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커뮤니티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audreyjy님의 프로필 이미지
audreyjy

작성한 질문수

[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10회 기출유형 (작업형3)

ols와 logit 에서 숫자 범주형 독립변수

작성

·

26

0

선생님, 분산분석과 회귀모형에서 ols()나 logit() 입력할 때 , 숫자로 이뤄진 범주형 독립변수 앞에는 C를 붙여서 입력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10회 기출 1번 overtime 변수에 C를 붙이지 않은 이유가 무엇인가요?

답변 2

1

퇴근후딴짓님의 프로필 이미지
퇴근후딴짓
지식공유자

우리에게 분석을 요청하면

저도 변수별로 확인해서 C()를 처리하는 것이 맞아요

그런데 분석이 아니라 작업형3은 정답이 있고 그 정답을 찾아야 합니다.

임의로 C()는 처리하지 말아주세요!

 

문제에서 누가 봐도 명확하게 이건 범주형이에요!! 라고 말하지 않는다면 C()는 그냥 넘어가주세요

 

audreyjy님의 프로필 이미지
audreyjy
질문자

네 감사합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audreyjy님께서 질문해주신 내용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분산분석이나 회귀모형에서 ols()logit()을 사용할 때 범주형 변수는 C()로 감싸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예를 들어 숫자로 표현된 범주형 변수인 경우에도 C()로 감싸야 해당 변수가 범주형임을 명시적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overtime” 변수가 C()로 감싸지지 않은 이유는 두 가지 주요 원인 중 하나일 수 있습니다:

  1. 변수 해석 상의 문제: 해당 변수는 실제로 수치형으로 해석하는 것이 더 적절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overtime’ 변수가 어떤 수치적 경향이나 양적 차이를 나타내기 위해 설계된 것이라면 C()를 사용하지 않아도 무방합니다.

  2. 데이터 또는 문제의 명시: 문제에서 ‘overtime’ 변수가 범주형 변수로 명시되지 않았을 수 있습니다. 시험이나 문제에서는 특정 변수가 범주형임이 명시되고 이를 C()로 감싸라는 요구가 있을 경우에만 해당 처리를 해야 합니다.

더 많은 설명 및 예시가 필요하시면 아래 위키를 참고해보시기 바랍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audreyjy님의 프로필 이미지
audreyjy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