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시안님의 프로필 이미지
시안

작성한 질문수

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댓글 무한 depth - CUD API 구현 & 테스트 데이터 삽입

무한 뎁스 댓글 테스트 데이터 삽입 질문

해결된 질문

작성

·

11

0

  • 학습 관련 질문을 최대한 상세히 남겨주세요!

  • 고민 과정도 같이 나열해주셔도 좋습니다.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안녕하세요.
2뎁스 댓글 목록의 테스트 데이터 삽입 시에는 계층 구조까지 파악할 수 있게끔 작성이 되었는데
무한 뎁스 댓글의 테스트 데이터 삽입은 계층 구조로 생성하지 않으신 이유가 궁금합니다!

답변 2

0

쿠케님의 프로필 이미지
쿠케
지식공유자

시안님, 안녕하세요!

 

해당 부분은 사실 특별한 이유가 있다기보단..

계층 구조로 생성하지 않는게 코드 작성도 간단하고, 데이터 초기화도 빠르게 처리할 수 있어서 그랬습니다..!

계층 구조에 대한 테스트는 별도로 진행되므로, 초기화 방식에 대해서는 딱히 의도가 있던건 아니라 크게 염두에 두시진 않아도 괜찮을 것 같네요!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시안님.

무한 뎁스 댓글의 테스트 데이터 삽입 시 계층 구조로 데이터를 생성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무한 뎁스 댓글 데이터 계층 구조

  1. 테스트 데이터 목적성:

    • 테스트 데이터를 삽입할 때, 기본 테스트의 목적이 특정 로직이나 기능이 올바르게 작동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기 때문에, 모든 계층의 데이터를 정확히 재현할 필요는 없습니다.
    • 무한 뎁스의 경우, 모든 계층을 계층 구조에 맞춰 생성하려면 매우 복잡하고 코드가 장황해질 수 있으므로, 충분한 테스트 범위를 위해 일부 계층만 사용했을 가능성이 큽니다.
  2. 복잡성 관리:

    • 여러 계층을 가진 무한 뎁스를 테스트할 때, 복잡도를 줄이고 핵심 기능만을 테스트하기 위해 특정 깊이까지의 데이터를 사용하는 전략을 취할 수 있습니다. 이는 코드의 가독성을 높이고,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합니다.
  3. 실제 사용 예제:

    • 실전 프로젝트에서는 모든 경우의 수를 테스트하기보다는, 중요한 시나리오에 집중하여 필요한 만큼의 깊이만을 테스트하는 것이 현실적입니다. 이는 성능과 효율성을 고려한 설계일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접근은 개발의 일관성과 테스트의 효율성, 그리고 유지보수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습니다. 관련해서 더 많은 정보가 필요하거나 추가적인 질문이 있으시면, 인프런의 다른 유사 질문들을 찾아보시거나 질문을 남겨 주시면 도움을 드릴 수 있는 답변을 제공해 드리겠습니다.

무한 depth 설계에 path enumeration 방식으로 일관되고 효율적인 구현 이유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시안님의 프로필 이미지
시안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