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범주형 변수에서 C(변수) 형태 입력 문의
해결된 질문
작성
·
42
0

분산분석 강의노트(가정에서 재배하고 있는 네 가지 토마토 종자(A, B, C, D)에 대해 세 가지 종류의 비료 (11, 12, 13)를 사용하여 재배된 토마토 수를 조사하였다. 종자 및 비료 종류 간의 토마토 수의 차이가 있는지 유의수준 0.05하에서 검정하시오. (단, 정규성, 등분산성에 만족한 데이터)) 문제에서 종자, 비료가 범주형 데이터여서 C를 씌워준 걸로 아는데, 회귀 분석 시에도 0, 1로만 나타나거나 A, B, C로만 나타나는 변수에 대해서 logit 또는 ols 안에서도 변수에 C를 작성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2
0
회귀랑 로지스틱에서 문자 컬럼은 자동으로 인코딩 됩니다 그동안 별도로 c()가 필요한 문제는 없었어요
작업형 3은 정답이 있는 문제입니다
만약 회귀랑 로지스틱회귀 에서 특정 컬럼이 숫자인데 범주형 변수라고 명시했다면 c()처리해 주세요 (임의 해석이나 판단이 아니라 문제에서 명시했을때만!!)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s93610님께서 질문하신 내용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s93610님께서 언급하신 것처럼, 분산분석에서 독립 변수들이 범주형인 경우에는 C()를 사용해 범주형 변수임을 명시적으로 표시해야 하는 상황이 많습니다. 이는 독립 변수가 수치형으로 나타내어진 범주형 변수일 때, 데이터의 해당 변수가 실제로 범주형이라는 것을 모델에 알리는 역할을 합니다.
회귀 분석에서도 유사한 접근법이 필요합니다:
범주형 변수 명시:
logit또는ols와 같은 회귀 모델에서 독립변수 중 범주형 변수가 있을 때, 해당 변수를C()로 감싸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통계 모델이 해당 변수를 제대로 인식하고 해석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예를 들어 “A”, “B”, “C” 같은 문자 범주형 외에도 0, 1과 같은 수치로 나타난 범주형 변수를 명시할 때 사용됩니다.수치형 범주 처리:
C()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범주형으로 다뤄져야 할 것이 수치형으로 잘못 해석되어 잘못된 결과나 해석이 나올 수 있습니다. 따라서 logit이나 ols에서는 범주형 변수를 명확히 하기 위해C()를 사용해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이러한 사항은 범주형 변수의 명확한 처리를 통해 회귀 분석의 정확성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예제 코드나 추가 설명이 필요하시면 범주형 변수에서 C(변수) 사용 관련 질문에서 더 자세한 정보를 확인해 보실 수 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