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87
0
안녕하세요.
게임 포트폴리오를 준비하고 있는데 고민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게임 포트폴리오를 만들 때, 1~2개월 정도 걸리는 비교적 간단한 프로젝트를 여러 개 만드는 것이 좋을지, 아니면 최소 6개월에서 길게는 1년 이상 소요되며 그 과정에서 사용자 피드백을 받아 발전시키고, 궁극적으로 출시까지 바라볼 수 있는 규모가 큰 프로젝트 하나에 집중하는 것이 좋을지 궁금합니다.
결국 게임회사의 채용도 같은 회사 직원이 뽑는 거니까 단순히 프로젝트 수가 많다고 해서 무조건 좋은 것은 아닐 것 같다는 생각도 듭니다.
어떤 방향이 더 효과적일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답변 2
1
둘 중 꼭 골라야 한다면, 장기적이고 큰 프로젝트가 좋지만
현실적으로 많이 지치고 쉽지 않은 길입니다.
유저의 피드백 또한 아무 게임이나 얻는 기회가 아니고
어느 정도 성과가 나야 되는 것이라 쉽지 않을 수 있으니
가급적 후자의 퀄리티를 전자의 시간에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해보세요.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qpwoeiruty님께서 게임 포트폴리오를 준비하면서 느끼신 고민에 대해 유사한 질문들이 있었고, 이에 대한 답변들을 바탕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게임 포트폴리오 작업에 있어 프로젝트의 수와 규모에 대한 고민은 많은 취업 준비생들이 직면하는 문제입니다. 두 접근 방식 모두 각각의 장점이 있으며, 차용 가능한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다양한 소규모 프로젝트: 여러 개의 작고 다양한 프로젝트를 만들면 여러 기술과 장르를 쉽게 경험하고, 다양한 기법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는 특정 기술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보다는 넓은 범위의 기술 습득이 목표일 때 유효합니다. 다양한 프로젝트는 또한 당신의 학습 능력과 적응력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단일 대규모 프로젝트: 반면에 하나의 커다란 프로젝트에 집중하면 특정 기술을 깊이 있게 탐구할 수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당신의 장기적인 문제 해결 능력, 프로젝트 관리 능력, 그리고 하나의 게임을 출시하기 위한 모든 과정을 이해하고 직접 실행해 본 경험을 강조할 수 있습니다. 이는 회사에서 당신이 복잡한 과제를 장기간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이 있음을 입증합니다.
효과적인 포트폴리오는 두 가지 접근 방식의 장점을 모두 취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소규모 프로젝트: 이를 통해 다양한 경험을 쌓고 기술을 빠르게 습득하세요. 각각의 프로젝트는 특정한 기술적 난점을 공략하거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시도할 수 있는 기회가 됩니다.
대규모 프로젝트: 한 개의 큰 프로젝트를 통해 상용화에 가까운 경험과 완성된 게임의 형상을 보여주세요. 중간중간 피드백을 반영해 프로젝트를 개선해 나가면서, 개발 주기를 이해하고 새로운 기능을 포함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강조합니다.
다음 게시물들을 참고하시면 더 많은 인사이트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 포트폴리오 질문
- 학원을 다녀야할지 혼자 포폴을 준비해야될지 고민입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