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CS 기술면접 2] 말이 트이는 운영체제
메모리 공간을 선택할 때 메모리 탐색 순서
프로그램을 적재할 메모리 공간을 선택할 때, 선형탐색을 한다 하셨는데요. low addr(OS) -> high addr(User Prog) 순으로 탐색하나요? 아님 그 반대인가요?
-
미해결[CS 기술면접 2] 말이 트이는 운영체제
Suspend는 Ready 나 Blocked 상태에서 가능한거 아닌가요?
이전 프로세스 상태 파트에서, Suspend는 Ready 나 Block 상태에서 가능하다고 배웠는데요! 중기 스케줄러에 보시면 "실행 중인 프로세스를 메모리에서 디스크로 이동(Swap out)하거나 디스크에서 다시 메모리로 복구함" 이라고 나와있습니다. 실행 중인 프로세스는 실행 데이터가 메모리에 적재되고 CPU 자원을 할당받은 상태 아닌가요..?
-
미해결[CS 기술면접 3] 말이 트이는 네트워크
비대칭키 대칭키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비대칭키의 역할 (보안성 확보)- 통신 초기 핸드셰이크 과정에서만 비대칭키 암호화 방식 사용- 주된 목적은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이후 사용할 대칭키(세션 키)를 안전하게 전달하는 것 -클라이언트는 서버의 공개키를 이용해 난수 바이트(대칭키를 정의하는 데 사용됨)를 암호화하여 서버에 보내고, 서버는 자신의 비밀키로 이를 복호화대칭키의 역할 (효율성 확보)- 대칭키 교환이 완료된 후, 이후의 모든 대용량 데이터 전송은 대칭키 암호화(AES 등)를 사용하여 처리-대칭키의 빠른 속도와 효율성을 활용하기 위함연휴동안 네트워크를 빠르게 정리할 수 있어 감사드립니다.선생님께서도 즐거운 추석 연휴 보내시길 바랍니다!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미해결만들면서 쉽게 배우는 컴퓨터 구조
IO·MI 우선 활성화 이유
안녕하세요!IO, MI 핀이 가장 먼저 활성화되어야 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
해결됨[CS 기술면접 1] 말이 트이는 컴퓨터 구조
CPU-명령어 처리 흐름
안녕하세요 강의 잘 수강하고 있습니다.강의 후반 부 6:47초 부근에서 Fetch단계에서 그림에 대해서 의문이 있습니다. 앞서 배운 시스템 버스의 구조상 메모리는 주소 버스에 접근하지 않는 걸로 이해(CPU -> 주소 버스 -> 메모리; 단방향)했습니다. 하지만 해당 그림에서는 메모리에서 기억장치 주소 레지스터에 접근하여 명령어 주소를 가져오는 것으로 이해가 되는데요. 기억장치 주소 레지스터가 메모리에 명령어 주소를 넘겨주는 단방향 흐름이 아닌가요?
-
미해결만들면서 쉽게 배우는 컴퓨터 구조
macos에서 logisim 실행 불가 문의
안녕하세요. 컴퓨터 구조는 늘 따분하다고 생각했는데 감자님 덕분에 즐겁게 수강하고 있습니다. 영상에서 안내해주신대로 logisim-evolution을 설치했는데 실행이 되지 않아 질문 드려요!운영체제 : macOS설치된 파일: logisim-evolution-3.9.0-all.jar그냥 더블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알럿창이 뜨면서 열리지 않습니다.마우스 우클릭으로 JavaLauncher를 선택해서 열어도 같은 알럿창이 뜹니다. 어떤 프로그램으로 열어야 하는 파일인가요? ㅠㅠ도움 부탁드려요
-
미해결만들면서 쉽게 배우는 컴퓨터 구조
GatedSRLatch 구현
GatedSRLatch를 구현할 때 AND Gate를 사용해서 구현하셨는데AND Gate가 아니더라도 Controlled Buffer를 사용해도 구현할 수 있을 것 같은데이 두 방법에서 AND Gate를 사용하신 이유가 궁금합니다.
-
미해결만들면서 쉽게 배우는 컴퓨터 구조
64bit 컴퓨터 RAM 용량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 감자님! 강의 학습 중 궁금한 점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64bit 컴퓨터는 64bit 레지스터를 사용하며, 버스의 크기도 최대 64bit이고 표현할 수 있는 주소의 개수도 2^64개이여서 2^64 bit 용량으로는 램을 설치할 수 있다고 이해했습니다. 하지만, 윈도우 운영체제 기준으로 살펴보면 아무리 64bit 컴퓨터여도 윈도우11 Home버전 기준 128GB까지 램을 장착할 수 있다고 명시되어 있더라구요! 이런 경우는 왜 그러는지 조금 의문점이 들어서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만들면서 쉽게 배우는 컴퓨터 구조
JK 플립플롭의 Clear 논리회로는 어떻게 구성되나요?
안녕하세요스텝 카운터에서 JK 플립플롭의 Clear 기능이 나왔는데 이것을 순수하게 저희가 만든 논리 회로로 구성하면 어떻게 만들 수 있을까요..? 구글에서는 저희랑 다르게 NAND 게이트로 이루어져 있어서 어떻게 추가 구성을 하면 좋을지 모르겠습니다..
-
해결됨[CS 기술면접 1] 말이 트이는 컴퓨터 구조
컴퓨터의 숫자 표현 - 실수 예시에서 부호 비트 부분 오타인가요?
컴퓨터의 숫자 표현 - 실수 부분에서 계산하는 방식에 대해서 봤는데, 지수 비트와 가수 비트를 계산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이해를 했는데 왜 맨 마지막 결론 부분의 사진에서 맨 앞의 숫자가 1인지 이해가 안 되었습니다.(예시로 제시된 실수는 양수인데, 최상위 비트가 1이면 음수를 표현함)부동소수점 계산기도 돌려봤는데 -8.3125라는 결과가 나오는 걸로 확인되어 오타인 건지 한 번 확인 부탁드립니다
-
해결됨[CS 기술면접 1] 말이 트이는 컴퓨터 구조
컴퓨터 구성요소 시스템 버스 사진
사진 상 화살표가 혹시 오류일까요? 구글 상에 검색했을 때는 주소 버스에서 메모리나 주변장치에게 메모리 주소 전달하는 목적을 나타내기 위해서 화살표가 반대로 되어있는 거 같아서요.
-
해결됨[CS 기술면접 5] 말이 트이는 자료구조
해시 테이블 + 선형 탐색 + 캐시?
안녕하세요, 강사님 강의를 잘 듣고 있습니다!선형 탐색에서 '클러스터링(덩어리 형성) 현상이 생길 수 있음'을 단점으로 언급해주셔서 궁금한 게 생겼습니다.컴퓨터가 리스트를 읽어올 때 주변 값도 같이 가져와서 캐시 hit으로 성능이 높아진다고 알고 있는데, 그러면 덩어리 형성이 오히려 좋은 효과가 아닌가 싶습니다.그렇지만 이 점이 충돌이 발생하기가 쉬우며, 고르게 분포가 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해시 함수 관점에서는 단점인 것인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
해결됨만들면서 쉽게 배우는 컴퓨터 구조
4bit 2입력 mux 만들기
2입력 1비트 MUX를 기본 논리 게이트만으로 구현한 예시 외에도, 입력 비트가 1비트 이상일 때 역시 모든 MUX를 기본 게이트로만 구성해 보았습니다. 기본 게이트에서 MUX로 전환되는 과정을 정확히 이해하기 어려워 이렇게 구현했는데, 설계가 올바르게 되었는지 검토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만들면서 쉽게 배우는 컴퓨터 구조
어셈블리어 작성에 대한 질문
어셈블리어를 작성할 때 저희가 만든 RAM이 16Byte이니까 16줄을 넘어가게 작성하면 안되나요?그리고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소는 13~16줄 사이에 작성해야 하나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줄이 정해져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만들면서 쉽게 배우는 컴퓨터 구조
어셈블리 언어 실습 중 발생한 오류에 관해
어셈블리 언어인 asm를 xml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폴더 우클릭 시 "터미널에서 열기" 메뉴가 없습니다.대안으로 cd명령으로 해당 폴더로 이동한 이후똑같이 명령어를 작성해보니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5X4.asm: XML formatting error: org.xml.sax.SAXParseException; lineNumber: 1; columnNumber: 1; Content is not allowed in prolog. 이 경우 어떻게 해야 하나요?
-
해결됨만들면서 쉽게 배우는 컴퓨터 구조
SR Latch 진리표 상태
S R Latch의 진리표에서 S, R 모두 1인 경우사용 불가인 이유가 잘 이해가 안됩니다.사용불가라는게 동작이 정의되지 않아서 인가요?
-
미해결만들면서 쉽게 배우는 컴퓨터 구조
자리올림수와 자릿수
반가산기를 사용하며, 2개 비트로 자리올림수 1개(Carry)만들어서 구현하는 것 까지는 이해 했으나,이게 왜 반쪽짜리 가산기인지 이해가 잘 안갑니다. 강사님께선 여러 비트를 더할 때, 자릿수 오림이 없는 최하위 비트만 사용 가능 하다고 하셨는데,이 문맥과 흐름에 대해서 명확하게 이해하기가 어렵습니다.( 5분 29초 경에 나오는 "LSB만 자릿수 올림이 없음!" 예제 이미지를 봐도 이해가 퐉! 안되네요 ㅜㅜ ) 도와주시면 너무 감사하겠씁니다..!
-
해결됨만들면서 쉽게 배우는 컴퓨터 구조
불 대수의 성질과 법칙(분배법칙 확인 요청)
안녕하세요. CS스터디4기 유일용이라고 합니다.불 대수의 성질과 법칙에서 AND 분배법칙이A(B+C) = (AB)+(BC)로 나오는데 A(B+C) = (AB) + (AC)가 맞는 것 같은데 확인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만들면서 쉽게 배우는 컴퓨터 구조
캐시메모리의 저장 위치
안녕하세요 강사님! 워밍업클럽4기 수강생 정예은 입니다. 캐시메모리는 CPU가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를 RAM에서 미리 가져와서 저장하는 공간이라고 하셨는데, 그럼 이 캐시메모리는 CPU내부의 레지스터에 저장되는 걸까요 ??? 캐시메모리는 정확히 어디에 위치하는지 궁금해졌습니다 !
-
미해결만들면서 쉽게 배우는 컴퓨터 구조
컴퓨터 부팅에 필요한 BIOS란?
메인 메모리 중 하나인, ROM에 대해 설명해주셨는데요, ROM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컴퓨터부팅에 필요한 BIOS가 저장되어 있는 읽기전용 메모리라고 하셨습니다. 이때, BIOS는 어떤걸까요? BIOS에 대해 간략하게 알려주실 수 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