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6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전동킥보드로 배우는 임베디드 실전 프로젝트
st link 연결안됨 오류
안녕하세요, 7:59초에서 하시는 것처럼 디버그 아이콘을 눌렸는데 계속 st link를 찾을 수 없다고 뜹니다. st link 드라이버도 설치했는데도 오류가 나는데 어떻게 해결하면 될까요?
-
해결됨전동킥보드로 배우는 임베디드 실전 프로젝트
킥보드 관성 주행 시 질문
안녕하세요, 질문이 있어서 글 남깁니다. 킥보드를 조립하여 간단히 테스트 해보았는데 주행 후 쓰로틀을 놓아도 관성으로 인해 모터가 돌아가다가 멈추게 되는데 이때 전류값이 크게 관측되더라구요. gpt에 물어보니 모터가 돌아가면서 발전기가 되어 보드 측에서 측정되는 것 같은데 펌웨어적으로 수정할 수 있을까요? 하드웨어 적으로 잘은 모르지만, 쓰로틀을 놓았을 때는 하단 스위치만 on을 하는 방법이 괜찮은 방법일지 궁금합니다. (혹은 다른 방법이 있다면 안내 부탁드립니다.) 혹시 강사님께서도 테스트 하실 때 이런 경우가 있으셨는지도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전동킥보드로 배우는 임베디드 실전 프로젝트
쓰로틀 다항식 계산.
HSI 정리문서에서 Excell 자료에서 쓰로틀 다항식을 차트로 만드셔서 구하셨습니다. 엑셀 자료에 인자 값에 대하여 궁금합니다., A열과 B열의 데이터를 넣고 차트를 그려서 다항식 수식이 만들어 지는데,A열은 쓰로틀의 전압은 1.1v부터 동작하여 전압분배의 최대값인 2.6v까지 하여 0.1V step으로 데이터를 기입한 건 이해가 됩니다.B열의 CCR값은 어떤 계산된 데이터를 넣으셨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전동킥보드로 배우는 임베디드 실전 프로젝트
Set_Phases
U(A)상,V(B)상,W(C)상 제어를 위한 코드에서TIM1을 이용해서 3상에 20KHz의 PWM을 신호를 발생 시키는데. 여기서 2가지 질문이 있습니다. 20KHz의 PWM 선정 조건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단순 실험적 조건인건지, 아니면 하이사이드의 충전 시간 등 어떠한 고려 사항을 토대로 선정을 하셨는지 궁금합니다. 20KHz의 상보 동작의 구동방식에서 어떤식의 코드에서 상단만 PWM이 들어가고 하단은 상보동작의 ON/OFF 시스템이 되는지 궁금합니다.아마, Set_Phases 함수인거 같은데 해당 부분에 부연 설명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
해결됨전동킥보드로 배우는 임베디드 실전 프로젝트
상단 스위치 PWM 장단점.
안녕하세요. 해당 강의에서 유니폴라 PWM제어 방식에서 상단 스위치만 PWM을 해서 구동을 하신다고 하셨습니다. 여기서 상단만 PWM , 하단은 ON/OFF 제어를 통해 스위칭 손실 감소와, 전류센싱에 유리한 점은 이해됩니다.하지만, 상단 스위치 PWM의 경우는 상단 MOSFET이 LOW일때, 부트스트랩 커패시터가 충전을 하게 되는데, 듀티비가 잘못계산되어 충전 기회가 적어서 Rds(on)이 증가되어 발열이 나거나, 심한경우 MOSFET이 ON이 안되는 경우가 생기지 않나요? 구동의 안정성은 상단 PWM보단 하단 PWM 제어가 더 안정성이 높지 않나요?
-
해결됨전동킥보드로 배우는 임베디드 실전 프로젝트
부트스트랩 커패시터.
안녕하세요. 인버터 설계시 부트스트랩 커패시터 관련 문의드립니다.현재 영상에서는 부트스르탭 커패시터로 C60 (100nF) 을 사용하셨습니다. 인버터 설계시 부트스트랩 회로에서의 부트스트랩 커패시터와 PWM의 주파수가 적절해야 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혹시 100nF으로 설계하신 이유가 아래의 사양서상 추천 용량을 사용하신 건가요? (0.022µF to 0.1µF local decoupling capacitor is recommended between the HB and HS pins.)혹시 그렇다 하시면, 해당 커패시터에 걸리는 충전전압 11.3V이므로 정격 전압은 15V 이상의 커패시터 전압용량으로 선정해야 안전한건가요?
-
해결됨[6주 과정] 전동킥보드로 배우는 임베디드 실전 프로젝트
MOSFET 파트에서 오류
3:38초 부근에서 30A전류에 Ron=1 에서 P가 30W가 아니라 900W아닌가요?
-
해결됨전동킥보드로 배우는 임베디드 실전 프로젝트
STM32 사용 관련 문의
안녕하세요 강의 따라 하는 도중 0:53초 화면에서 Finish 누르면 아래 화면처럼 뜨는데 해결 방법을 알 수 있을까요?
-
해결됨전동킥보드로 배우는 임베디드 실전 프로젝트
ADC Conversion mode.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를 열강 하다 보니 질문이 계속 생겨서 귀찮게 해드리는거 같아서 죄송합니다.2가지 질문이 있습니다.SMPR2 주석에 6.2us의 주기가 있는데, 이것이 혹시 Tconv 시간을 말씀하시는건가요? 맞다면, 6.2us가 아니라 7.5us가 아닌가요?(Tconv = (sampling + conversion)*CLK = (56+12)* 111.1ns(9MHz) = 7.5us)이번강좌에서 쓰로틀을 ADC로 읽는 과정에서 ADC Conversion mode를 single 로 하셨는데,이렇게 되면 매번 코드에 SWSTART 반복과 EOC 대기를 을 진행해야 해서 CPU에 부하가 많이 걸리지 않나요? 어차피 While문 루프고, 쓰로틀은 계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한 Analog 값이니 Continuous Conversion을 통해 1번만 트리거를 걸고 지속적으로 값을 모니터링을 하는게 더 효율적인 방법인거죠?
-
해결됨전동킥보드로 배우는 임베디드 실전 프로젝트
스위치 인터럽트 동작이해.
안녕하세요.초보적인 질문 일 수가 있는데.. 동작이 잘 이해가 되지 않아서 질문 드립니다. 스위치 동작 Falling Edge에서만 인터럽트가 발생되는 코드로 버튼을 누르면 하드웨어 적으로 LOW되고 Falling 인터럽트가 발생되서 LED가 off 되는건 이해가 됩니다만, 버튼을 안누르면 하드웨어 적으로 High가 되지만 인터럽트는 발생이 안되서 LED의 상태는 유지 되어야 하는거 아닌가요?즉, 지금의 동작은 누르면 LED OFF, 때면 LED ON 동작인데.동작이 Falling에서만 인터럽트가 발생되서, 누를때만 ON됐다가 다시 누르면OFF 됐다가하는 동작이 되어야 하는게 아닌가 궁금합니다.
-
해결됨전동킥보드로 배우는 임베디드 실전 프로젝트
ADC 변환 단계 질문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ADC 변환 단계 설명자료에서 8bit는 step이 256이라고 되어 있습니다.그런데,8비트는 0~255로 2^8-1 = 255.3.3V / 255 = 약 12.94mV로 계산되는 것이 맞지 않나 싶어서 문의드립니다. 10비트 = 1024-1, 12비트 = 4096-1, 16비트 = 65536-1 로 마찬가지입니다.확인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
해결됨전동킥보드로 배우는 임베디드 실전 프로젝트
보상 회로 설계시 낮은 주파수 대역폭을 선택한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파워스테이지 + 주파수 보상 시 전체 대역폭 설정시 24.8kHz, 14kHz 중 낮은 주파수 대역을 선택한 이유가 궁금합니다.주파수 보상으로 대역폭을 높이면 전류의 빠른 변화에도 반응할 수 있는게 아닌가요? 그러면 낮은 주파수 대역폭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폭이 더 유리할 거라 생각되는데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 대역을 선택한 이유가 무엇인가요?
-
해결됨전동킥보드로 배우는 임베디드 실전 프로젝트
제어기 대역폭 관련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 제어기 대역폭 관련하여 GPT에 물어보니 제어기 대역폭은 보통 샘플링 주파수의 1/10에서 1/20로 설정한다고 합니다. 이유로는 나이퀴스트 주파수와 위상 지연이 연관이 있다고 하는데 이 부분이 아무리 봐도 이해가 안되네요. 왜 대역폭을 샘플링 주파수의 1/10으로 설정하는지 알 수 있을까요?
-
해결됨전동킥보드로 배우는 임베디드 실전 프로젝트
속도 계산에 대한 문의입니다.
안녕하세요, 속도 계산하는 코드에 질문이 있습니다. speed_km_h = motor_speed_rpm * (3.14159f * 0.6283f) * 60.0f / 1000.0f;위 코드에서 0.6283f 라는 숫자에 대해서 궁금하여 글 남깁니다. 인 휠 모터의 지름은 20cm라고 알고 있습니다. 이를 미터로 계산하면 0.2m이고 둘레를 계산하기 위해 3.14159를 곱하면 0.6283184라는 숫자가 나오더군요. (둘레 x RPM x 60) / 1000 해서 km/h를 구하는 용도의 코드인 것 같은데 3.14159가 한번 더 중복되어 곱해진 것 아닌가 하여 글 남깁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전동킥보드로 배우는 임베디드 실전 프로젝트
Mosfet 스노버회로.
강의 마지막 부분에 스너버 회로에서 off시 발생하는 D-S 간 서지 전압을 대비하고자 스너버 회로를 연결 하셨다고 하셨는데.앞 강의(설계(1))에서 게이트 저항을 조절하여 D-S간 서지 전압을 낮도록 설계하였는데 굳이 스너버 회로를 추가 할 필요가 있나요?
-
해결됨전동킥보드로 배우는 임베디드 실전 프로젝트
Mosfet 풀 다운 저항.
mosfet에 풀다운의 저항 목적은 확실하게 0v로 유지하여 의도치 않은 Turn on의 목적은 이해가 됩니다만, 게이트에 남아있는 전하를 방전 시키기 위함도 있다고 하셨는데.앞전강의(게이트라이버 설계(1)) 에서 R27,D4의 목적도 동일하게 Sink 전류를 흘러서 방전을 시키는 목적으로 동일 한거면 10k옴의 저항쪽 방전보다 5옴의 Sink전류로 다 방전되지 않나요?
-
해결됨전동킥보드로 배우는 임베디드 실전 프로젝트
전류 계산에 대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수업 듣는 중 3상의 전류를 측정하는 부분에서 질문이 있어서 글 남깁니다. ias_Cal=((float)(result - Ias_Offset)*3.3f/4095.0f-1.65f)/0.06f;이 코드에서 0.06의 의미가 궁금합니다.연산증폭기에서 22배 증폭을 하였기 때문에 (측정된 전압 /22*0.002옴)을 하여야 하는 것 아닌가요..? 22*0.002는 0.044인데 0.06f 값의 의미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연산증폭기는 제가 잘 몰라서 도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바쁘시겠지만 설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감사합니다.
-
해결됨전동킥보드로 배우는 임베디드 실전 프로젝트
실습을 위한 키트 주문(결제) 했는데 언제 보내주시나요?
제목 그대로입니다.지난 주 월요일에 결제 했는데요 아직까지도 배송을 안 해주고 있어서 문의 드립니다.물론 "배송업체에서 보냈다고 하는 데 못 받았다"는 문자 메시지는 받았습니다만,도저히 이해가 되지 않아서 질문 남깁니다.분명 지난 주에 중국에 주문했던 PCB를 받았다며 사진까지 공유 해 주셨고,그래서 스마트 스토어에서 결제 했던 것인데요.그렇다면 지난 주에 보여준 그 사진들은 무엇인가요?언제까지 보내 주실 지 확실히 알려 주시거나, 환불(결제 취소) 방법을 알려 주시길 바랍니다.
-
해결됨전동킥보드로 배우는 임베디드 실전 프로젝트
Scheduler와 main에서 Task 중복 실행인지 질문합니다.
안녕하세요, 펌웨어에 질문이 있어서 글 남깁니다. 강의 내용에서는 Scheduler() 에서는 flag만 세팅하고, 태스크 실행 함수는 main()의 while()문에서 flag를 확인하여 해당 함수를 실행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는데, 펌웨어를 받고 보니 Slcheduler()함수에서 flag도 set하면서 task함수도 실행시키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게 맞는건가요?
-
해결됨전동킥보드로 배우는 임베디드 실전 프로젝트
벅커번터 동작 원리(page 63)
전원 회로 벅 컨버터 부분에서 벅컨버터는 스위치를 On/Off 동작을 통해 입력 전압을 낮추는 이라고 되있는데 입력전압을 낮추는게 아니라 출력전압을 낮추는게 맞지 않나요?? 입력전압 대비 출력 전압을 낮춰서 낮은 출력 전압을 생성한다 이 말이 맞지않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