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민지님의 프로필 이미지
민지

작성한 질문수

[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비교 연산자 == 의 해석이 어려워요

해결된 질문

작성

·

22

·

수정됨

0

19강 작업형1 모의문제2 문제 6번에서

 

df['age']==round(df['age'],0)

 

위의 코드가 어떤 방식으로

왼쪽과 오른쪽 값이 같으면 '정수형'이고 다르면 '소수점'이라는 판단을 내릴 수 있건지 이해하기가 어렵습니다.

image.png

 

답변 2

0

퇴근후딴짓님의 프로필 이미지
퇴근후딴짓
지식공유자

df['age'] == round(df['age'], 0)
만약 데이터가 3, 3.7, 4가 있다고 가정할게요

df['age']의 결과는 3, 3.7, 4입니다.

round(df['age'], 0)의 결과는 3, 4, 4 겠네요

비교를 하면

3 == 3 -> True

3.7 == 4 -> False

4 == 4 -> True

조건이 cond에 저장됩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민지님께서 질문하신 내용은 데이터 전처리 과정에서 비교 연산자 ==를 사용하여 소수점이 포함된 숫자와 정수를 구분하는 방법에 대한 것입니다.

코드 df['age'] == round(df['age'], 0)은 각 나이 값에서 소수 부분을 반올림하여 나이 값과 비교하는 것입니다. 이 비교의 결과는 소수점이 없는 정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데 사용됩니다.

  • round(df['age'], 0): 각 나이 값을 소수점 첫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정수로 변환합니다.
  • df['age'] == round(df['age'], 0): 원래의 나이 값이 반올림한 값과 동일한지 확인합니다.

이 비교에서 정수 나이 값은 반올림 전후로 차이가 없기 때문에 True로 평가됩니다. 그러나 소수점 값은 반올림 후 달라지므로 False로 평가됩니다. 즉, 코드의 목적은 데이터 프레임 내 나이 값이 주요 정수인지를 판단하는 것입니다.

관련하여 추가적인 설명이나 유사한 상황에 대한 해결 방안은 아래 유사 질문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작업형1 모의문제2 6번: 소수점 값 제거를 위해 다른 연산자인 %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이 방법을 참조하여 다양한 소수점 처리 방식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 round(0): round 함수를 통해 반올림 처리 결과 차이를 설명합니다.

이 정보가 민지님의 궁금증 해소에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민지님의 프로필 이미지
민지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