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한 입 크기로 잘라먹는 Next.js(v15)
클라이언트 컴포넌트에서 fetch 하는 경우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Next.js에서 서버 컴포넌트가 주로 데이터 페칭을 담당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서버컴포넌트 외에 클라이언트 컴포넌트에서 fetch를 직접 호출하는 사례가 있는지 궁금합니다.추가로 클라이언트 컴포넌트에서 fetch를 할 때도 Next.js의 request memoization 기능이 자동으로 동작하는지 질문드려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설계 1편, 현대적 데이터 모델링 완전 정복
JPA에서 엔티티 정의시에 시간 타입 정의에 대해서.
어떻게 보면 이 수업과는 조금은 먼 이야기일수도 있는데 실제 프로젝트에서 JPA를 다루다보니 엔티티 선언시에 시간 타입 정의를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가 항상 고민이 되더라구요. 현재 프로젝트에서는 Entity 정의시에는 Instant를 사용을 하는데, 혹시 추천하시는 방법이 있을까요??
-
해결됨회사에서 바로 쓰는 업무자동화 AI 에이전트 (w. n8n, LangGraph)
신입 역량
AI 관련 직군이 아니더라도 AI에 대한 능력을 가지고 있어야 하는 추세같은데 여기서 말하는 AI에 대한 능력이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요? n8n을 사용해서 AI를 도입한다던지,, 필요시 랭체인 개발을 할 수 있는 능력이라던지,, AI지식이 없어 추상적으로 여쭤보는 점 죄송합니다.
-
미해결초보자를 위한 IT 인프라의 이해
초보자를 위한 IT 인프라의 이해
강의중에 69강,아무것도 안나오고, 그냥 빈화면이 나오는데여기는 수업자료가 없는거죠?
-
해결됨1000만 Traffic을 견디며 적용한 RPC 통신에 대해 학습하고 구현해보기
grpc 도입을 고려할만한 케이스
안녕하세요. 강의 재미있게 잘 봤습니다. grpc를 도입을 고려할만한 다른 케이스 (성능이 크게 중요하지 않은) 가 어떤게 또 있을지 고견을 여쭙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파이썬 동시성 프로그래밍 : 데이터 수집부터 웹 개발까지 (feat. FastAPI, async, await)
대규모 크롤링 시 동시 요청 수 제어 방법
asyncio.gather()를 사용해 여러 요청을 동시에 처리하는데, 실제 프로덕션 환경에서는 어떻게 다루는지 궁금합니다.예를 들어, 페이지를 1,000개 크롤링하거나 이미지를 수천 장 다운로드할 때 서버에 부하가 생기거나 IP 차단 같은 문제가 발생할 것 같습니다.해결 방법으로 동시 요청 수를 제한하는 게 좋을까요? 만약 그렇다면 적절한 동시성 수준(5개? 10개? 50개?)은 어떤 기준으로 결정하나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runnable 질문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섹션 3에서 runnable를 인터페이스로 불러서 사용할 때 static으로 정의하는 이유가 있나요? 그리고 간간히 왜 이거는 생성자를 받아오지 않고 바로 써야 하는지, 이건 왜 static을 써야 하는지 등등의 의문이 드는데 제가 자바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서 그런 걸까요? ㅜㅜ 중급편 내용이 아는 내용이라 건너뛰었는데 중급도 수강하는게 맞을까요?
-
미해결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백준 몇 번 문제인지 안 나와있는 것 같습니다
영상에 바로 해설부터 나와서 몇 번 문제를 풀어야 하는지 못 찾겠네요q&a를 보고 알긴 했는데 따로 어디 표시가 되어 있는 걸까요?
-
해결됨LangGraph를 활용한 AI Agent 개발 (feat. MCP)
3.3 langgraph 의 tool 호출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 해당 챕터에서 강의 내용과 실행 결과 간 매치가 잘 안되는 듯 느껴져 문의드립니다.from langchain_core.messages import HumanMessage for chunk in graph.stream({'messages': [HumanMessage('3에다 5를 더하고 거기에 8을 곱하면?')]}, stream_mode='values'): chunk['messages'][-1].pretty_print()강의 화면에서 위와 같은 query 에 대해 노드 단위로 출력한 결과를 보면, 첫 번째 Ai Message 는 Tool Calls 로 add 과 multiply 두 툴에 대한 요청을 함께 생성하고 다음 Tool Message 로 multiply 의 결과 64 를 반환, 두 번째 Ai Message 는 Tool Calls 로 multiply 만 생성하고 다음 Tool Message 로 결과 64를 반환하고 있습니다.근데 강의에서는 첫 번째 Ai Message 에 대해 "먼저 덧셈을 실시합니다. 그러니까 multiply(?) 라는 툴이 64를 주고, 근데 task 가 두 개니까 task 에서 도구 호출을 또 하는 겁니다. 그런 다음에 64라는 답이 나오고..." 라고 녹화되어 있는데... 이게 무슨 얘기인지 잘 와닿지가 않네요..녹화 당시의 실행 결과와 상관없이 add 한 번 호출 후 multiply 한 번 호출에 대한 설명인 걸까요? 아니면 병렬 도구 호출에 대한 설명인 걸까요? 감사합니다.
-
미해결비전공자 혼자서 하루 만에 수익화 앱 출시하기
직장인과 개인사업자 등록
안녕하세요~ 제공해주시는 좋은 강의 덕분에 열의를 가지고 앱 만들고 있습니다ㅎㅎ 다름이 아니라 개인사업자 등록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어서요.인앱 결제 기능에는 사업자 등록이 필요하고, 그 외에 세금 관련 감면 혜택도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요.다만 현재 직장을 다니다 보니 사업자 등록을 내도 될까 부터 시작해서, 지금 단계에서 등록을 하기에는 배보다 배꼽이 커지는 것 아닐까 등 여러 생각이 있습니다. 이런 걱정 전에 우선 앱을 배포해보는 것이 우선으로 보여, 우선 개인 계정으로 진행하고 있는데요. 혹시 관련하여 경험으로 얻은 팁(?)이 있다면 공유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JPQL 대신 네이티브 쿼리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강의를 듣다가 JPQL을 생성해주는 JPA나 QueryDSL이 되게 편리하고 유용한 기술이라는 생각이 들었는데, 네이티브 쿼리를 활용해야 하는 상황에 대해서도 궁금해지더라구요.네이티브 쿼리를 활용해야만 하는 상황이나, JPQL 대신 네이티브쿼리를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인 유스케이스를 알려 주실 수 있나요? 예를 들어, 대용량 배치 작업의 경우에는 ....과 같은 부분에서 오버헤드가 발생하는 JPQL 대신 네이티브 쿼리를 사용할 수 있는 JDBC 템플릿 등을 사용하는 것이 권장되서 많이 사용된다거나 하는 부분입니다.
-
미해결마이크로서비스 디자인 패턴 완벽 가이드
마이크로서비스와 모듈러 아키텍처 선택 질문
db(db2, 오라클 등등)가 여러 종류로 나뉘어 서비스 중입니다. 무조건 마이크로 서비스 구조를 채택하는것이 좋을까요?
-
미해결옵시디언 마스터 클래스(생산성을 바꾸는 기록 습관)
6F 구조에서 노트를 분류할 때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노트나 항목을 분류하는 과정에서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 드립니다. 예를 들어, Figurehead 항목에 제가 공부하고 있는 것들을 정리하려고 합니다.개발 등 여러 범주의 내용들이 들어갈 것 같아 중분류 격의 항목들을 만들어 up 속성으로 MOC에 추가 하였는데요,이 때 실제 공부하는 항목들은 up 속성을 해당 중분류 항목 뿐만 아니라 Figurehead까지 가지게 됐습니다. (Figurehead의 Effort base 에 표시하기 위해서) 문득 이런 경우들이 많아지면 그래프 뷰에서 확인할 때 굉장히 복잡해 질 것 같았습니다.세부 항목들이 중분류 뿐만 아니라 가장 상위인 6F 항목들 까지 연결되니까요.분류를 상세하게 하면 할 수록 두드러질 듯 합니다.중간 분류를 위해서는 어떻게 정리하는 것이 좋을까요?위 상황처럼 가장 가까운 상위와 최상위를 연결최상위는 연결하지 않음애초에 중간 분류를 만들지 않음중간 분류 항목을 만들지 말고 다른 속성 등으로 관리 MOC 항목에는 위 처럼 분류를 위한 항목이 들어가도 될까요?Map of Contents 인 만큼 세부 항목들이 들어가도 되긴 하겠지만, 훗날 수가 많아 질 경우를 위해 정리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강사님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checkDuplicateEmail 메서드와 동시 요청에 관한 질문
안녕하세요 토비님! 좋은 강의 만들어주셔서 잘 듣고 있습니다.작은 질문이 하나 있는데요. checkDuplicateEmail 메서드와 동시 요청에 관한 질문이 있습니다.섹션 5. 28강 회원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테스트(2) 20:47초 경에 email 중복 체크를 위하여 checkDuplicateEmail 메서드 코드를 작성하였고, 같은 email로 가입하려고 하면 DuplicateEmailException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다른 가정을 해보고 그런 상황에서 토비님이라면 어떻게 하셨을지 궁금합니다.만약 email이 아닌 id로 회원가입을 하는 상황을 가정한다면,email과 다르게 id는 여러 사람이 같은 id로 회원가입하려고 시도할 수 있습니다.따라서 동시에 2개의 요청이 들어오게 된다면 checkDuplicateEmail는 둘 다 통과하고 DataIntegrityViolationException이 발생하게 될 것입니다. (DB에서 유니크 제한을 걸었기 때문에)규칙인 id는 중복되지 않는다는 지켜지겠지만,사용자가 보게 될 예외는 우리가 의도했던 DuplicateEmailException가 아니게 되겠죠. 여기서 궁금한 점은 이런 상황까지 고려하여 코드를 작성하여야 하는 것인지아니면 그냥 넘어갈 것인지 궁금합니다. 저라면,드물게 발생할 것이라고 예상을 했다면 로깅만 잘 해놓고, 해당 예외가 많이 발생했거나 관련 cs문의가 많이 들어온다면 추가로 코드를 작성할 것 같습니다.처음부터 만약 많이 발생할 것이라고 예상했다면 try-catch를 통해 예외를 변경해줬을 것 같습니다.아마 다음과 같은 코드가 될 것 같습니다.@Override public Member register(MemberRegisterRequest registerRequest) { try { checkDuplicateEmail(registerRequest); Member member = Member.register(registerRequest, passwordEncoder); memberRepository.save(member); emailSender.send(member.getEmail(), "등록을 완료해주세요", "아래 링크를 클릭해서 등록을 완료해주세요"); return member; } catch (DataIntegrityViolationException e) { if (/*e를 통해 유니크 키 예외를 확인했다면*/) { throw new DuplicateEmailException(); } throw e; } }서비스의 코드가 현재보다는 보기 지저분해진다고 생각했습니다. (아니면 이 방법이 아닌 다른 방법이 있을까요?) 토비님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자바가 아닌 다른 언어에서도
동작원리자체는 동일할까요?닷넷에서 테스트코드 작성해도 동일할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AWS 입문/실전
CloudFront 생성 UI
CloudFront 생성 UI가 변경이 됬는데 보충자료에 올라온거 봤는데 클릭 하는 창이 안 뜨네요 정식적으로 바껴서 그런가요 ㅜㅜ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기본편
잘 사용하진 않지만 풀 외부 조인을 사용하신 사례가 궁금합니다!
풀 외부 조인을 잘 사용하지는 않지만 가끔 사용하실 때가 있다고 했는데 어떨 때 사용하셨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회사에서 바로 쓰는 업무자동화 AI 에이전트 (w. n8n, LangGraph)
데이터 전처리 작업을 진행할 때는 어떠한 워크플로우로 진행하나요?
현업에서 보통 n8n 워크플로우를 Python 노드로 어느 정도 수준까지 전처리를 진행하나요? Python 환경과 n8n 환경을 sync를 맞춰서 연동하는 좋은 꿀팁 혹은 구조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JPA (ORM) 개발자를 위한 고성능 SQL (High-Performance SQL)
JSON 타입 질문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좋은 강의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강의에서 JSON 타입을 활용하는 부분이 인상 깊어서, 이를 실무 API 배치 작업에도 적용할 수 있겠다고 생각했습니다. 현재는 API 호출 비용 절감을 위해 응답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습니다.그런데 외부 API는 언제든 스펙이 변경될 수 있어서, '원본 응답을 그냥 JSON 형태 그대로 저장하는 게 낫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다만 저희는 MySQL을 사용하고 있어서, PostgreSQL의 Materialized View 같은 기능을 직접 활용할 수 없습니다.대신 MySQL에서 JSON 컬럼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면서도 백오피스 조회 성능을 보장할 수 있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예를 들어,JSON 컬럼에 데이터를 저장하면서, 자주 조회하는 필드는 생성 컬럼을 두고 인덱스를 적용하는 방식이 일반적인지, 아니면 JSON은 단순 보존용으로만 두고, 정규화된 별도 테이블을 함께 운영하는 것이 나은지,또는 다른 고성능 패턴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설계 1편, 현대적 데이터 모델링 완전 정복
실무에서도 외래 키를 쓸수 있지만 쓰지 않는 경우?
실무에서도 외래 키(Foreign Key)를 쓸수 있는 상황이지만특별히 쓰지않고 처리하는 경우가 있을까요? 예를 들어 시스템 초기에 보다 유연한 설계를 위해?데이터 보전을 위해? 아니면 쓸수 있으면 최대한 쓰는게 맞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