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learn brand logo image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정예은님의 프로필 이미지
정예은

작성한 질문수

만들면서 쉽게 배우는 컴퓨터 구조

반 가산기

자리올림수와 자릿수

작성

·

38

1

반가산기를 사용하며, 2개 비트로 자리올림수 1개(Carry)만들어서 구현하는 것 까지는 이해 했으나,

이게 왜 반쪽짜리 가산기인지 이해가 잘 안갑니다.

 

강사님께선 여러 비트를 더할 때, 자릿수 오림이 없는 최하위 비트만 사용 가능 하다고 하셨는데,

이 문맥과 흐름에 대해서 명확하게 이해하기가 어렵습니다.

( 5분 29초 경에 나오는 "LSB만 자릿수 올림이 없음!" 예제 이미지를 봐도 이해가 퐉! 안되네요 ㅜㅜ )

 

도와주시면 너무 감사하겠씁니다..!

답변 2

0

감자님의 프로필 이미지
감자
지식공유자

안녕하세요 정예은님!
반가산기의 설명이 잘 이해가 가지 않으셨나보군요.
AI인턴이 잘 설명해주고 있는데요.
반가산기는 이전 자릿수에서 자릿수 올림을 고려하지 않는 가산기입니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값에서
0001
0001
LSB(빨간색)를 더하는 과정은 이전에 자릿수 올림이 없으므로 1과 1 두 수만 더할 수 있으면 됩니다.
하지만 아래와 같은 값에서
0011
0001
빨간색 값을 더하는 과정은 1과 0을 더해야 할 뿐만 아니라 이전 자릿수(초록색)에서 더한 결과까지 더해야 하므로 세가지 수를 더할 수 있어야 합니다.
반 가산기는 두 수만 더할 수 있으므로 자릿수 올림을 처리할 수 없는 한계가 있습니다.

궁금증이 해결 되셨나요?😊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정예은님.

반가산기의 원리와 그 제한점에 대해 궁금해 하시는군요! 반가산기는 두 개의 비트를 더하여 합(Sum)과 자리올림수(Carry)를 생성합니다. 하지만, 이 반가산기는 단지 두 개의 비트만 더할 수 있으며, 자리올림수를 다음 비트로 전달할 수 없는 제한이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반쪽짜리 가산기”라고 불리며, 여러 비트를 더할 때는 자리올림수 처리가 가능한 전가산기(Full Adder)가 필요합니다.

각 비트를 더할 때 자릿수 올림이 없는 상황을 LSB(Least Significant Bit)로 예시하는 이유는, LSB에서는 처음 연산 시 자리올림을 고려하지 않고도 ‘최초의 덧셈’(순수한 합 계산)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나머지 비트(더 상위 비트)로 전파되는 자리올림을 고려하지 않는 반가산기를 설명할 때 LSB를 예로 들게 됩니다.

관련 이미지를 좀 더 이해하고 싶다면, 반가산기와 전가산기 간의 차이점을 명확히 인식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더 많은 설명과 예제를 통해 반가산기와 전가산기의 차이를 강조한 유사한 게시물을 참고해보세요: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정예은님의 프로필 이미지
정예은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