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16
0
via의 net을 수동으로 조절해서 GND를 선택하라고 하셨는데 GND via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PCB Layout을 자동으로 업데이트한 결과 삼코치님의 레이아웃과 저의 레이아웃 결과가 다릅니다.
이 그림은 저의 레이아웃인데 저의 것에는 A 쪽에 3.3V가 연결이 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삼코치님의 레이아웃에는 GND가 연결이 되어 있어 GND via와 연결되도록 되어 있습니다. 어떤 것에서 잘못되어서 이런 오류가 발생했는지 알고 싶습니다.
항상 양질의 강의 제공해주시고 회로설계 지식에 도움을 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답변 2
0
안녕하세요, 답변 남겨드립니다.
올려주신 PCB 레이아웃 이미지를 보니, 해당 패드 A 단자가 현재 +3V3 넷으로 잡혀 있고, K 단자가 TD_N 신호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가능성이 몇가지 있는데
첫 번째는 Net Assignment 불일치 문제입니다. 스키매틱에서 심볼 핀 매핑이 잘못되었거나, ERC/Connectivity 과정에서 net 이름이 올바르게 전달되지 않으면, Layout 툴이 해당 핀을 기본값(VCC 혹은 Power net)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Ethernet PHY의 트랜스포머 2차측은 반드시 GND reference를 가져야 하는데, 스키매틱 심볼에서 잘못 +3V3 net으로 라벨링되어 있으면 자동 업데이트 시 레이아웃에 그대로 반영됩니다.
두 번째는 Net Class 또는 Power Port 정의 오류입니다. Power net을 자동으로 인식하는데, 만약 GND 심볼이 라이브러리 내에서 다른 Net Name으로 지정되어 있거나, PWR_FLAG가 누락되어 있으면 자동으로 “GND via”가 생성되지 않습니다. 반면 +3V3는 명확히 Power net으로 지정되어 있어 via로 쉽게 잡히는 차이가 있습니다.
실무적으로는 Ethernet PHY 블록에서 TD_N, TD_P 같은 differential pair는 반드시 신호 리턴 패스(GND via)가 가까이에 배치되어야 정상적인 임피던스 매칭과 EMI 억제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지금 상태에서는 differential 신호 옆에 GND via가 존재하지 않는 문제가 실제 SI/PI에 악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점검하실 부분을 단계적으로 정리드리면,
스키매틱에서 해당 포트가 정말 GND로 정의되어 있는지, 아니면 +3V3으로 잘못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
ERC(Net Connectivity Check)를 실행해 잘못된 Power/Ground 연결이 없는지 확인
Layout에서 Net Highlight 기능을 이용해 A 핀을 선택했을 때, 보드 전체에 어떤 Net으로 연결되는지 확인
필요하다면 수동으로 GND net을 재지정한 뒤, “Update PCB from Schematic” 기능을 다시 수행
즉, 지금 오류는 “PCB Layout의 문제가 아니라 스키매틱에서 Net 정의가 잘못되었거나, GND net이 올바르게 인식되지 않은 것”이 근본 원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analog님.
Ethernet PHY Block 레이아웃에 관한 문제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말씀하신 두 가지 사항을 하나하나 짚어가며 설명하겠습니다.
GND via가 존재하지 않다고 하셨는데, 이는 PCB 디자인 소프트웨어에서 net을 잘못 설정했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PCB 디자인 소프트웨어에서는 net을 수동으로 지정하여 특정한 네트와 연결된 via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특정한 영역에 전용 GND via를 넣을 수 있도록 수정할 수 있습니다.
삼코치님의 레이아웃과 자동 업데이트 결과가 다른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더 많은 정보를 얻고 싶으시다면, 아래 유사 질문 및 답변을 참고하시길 추천드립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