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강의 10분 20초 부분에 대해 질문 있습니다.
운영제체 관점에서 보면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다.워드 프로그램 - 프로세스A스레드1: 문서 편집스레드2: 자동 저장스레드3: 맞춤법 검사유튜브 프로세스B스레드1: 영상 재생스레드2: 댓글강의 내용중에 위와 같은 내용이 있습니다.유튜브라는 프로세스가 실행이 되고 영상 재생을 담당하는 스레드1이 생기고 댓글을 담당하는 스레드2가 생긴다고 했을때 영상 재생은 계속해서 사용자한테 보여줘야 하므로 스레드1이 쭉 영상 재생을 담당할거 같은데 댓글 같은 경우는 스레드2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궁금합니다. 댓글을 작성할때마다 스레드2가 생성되서 해당 댓글을 담당 한다는 건지 아니면 딱 하나의 스레드2가 생성이 되고 이 스레드2가 여러 사용자들의 댓글 작성 요청에 대해 관리를 하는건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포트폴리오 초간단 배포하기
8080 접속 안 되는 문제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클라우드 서비스는 GCP 사용하고 있습니다. 문제점크롬에서 8080 접속 시 접속이 안 되는 문제입니다. 그래서 먼저 방화벽 문제인가 싶어 방화벽 설정을 했습니다. 설정 후 접속하면 응답이 너무 오래 걸려서 연결할 수 없다고 합니다.제가 이쪽에 지식이 없어서 어떻게 해결해야 할지 감이 안 옵니다. 혹시 해결하기 위한 키워드를 알려주실 수 있으신가요?
-
해결됨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6-I 질문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선생님 🙂이번 문제도 테스트케이스는 맞췄는데 틀렸네요 ㅠㅠ 이번 문제는 모르는 부분이 좀 많습니다! high의 값을 입력된 배열의 최소값으로 설정하였습니다. 왜 틀리는걸까요?테스트케이스에서 파의 길이 중에 가장 짧은 길이는 230입니다. 230보다 긴 파는 있을 수 없다고 판단하여 변수에 값을 저장한 후에 high의 값을 지정하였습니다. Check함수의 조건의 순서에 따라 값이 묘하게 바뀝니다.// main if (Check(mid)) { high = mid - 1; result = mid; } else { low = mid + 1; } bool Check(ll m) { return cnt < C; }그동안은 위와 같이 조건을 세웠었는데요, 이번 문제는 high와 low의 값을 변경해주는 위치가 바뀌었습니다. 그에 따라 Check함수의 return 조건도 아래와 같이 정반대로 바뀌었습니다. 윗 코드대로 출력을 하면 mid의 값이 176이 나옵니다. 반대로 아래 코드대로 출력하면 mid의 값은 175가 나옵니다.// main if (Check(mid)) { low = mid + 1; result = mid; } else { high = mid - 1; } bool Check(ll m) { return cnt >= C; }아무리 봐도 두 코드는 같은 코드로 보이는데요, 왜 값이 차이가 나는건지 모르겠습니다. 또, 이번 문제는 왜 아래의 방식을 선택하셨는지도 궁금합니다. 저는 아래의 링크와 같이 Check함수에서 result의 값을 도출하여 출력을 하였습니다. 아무리봐도 문제가 없다고 생각하는데요, 이렇게 풀이하면 왜 틀리는걸까요?http://boj.kr/325f8cd992f24dbbabf49c86a12384f6
-
해결됨유니티 시스템 프로그래밍 Pt.1 - 상용 게임 구현을 위한 핵심 시스템 올인원 패키지
SingletonBehaviour 클래스의 where 제약 관련해서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섹션 2의 SingletonBehaviour 강의 수강 중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 남깁니다.해당 클래스가 MonoBehaviour의 성격을 띄게 하기 위해서 클래스에 MonoBehaviour를 상속시키는 것 까지는 이해가 되었습니다.그러나 뒤에 다시 SingletonBehaviour<T>에 대한 제약의 필요성이 충분히 이해되지 않아 모호하게 느껴졌습니다. 앞으로 SingletonBehaviour를 상속 받을 클래스에 구현을 강제하는 것인지, 아니면 성능 상의 제가 알지 못하는 이점이 있는 것인지 궁금합니다.해당 SingletonBehaviour 클래스가 아니더라도, 클래스 설계에 있어 이와 같은 재귀적인 형태의 where 제약이 어떤 의미 또는 의도가 있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C#과 유니티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1: C# 기초 프로그래밍 입문
C# 시리즈 || C++ 시리즈 자료구조 강의에 대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방금 전 C# part.1 끝낸 비전공자 학생입니다!이제 part.2로 넘어가려고 하는데 커뮤니티 글에 C++ 자료구조가 더 상위호환이라고 들어서 혹시 이제 갓 입문한 학생도 C++ 자료구조를 보는게 더 도움이 될까요?C++ 자료구조를 이해하려면 C++ 지식이 필요한건 아닌지 여쭤봅니다!
-
해결됨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Connected Component 문제 질문!
안녕하세요!Connected Componenet문제로 방귀 문제를 예시로 들어줬는데 만약 조건중에 어떤 육지는 오염이 되지 않게 해주는 장치가 있다고 한다면 해당 장치가 있는 육지는 ret에 포함되지 않아야 하는데, 이렇게 코드를 짤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
해결됨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6-H 질문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선생님 🙂6-H 문제를 보자마자 6-E 대칭 차집합 문제가 떠올라서 같은 방식으로 풀어봤는데요,테스트케이스는 맞지만 틀렸다고 나옵니다. 이유가 뭔지 잘 모르겠어서 질문드립니다!! http://boj.kr/0c301b3a0f1546d08e31a6b41e69ea70
-
미해결[아파치 카프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개념부터 컨슈머, 프로듀서, 커넥트, 스트림즈까지!
카프카의 도입 시기를 결정하는 노하우가 더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너무나 감사드립니다.조금 추상적인 질문이어서 곤란하실 것 같아 죄송하네요..ㅎㅎ구체적으로는 말씀드리진 못 하지만, 현재 저희 회사에서 어떠한 하드웨어 장비를 통해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수집/통계생성/조회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려고 준비 중에 있습니다. 강의 중에 GPS 서비스에 대해 종종 언급하셨는데 그 경우와 유사한 IoT 서비스입니다.지금은 하드웨어 쪽에 투자를 하는 상황이라 간단하게 HTTP 통신으로 하드웨어 몇 대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Spring Boot 서버가 데이터를 받아서 처리하고 있습니다.실제 제품 환경에서는 부하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하여 MQTT 를 사용한 데이터 수집을 하려고 계획하고 있습니다. 그러던 차에 Kafka 에도 관심을 가져서 강의를 수강해봤는데 Kafka 가 생각보다도 훨씬 대형 서비스에서 써야 할 것 같아서 저희 회사 서비스에서 사용할 만한 건 아닌가...고민하다가 직접 여쭤보려고 합니다.하드웨어는 2초에 1번씩 데이터를 수집하고 전송합니다. 추측하건대 이후에도 1초에 수십 번의 트래픽이 발생하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만약 그렇게 해야 하더라도 수십 번 수집한 데이터를 1~2초에 1번씩 전송해도 괜찮습니다.수집하고 전송할 데이터, 그러니까 Record 의 Value 는 JSON 형태이며 약 100byte 정도입니다.하드웨어 장비는, 하드웨어 담당자의 의견을 따르자면 최대 100만 대까지 생산하려는 것 같습니다.서비스는 물론 확장이야 할 수 있겠지만, 현재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으로 구상된 사업 아이템은 없는 것 같습니다. 즉, 수집한 데이터를 사용하는 서비스는 하나만 있습니다.그러면 단순 계산해서 최대 1초에 100MB 의 요청 / 1초에 100만 번의 요청을 처리해야 한다면, 이정도면 Kafka 도입이 의미가 있을까요?강의에서 언급한 대로, Kafka 를 IaaS 로 운영한다고 하더라도 서버 비용이 월 몇 십만 원씩 내면서 도입할 가치가 있냐고 하면, 솔직히 그렇게 보이진 않거든요 결론적으로 질문은 아래와 같습니다.웬만한 대기업, 대형 서비스가 아니고서야 Kafka 도입은 오버스펙일까요?저희 회사처럼 단일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 처리와 고가용성을 확보하려고 하더라도 Kafka 도입이 의미가 있을까요? 강의에서 언급된 인스턴스 스펙보다 낮은 수준의 인스턴스에서 Kafka 를 실행하는 건 괜찮을까요?Kafka 는 어느 정도의 트래픽이 발생해야 도입이 유의미할까요?Kafka 도입을 고려하는 시점에 대한 의사결정 요소에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키워드 위주로만이라도 설명해주시면 제가 한 번 조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해결됨실리콘밸리 엔지니어가 가르치는 파이썬 장고 웹프로그래밍
handler, static 질문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mysite>urls.py에handler404 = 'mysite.views.error_404_view' # #404에러 발생시 처리 handler500 = 'mysite.views.error_500_view'이렇게 작성하고,views.py 에서 def 로 함수 정의해서 쓰는데요.handler404, handler500 views.py에 context로 연결하는 예제 하나만 보여주시면 안될까요.원래 질문은 handler404, handler500를 어디에 쓰는지 모르겠다 였는데, 강의 후반부에 context로 연결해서 쓴다고 말씀해주셔서 질문을 바꿨습니다. 다른 질문은 static 부분에서 main.html 에서 <img src = "{% static 'mysite/django.png' %}" alt="Django image" />이렇게 작성해서 사용하는데, static을 settings.py에 정의해서 사용하신다고 알려주셨는데, 어떤 부분과 대응 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STATIC_URL ='/static/' 이부분 뒤로 붙어서 static/mysite/django.png 이런식으로 읽어오게 되는게 맞을까요?질문 받아주셔서 감사합니다.
-
해결됨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6-G 질문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선생님 🙂 한가지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 있어서 질문 드립니다. result = -1인 경우를 아래와 같이 처리했는데요, if (X <= Y) { cout << "-1" << '\n'; return 0; }X == Y일 경우는 당연히 정답처리가 되긴 하지만.. 혹여나 예외로 Y의 값이 X보다 클 경우를 예외처리하려고 했는데요, 이게 왜 틀렸다고 나오는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항상 감사합니다:)http://boj.kr/9feefe6cb25d4acbaef72f01f91a84cb
-
미해결처음 만난 리액트(React)
mini-blog 프로젝트 질문합니다
// PostListItem.jsx import React from "react"; import styled from "styled-components"; const Wrapper = styled.div` width: calc(100% -32px); padding: 16px; display: flex; flex-direction: column; align-items: flex-start; justify-content: center; border: 1px solid grey; border-radius: 8px; cursor: pointer; background: white; :hover { background: lightgrey; } `; const TitleText = styled.p` font-size: 20px; font-weight: 500; `; // 글의 제목만 표시 function PostListItem(props) { const { post, onClick } = props; return ( <Wrapper onClick={onClick}> <TitleText>{post.title}</TitleText> </Wrapper> ); } export default PostListItem; // PostList.jsx import React from "react"; import styled from "styled-components"; import PostListItem from "./PostListItem"; const Wrapper = styled.div` display: flex; flex-direction: column; align-items: flex-start; justify-content: center; :not(:last-child) { margin-bottom: 16px; } `; function PostList(props) { const { posts, onClickItem } = props; return ( <Wrapper> {posts.map((post) => { return ( <PostListItem key={post.id} post={post} onClick={() => { onClickItem(post); }} /> ); })} </Wrapper> ); } export default PostList; 안녕하세요, 소플님. mini-blog 프로젝트 실습 질문합니다.박스 테두리가 강의 영상과 다르게 나오는데 style부분에서 어느 파일을 고쳐야 할지 잘 모르겠습니다.좋은 강의 무료로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미해결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Part1 - 언리얼 C++의 이해
GC와 UPROPERTY 에대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교수님. 교수님의 12강 강의를 수강 중에 UE의 UObject 메모리 관리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 드리게 됐습니다. "UPROPERY 지정을 통해 GC에 의해서 관리되는 UObject가 회수되지 않도록 한다."라고 저는 이해했는데 맞게 이해한 것일까요? 만약 그렇다면 해당 메모리는 항상 Heap에 잔류한다고 봐도 될까요? 더 이상 필요 없어진 UObject라서 메모리에서 삭제하고 싶다면 어떻게 진행해야 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게임 프로그래머 입문 올인원] C++ & 자료구조/알고리즘 & STL & 게임 수학 & Windows API & 게임 서버
현장강의는 어디서 들을 수 있나요???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현장강의를 들어야 수업을 따라갈 수 있을것같아요 ㅠ
-
미해결[C++과 언리얼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4: 게임 서버
static TypeConversion conversion, template argument 없는 경우
준비해주신 강의자료TypeCast.h153번줄에 있는 선언에 대한 질문입니다. static inline bool CanConvert(int32 from, int32 to){static TypeConversion conversion;return s_convert[from][to];} CanConvert 함수안에 있는 TypeConversion 타입의정적변수 선언이 문법적으로 잘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TypeConversion은 class template이기 때문에선언할 때 template argument값(=typeList)을 줘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제가 생각했던 예시)ex) static TypeConversion<TL> conversion; 근데 예시 코드에는 생략하여도 잘 동작해서관련해서 어떤 문법인지 찾으려고 했는데 찾지 못했습니다 개인적으로 열심히 고민해봤는데 default type이 정해진 경우에 생략이 가능하고template function에는 인자 값을 통해 추론해템플릿 인자값을 생략하는 경우도 있었지만둘 다 해당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TypeConversion<TL>::CanConvert(ptr->_typeId, IndexOf<TL, remove_pointer_t<To>>::value)를 통해서 이미 template class가 인자 값을 받아서인스턴트화 했기 때문에 생략이 가능한 것으로 이해해도 괜찮을까요? -수정Injected-class-name 라는 cpp reference를 찾았습니다제가 궁굼해 하는게 이게 맞을까요?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JdbcMemberRepository 문제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이런 오류가 뜨는데 대체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 ㅠㅠpackage hello.hello_spring.repository; import hello.hello_spring.domain.Member; import org.springframework.jdbc.datasource.DataSourceUtils; import javax.sql.DataSource; import java.sql.*;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List; import java.util.Optional; public class JdbcMemberRepository implements MemberRepository{ private final DataSource dataSource; public JdbcMemberRepository(DataSource dataSource) { this.dataSource = dataSource; } @Override public Member save(Member member) { String sql = "insert into member(name) values(?)"; Connection conn = null; PreparedStatement pstmt = null; ResultSet rs = null; try { conn = getConnection(); pstmt = conn.prepareStatement(sql, Statement.RETURN_GENERATED_KEYS); pstmt.setString(1, member.getName()); pstmt.executeUpdate(); rs = pstmt.getGeneratedKeys(); if (rs.next()) { member.setId(rs.getLong(1)); } else { throw new SQLException("id 조회 실패"); } return member; } catch (Exception e) { throw new IllegalStateException(e); } finally { close(conn, pstmt, rs); } } @Override public Optional<Member> findById(Long id) { String sql = "select * from member where id = ?"; Connection conn = null; PreparedStatement pstmt = null; ResultSet rs = null; try { conn = getConnection(); pstmt = conn.prepareStatement(sql); pstmt.setLong(1, id); rs = pstmt.executeQuery(); if(rs.next()) { Member member = new Member(); member.setId(rs.getLong("id")); member.setName(rs.getString("name")); return Optional.of(member); } else { return Optional.empty(); } } catch (Exception e) { throw new IllegalStateException(e); } finally { close(conn, pstmt, rs); } } @Override public List<Member> findAll() { String sql = "select * from member"; Connection conn = null; PreparedStatement pstmt = null; ResultSet rs = null; try { conn = getConnection(); pstmt = conn.prepareStatement(sql); rs = pstmt.executeQuery(); List<Member> members = new ArrayList<>(); while(rs.next()) { Member member = new Member(); member.setId(rs.getLong("id")); member.setName(rs.getString("name")); members.add(member); } return members; } catch (Exception e) { throw new IllegalStateException(e); } finally { close(conn, pstmt, rs); } } @Override public Optional<Member> findByName(String name) { String sql = "select * from member where name = ?"; Connection conn = null; PreparedStatement pstmt = null; ResultSet rs = null; try { conn = getConnection(); pstmt = conn.prepareStatement(sql); pstmt.setString(1, name); rs = pstmt.executeQuery(); if(rs.next()) { Member member = new Member(); member.setId(rs.getLong("id")); member.setName(rs.getString("name")); return Optional.of(member); } return Optional.empty(); } catch (Exception e) { throw new IllegalStateException(e); } finally { close(conn, pstmt, rs); } } private Connection getConnection() { return DataSourceUtils.getConnection(dataSource); } private void close(Connection conn, PreparedStatement pstmt, ResultSet rs) { try { if (rs != null) { rs.close(); } } catch (SQLException e) { e.printStackTrace(); } try { if (pstmt != null) { pstmt.close(); } } catch (SQLException e) { e.printStackTrace(); } try { if (conn != null) { close(conn); } } catch (SQLException e) { e.printStackTrace(); } } private void close(Connection conn) throws SQLException { DataSourceUtils.releaseConnection(conn, dataSource); } } error: JdbcMemberRepository is not abstract and does not override abstract method cleatStore() in MemberRepository public class JdbcMemberRepository implements MemberRepository{
-
미해결파이썬 무료 강의 (기본편) - 6시간 뒤면 나도 개발자
uninstall beautifulsoup4 했더니 인텔리제이를 삭제하려 하는데..
평소에 인텔리제이로 자바 공부를 하긴 했는데 이건 무슨 경운가요..
-
미해결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7-c 코드 질문입니다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제가 작성한 아래의 코드에서 항상 실제 답보다 1이 작게 나오는데 그 이유를 알 수 있을까요?#include <bits/stdc++.h> using namespace std; int n, m, ny, nx; int dy[] = {-1, 0, 1, 0}; int dx[] = {0, 1, 0, -1}; int mp[51][51]; int dp[51][51]; // 2차원 dp 배열로 수정 // dp[y][x]: 현재 위치에서 최대 몇 번 이동할 수 있는가? int move(int y, int x) { // 이미 계산된 값이 있으면 그 값을 반환 if (dp[y][x] != -1) return dp[y][x]; dp[y][x] = 0; // 이동 불가능한 상태로 설정 (기본값) // 4방향 탐색 for (int i = 0; i < 4; i++) { ny = y + mp[y][x] * dy[i]; nx = x + mp[y][x] * dx[i]; // 오버플로우 처리 및 구멍 처리 if (ny >= n || nx >= m || ny < 0 || nx < 0 || mp[ny][nx] == 0) continue; int ret = move(ny, nx); dp[y][x] = max(dp[y][x], ret + 1); // 현재 위치에서 한 번 이동하고 나서 계산 } return dp[y][x]; } int main() { cin >> n >> m; // 입력 받기 for (int i = 0; i < n; i++) { for (int j = 0; j < m; j++) { char v; cin >> v; if (v == 'H') { mp[i][j] = 0; // 'H'는 구멍이므로 0으로 처리 } else { mp[i][j] = v - '0'; // 숫자는 변환해서 저장 } } } // DP 테이블 초기화 (-1로) memset(dp, -1, sizeof(dp)); // 배열 처리 확인 for (int i = 0; i < n; ++i) { for (int j = 0; j < m; ++j) { cout << mp[i][j] << " "; cout << dp[i][j] << " "; } cout << "\n"; } // 첫 위치에서 최대 이동 횟수 계산 int result = move(0, 0); cout << result << "\n"; return 0; }
-
미해결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rightSectionWrapper,leftSectionWrapper 중앙정렬 질문입니다!
flex 컨테이너 안에 rightSectionWrapper,leftSectionWrapper 에 각각 flex-grow:1을 주어 컨테이너의 남은 여백을 똑같이 가져가고 leftWrapper에는 flex-end, rightWrapper에는 flex-start를 주어 중앙정렬 처럼 보이게 나타내는 것까지는 이해 하였습니다.그런데 직접 코드를 작성하여 로컬에서 실행해보니 flex-grow가 적용이 되질 않습니다. . 개발자 도구를 확인해보면 분명 적용돼있는데 오른쪽 끝에 덩그러니 여백이 남아있습니다. 깃허브의 코드와 비교해보니 다른게 없어 ch2-1의 코드를 복붙해서 로컬에서 돌려봤더니 똑같이 flex-grow가 적용되지 않았습니다. 어떤 문제가 있어서 그런 것일까요 .. ? 코드는 문제가 없어 보이긴하는데 .. import { ReactNode } from "react"; import style from "@/app/(afterLogin)/layout.module.css"; import Link from "next/link"; import Image from "next/image"; import ZLogo from "../../../public/zlogo.png"; export default function AfterLoginLayout({ children, }: { children: ReactNode; }) { return ( <div className={style.container}> <header className={style.leftSectionWrapper}> <section className={style.leftSection}></section> </header> <div className={style.rightSectionWrapper}> <div className={style.rightSectionInner}> <main className={style.main}>{children}</main> <section className={style.rightSection}></section> </div> </div> </div> ); } .container { display: flex; align-items: stretch; background-color: #fff; } .leftSectionWrapper { display: flex; align-items: flex-end; flex-direction: column; flex-grow: 1; } .leftSection { background-color: orange; height: 100dvh; width: 275px; padding: 0 8px; } .rightSectionWrapper { display: flex; align-items: flex-start; height: 100dvh; flex-direction: column; flex-grow: 1; } .rightSectionInner { display: flex; flex-direction: row; background-color: aqua; width: 990px; height: 100%; } .rightSection { background-color: aquamarine; height: 100%; }
-
미해결입문자를 위한 코딩테스트 핵심(이론과 문제풀이) [Python]
[문제 5번] 중복제거
혹시 입력 받은 배열을 list(set(배열명))을 통해 중복을 제거한 후 deque 자료구조로 바꾸면 시간 복잡도상 문제가 될까요?
-
해결됨Kevin의 알기 쉬운 Spring Reactive Web Applications: Reactor 1부
Reactor 3부의 오픈 일정에 관해서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최근에 Spring MVC 말고도 Spring WebFlux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지게 되어 Reactor 공부를 막 시작한 주니어입니다. 해당 강의가 3부까지 기획되어 있는 것으로 강의소개를 봤었습니다. 강사님께서도 무척이나 바쁘시겠지만, 혹시 3부는 언제쯤 오픈할 예정이신지 여쭤봐도 될까요?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