수강생입니다 !! 다름이 아니고, 올해, 어플 배포가 목표인데요 아바타 이미지는 저작권이 있기에 모두 제거하고 자체 제작으로 이미지 파일을 구성하여 다시 추가하려 합니다. 인강을 다 듣고 나서 제 아이디어를 첨가하고 아바타 이미지만 바꿔 출시해도 되는 부분일까요?
-
미해결38군데 합격 비법, 2025 코딩테스트 필수 알고리즘
구현/시뮬레이션 문제에 대한 준비 방법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딩코딩크님의 강의를 듣고 코딩 테스트를 준비 중인데 구현/시뮬레이션으로 분류되는 문제들에 대한 대비 방법이 궁금합니다. 같은 알고리즘을 사용하더라도 구현 조건이 복잡해지는 경우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경우 문제를 많이 풀어봐도 구현 능력이 올라간다는 느낌을 받지 못한 것 같습니다. 이럴 때 시도해볼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카프카 학습에 관한 질문
강사님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카프카의 성능과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기법과 설정에 대해서 강의에서는 해당 부분이 깊이 다루어지지 않아, 이후에는 수강생이 스스로 학습해야 한다고 하셨는데요.현재 현업에서는 카프카를 직접 사용하지 않고 있어 개인적으로 학습이 필요한 상황입니다.추천하실 만한 도서나 강의, 혹은 효과적인 학습 방법이 있을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완강 후 학습 방향에 대한 질문
쿠케님 안녕하세요!우선 좋은 강의 제작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강의 들으면서 대규모 시스템을 설계할 때는 어느 것을 신경써야 하고, 또 주의해야 하는지 많은 인사이트를 얻고 있어요. 추석 연휴 동안 제 나름대로 열심히 들어서 이제 한 개 섹션만 남았는데, 완강을 한 뒤에 강의에서 얻은 것들을 토대로 대규모 트래픽을 가정한 서비스를 설계하고, 개발해보려고 합니다. 강의로만 듣고 넘기기에는 아까운 내용들이 많아서 확실하게 제 것으로 만들어야겠다 싶더라고요. 일하면서 써먹으면 더없이 좋겠지만 아쉽게도 그럴 환경은 안 되어서요.. ㅎㅎ 그래서 나름대로 구상을 해보면서 강의를 듣고 있는데, 문득 강의에서 다룬 아키텍처와 기술을 한 번에 다 도입하는 건 오히려 학습 효율을 떨어뜨리는 선택이 아닐까 싶은 생각이 들어서요. 실무에서 Redis 정도는 사용해봤지만, 분산 데이터베이스나 MSA도, Kafka나 CQRS도 이 강의에서 처음 사용해봤습니다. 개념은 대충 주워 듣긴 했지만, 제대로 공부해본 적도 없고요. 결론적으로 하나씩 해보는 게 낫겠다 싶은데, 강의에서 다룬 내용 중 어느 것을 먼저 학습하는 게 좋을지 쿠케님께 조언을 구하고 싶어요. 물론 정답이 없는 문제지만, 지금 당장 제가 일하는 환경에서는 써먹을 일이 별로 없는 내용들이다 보니 무엇을 먼저 하는 게 좋을지 선택하기가 어렵네요. 감사합니다.
-
미해결개발자를 위한 쉬운 도커
우분투 설치
안녕하세요.우분투에서 설치 진행하고 싶은데,따로 챕터가 없는 거 같아서요.우분투 셋팅은 어떻게 진행할 수 있을까요?
-
미해결대규모 트래픽 처리를 위한 부하테스트 입문/실전
부하 테스트에 대한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재성님. k6 공식문서에 보면 시나리오라는 개념이 있는데요. 현업에서 부하 테스트할때 로그인 이후에 처리되는 로직에 대한 부하 테스트를 진행한다면. 이때 vUser 수가 100명이라하면이때는 회원 테이블에 더미데이터를 만들어두고 진행할 까요? 아니면 로직에 대한 부하가 아니라면특정 페이지 접근에 대한 테스트로 진행될까요?(강좌에서는 시나리오보다는 특정 페이지에 대해서 한 느낌이였습니다) 현업에서는 K6 를 어떻게 다루시는지 문의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오브젝트 - 기초편
도메인 모델을 잘 정의하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를 통해 값진 지식을 얻어갔습니다. 감사합니다.다름이 아니라 완강 이후 "좋은 도메인 모델은 어떻게 만드는 것인가?" 라는 의문이 들었습니다.강의를 통해 도메인 모델과 변경의 관점에서 설계를 평가하는 방법과 책임을 부여하는 패턴들을 통해 개발자의 변경에 유연한 코드를 만드는 실마리는 얻었지만 한편으로는 이러한 부분들은 문맥을 제공하는 도메인 모델이 잘 정의되어있을 때, 빛이 발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이 들었습니다.사실 현업에서 도메인 모델을 따로 정의하고 의식하면서 개발을 해본 경험이 없기 때문에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지 잘 모르겠습니다. 따라서 아래의 세부 의문점에 대해 답변해주실 수 있으면 감사하겠습니다.도메인 모델은 개발 프로세스 중 어느 시점에 정의하는 것이 좋은지?도메인 모델을 정의하는 것은 개발자가 주도적으로 이끄는 것인지 아니면 기획자와 같은 다른 팀원들과 함께 만들어 나가는 것인지?만들어진 도메인 모델을 토대로 설계 및 개발을 진행하다 도메인 모델을 변경해야만 하는 순간이 있는지?좋은 도메인 모델을 만들었는지 평가해볼만한 방법들이 있는지?
-
미해결PM, PO가 처음이라면 들어야할 실무의 모든것 [입문]
수업 자료 문의
안녕하세요. 첨부 자료 질문 드립니다! 이전 문의된 내용이긴한데, 스프레드시트가 아닌 영상이 첨부되어 있습니다. 아직 교체되지 않은 것 같아 확인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