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34
0
큐브가 지나가면 나머지 사각형큐브들이 알아서 비켜주는 노드를 만들고싶은데... 어떻게 해야할까요.. 디스턴스 노드와 샘플니어리스트 서페이스 노드로 하는게 맞는걸까요? ㅠㅠ 알려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도움이 필요합니다...
답변 2
1
네, 큐브가 지나가면 나머지 사각형 큐브들이 알아서 비켜주는 노드 구성을 좀 더 시각적으로 이해하기 쉽도록 큐브대신 스피어가 지나가면 grid에 instance on points 노드에 연결된 큐브들이 알아서 비켜주는 노드를 가장 기초적으로 구성해본 노드 트리 스크린 샷을 첨부해드립니다. instance 들 단위로 비켜주는 것이기 때문에 좀 더 간결한 구성을 위해 realize instance 노드를 사용하지 않고 vector scale 노드로 구성해보았습니다. 해당 스크린 샷은 디폴트 큐브에 지오메트리 노드를 적용한 후, gird mesh primitive를 추가하고, 따로 생성한 sphere object를 컨트롤러로 활용하는 구성입니다. outliner를 살펴보시면 사용된 오브젝트가 총 2개인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 기본 구성을 토대로 멀어지는 정도 등 다양한 옵션을 커스터마이징하실 수 있으실거라 생각됩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스타까치님.
블렌더 지오메트리 노드를 통해 큐브가 지나가면 다른 사각형 큐브들이 자동으로 비켜주는 시스템을 구현하시려는 것 같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객체 간의 거리와 표면 정보를 활용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특히, Distance 노드와 Sample Nearest Surface 노드를 함께 사용하는 것은 좋은 접근 방법입니다.
Distance 노드 사용: 큐브의 위치와 다른 사각형 큐브들의 위치 사이의 거리를 계산합니다. 이 거리를 활용하여 지정된 범위 내에 들어왔을 때 작동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Sample Nearest Surface 노드 사용: 이 노드를 통해 특정 지점이 객체의 표면과 얼마나 근접했는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이 정보를 통해 움직임이나 회피 동작을 위한 조건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Translate Instances 노드 활용: 계산된 거리 값을 통해 각 큐브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조건에 따라 큐브들이 적절한 방향으로 비켜 나가도록 설정합니다.
다음의 지오메트리 노드로 객체 회피 설정하기 링크를 참조하면, 유사한 목적을 위한 더 많은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블렌더의 노드 시스템에서 객체 회피 행동을 가능하게 하는 일반적인 패턴과 적용 예제를 알아보세요.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와, 한 시간도 안 돼서 답변을 주시다니 정말 감사드립니다! ㅠㅠ 감동이에요.
이해가 안 될 때마다 반복해서 지오메트리 노드 강의를 듣고 있는데, 조금씩 이해가 되어가는 걸 느끼고 있어요.
정말 좋은 강의라고 생각합니다. 다시 한 번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