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learn brand logo image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thecastleexists님의 프로필 이미지
thecastleexists

작성한 질문수

350개의 개인 앱을 만들어 월급의 7배 수익을 달성한 방법

애드몹 요청 수에 비해 노출 수가 현저하게 적습니다.

해결된 질문

작성

·

141

·

수정됨

0

안녕하세요 프로그래밍좀비님 애드몹 광고 요청 수에 비해 노출 수가 현저하게 적어 문의글 드립니다.

현재 앱 하나를 운영중인데 유틸리티성 앱으로 스플래쉬 화면에서 전면광고 하나, 메인 화면에서 배너광고 하나를 붙였습니다.

현재 전면광고는 4초정도 광고가 로딩되지 않으면 메인화면으로 넘어가는 구조이고

배너광고는 메인액티비티에서 광고가 나오는 구조입니다.

(메인액티비티 레이아웃은 프레그먼트 컨테이너뷰와 구글 광고만 있음)

그런데 모니터링을 계속 해보니 노출 수가 너무 적어서 문제가 무엇인지 생각을 해봤습니다.

스크린샷 2025-07-13 오후 3.40.58.png스크린샷 2025-07-13 오후 3.53.04.png

위 사진은 사용자 평균 참여 시간인데, 사용자가 1분 이내로 사용해서 광고가 노출되기 전에 앱이 종료돼서 노출 수가 적어졌다 라고 보는게 맞을까요?

그리고 전면광고도 거의 나오지 않는데 대기시간이 적은게 문제일까요?

 

답변 3

0

프로그래밍좀비님의 프로필 이미지
프로그래밍좀비
지식공유자

추가로 현재와 같이 광고 일치율이 떨어지는 상황에서는 되도록 Google Ads 광고 캠페인을 하는것을 피하는걸 추천드립니다. 100번의 요청이 있으면 현재 기준으로 약4~5회 정도만 광고 노출이 되는 상태이기 때문에 이러한 상황에서 페이드 마케팅(Google Ads)을 하는 것은 적자를 볼 확률이 매우 높습니다. 이러한 문제가 해결 되고 난 이후 광고 마케팅도 진행해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아무래도 구현 방식을 바꿔야 할 것 같습니다!

0

프로그래밍좀비님의 프로필 이미지
프로그래밍좀비
지식공유자

안녕하세요. 첨부하신 애드몹 리포트와 함께 남겨주신 분석 내용 잘 확인했습니다. 광고 요청 수에 비해 노출 수가 현저히 낮은 문제로 고민이 많으실 것 같습니다.

사용자 평균 참여 시간이 1분 내외인 점을 고려했을 때, 광고가 충분히 로드되어 노출되기 전에 앱이 종료될 가능성을 충분히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전면 광고의 대기 시간을 4초로 짧게 설정하신 부분 또한 어느정도의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 문제에 대해 몇 가지 확인하고 시도해 볼 만한 점들을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1. 애드몹 계정 및 앱 출시 기간 확인

가장 먼저 확인해 볼 부분입니다. 혹시 앱을 출시하시거나 애드몹 계정을 생성하신 지 얼마나 되셨을까요?

  • 신규 계정 및 앱의 경우: 애드몹은 계정 생성 초기(특히 1~2개월 미만)에 광고 인벤토리를 파악하고 최적화하는 과정에서 광고 일치율(노출 수/요청 수)이 낮게 나타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이 기간에는 광고 요청이 들어와도 실제 노출로 이어지지 않는 비율이 낮을 수 있습니다. 만약 여기에 해당하신다면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개선될 수 있습니다.


 

2. 전면 광고 구현 방식 점검

만약 계정 생성 기간이 충분히 지났음에도 문제가 지속된다면, 스플래시 화면의 전면 광고 구현 방식을 점검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현재 4초 후 무조건 메인 화면으로 넘어가는 구조는 광고 로드가 4초보다 늦어질 경우 광고를 보여줄 기회를 완전히 놓치게 됩니다. 아래와 같은 로직으로 변경해 보시는 것을 추천해 드립니다.

  1. 광고 로드 성공 시: 스플래시 화면 진입 시 전면 광고 로드를 시작합니다. 광고 로드가 완료되면 광고를 사용자에게 노출합니다. 사용자가 광고를 닫는 시점(예: OnAdDismissedFullScreenContent 리스너)에 메인 화면으로 이동시킵니다.

  2. 광고 로드 실패 시: 광고 로드에 실패하면 즉시 메인 화면으로 이동시킵니다.

  3. 타임아웃(Timeout) 처리: 광고 로드가 지연되는 경우를 대비해, 스플래시 진입과 동시에 타이머(예: 5~8초)를 설정합니다. 만약 타이머가 종료될 때까지 광고가 로드되지 않으면, 진행 중이던 광고 로드를 중단하고 메인 화면으로 이동시킵니다. 이렇게 하면 사용자가 무한정 기다리는 상황을 방지하면서도 광고를 노출할 시간을 조금 더 확보할 수 있습니다.


 

배너 광고에 대하여

메인 화면의 배너 광고는 사용자가 메인 화면에 머무는 시간이 충분해야 노출이 안정적으로 유지됩니다. 현재 평균 참여 시간(58초)을 고려할 때, 사용자가 메인 화면에 진입하자마자 이탈하는 경우가 많다면 배너 광고 노출 수도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먼저 애드몹 계정 운영 기간을 확인해 보시고, 만약 기간이 충분하다면 스플래시 화면의 전면 광고 로직을 위에서 제안 드린 방식으로 수정해 보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추가적으로 애드몹 홈페이지에서 별도로 받은 광고 게재 제한이나, 해당 계정의 이메일로 광고 게재 제한과 같은 알림이나 메일을 받은게 있는지도 확인 해보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thecastleexists님.

애드몹 광고 요청 수에 비해 노출 수가 적은 문제로 고민 중이시네요. 이 문제는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 몇 가지 가능한 원인과 해결책을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광고 노출 저하의 주요 원인

  1. 광고 로드 시간:

    • 사용자 평균 참여 시간이 1분 이내라면 광고 요청이 이루어졌지만 로드되기 전에 앱이 종료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노출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특히, 스플래시 화면과 메인 화면으로 광복 시간이 짧을 경우 전면 광고 노출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2. 네트워크 상태:

    • 사용자의 네트워크 상태가 좋지 않으면 광고가 로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3. 노출 타이밍:

    • 광고가 가장 흥미를 끌 수 있는 시점에서 표시되는 것이 중요합니다. 스플래시 화면에서는 사용자 관심을 끌기 전에 광고가 지나갈 수 있습니다.

해결책 제안

  • 광고 준비 시간 조정:

    • 스플래시 화면에서 광고 로드를 시작하여 전면 광고가 메인 화면에 이동한 후 조금 후에 로드되도록 하여 사용자 경험에 큰 방해 없이 노출될 수 있도록 조정해 보세요.
  • 광고 로드의 비동기 처리:

    • 광고 로드는 비동기적으로 처리하여 사용자 화면에 도달하는 시점에 광고가 이미 로드되어 노출될 수 있도록 합니다.
  • 광고 위치 전략 변경:

    • 사용자 경험에 덜 방해되는 시점에 광고를 표시합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앱에서 중요한 작업을 완료했을 때라든지 화면 전환 시에 자연스럽게 끼워 넣는 방법을 고려해 보세요.

관련 유사한 질문에 대한 답변과 해결책 링크를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thecastleexists님의 프로필 이미지
thecastleexists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