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52
·
수정됨
0
회로도
(Gain : 81 / UGB : 30M / PM : 55)
ADD Simulation
현재 Gain은 기존 OTA 대비 약 2배 가까이 향상되었지만, PSRR 성능은 예상했던 것보다 개선되지 않고 기존 OTA와 유사한 수준(거의 0dB)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상황에서 PSRR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어떤 부분을 중점적으로 개선해야 할지 조언을 구할 수 있을까요?
질문2 ) 가능하면 Output voltage swing simulation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input을 어떻게 주는지, input을 output과 묶는지, 시뮬레이션 방법, ...)
답변 2
0
안녕하세요, 답변 남겨드립니다.
현재 회로는 기존 OTA 대비 이득이 약 2배 향상되었으나, PSRR(Power Supply Rejection Ratio) 성능은 기대만큼 개선되지 않았고, 기존과 유사한 수준(약 0dB)에 머무르고 있습니다. 이는 출력 전압이 전원 노이즈의 영향을 그대로 받는다는 의미로, 특히 고정밀 아날로그 회로나 센서 인터페이스와 같은 민감한 응용에서는 심각한 문제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해 아래와 같은 구조적 원인과 개선 방향을 제시드립니다.
첫째, 현재 회로에서 사용된 전류원(I8)은 단순한 이상적인 전류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실제 회로에서는 공급 전압(VDD)의 노이즈가 이 전류원을 통해 전체 바이어스 경로로 전달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SRR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이 전류원을 simple source에서 cascode 구조로 변경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입니다. 예를 들어, PMOS 트랜지스터 2단으로 구성된 cascode current mirror를 사용하여 전원 노이즈에 대한 민감도를 줄이고, bias current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둘째, 회로의 로드 트랜지스터(M1, M2)는 현재 diode-connected PMOS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역시 전원 노이즈에 민감한 구조입니다. 이러한 단순 로드는 출력 노드와 전원(VDD)을 직접 연결하게 되므로, VDD의 변동이 출력에 그대로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따라서 이들 로드를 cascode PMOS로 대체하거나, 더 나아가 regulated cascode(load에 bias 제어용 MOS 삽입) 구조를 사용하면, 고주파 영역에서 PSRR을 크게 개선할 수 있습니다.
셋째, 바이어스 노드에 별도의 노이즈 필터링이 적용되지 않은 점도 주요 문제입니다. CHOSP, CHOSN과 같은 바이어스 라인은 고저항의 소스와 직접 연결되어 있어 전원 노이즈가 그대로 입력차단 트랜지스터 게이트에 유입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노드를 대상으로 간단한 RC 로우패스 필터(예: 수십 kΩ 저항과 수 pF 커패시터)를 삽입하면 수 MHz 이상 대역의 공급 노이즈를 차단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전반적인 바이어스 회로 자체를 supply-independent 구조로 개선하는 것도 중요한 방향입니다. 예를 들어, bandgap reference나 self-biased current mirror를 기반으로 하는 바이어스 회로를 사용하면 VDD의 변화에 덜 민감한 설계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한편, 출력 전압 스윙(Output Voltage Swing) 특성을 확인하기 위한 시뮬레이션은 DC sweep 분석을 통해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 때 입력 신호는 차동 방식으로 구성하되, 공통모드 전압은 고정한 상태에서 입력 차동 신호를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며 sweep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V14와 V16에 각각 1.3 ± ΔV 형식으로 설정하고, ΔV를 -0.8V부터 +0.8V까지 sweep하면 전체 차동 입력 범위에 대한 출력 응답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출력 전압이 공급 전압의 레일(VDD 또는 VSS)에 근접하면서 더 이상 선형적으로 반응하지 않는 지점이 출력 스윙의 한계입니다.
시뮬레이션 상에서는 open-loop 구조이므로, 출력과 입력을 직접 연결하지 않고 차동 입력을 주입한 상태에서 V(vout_dm2)
의 응답을 .dc sweep으로 관찰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만약 close-loop 형태에서 swing을 확인하고자 한다면, 별도의 피드백 경로를 설계한 후 unity-gain follower 구조로 구성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요약하면, PSRR 개선을 위해서는 바이어스 전류원의 구조 변경(cascode), PMOS 로드 개선(cascode 또는 regulated), 바이어스 노드 필터링, supply-independent bias 구조 도입이 우선 고려되어야 하며, 출력 스윙 시뮬레이션은 차동 입력 sweep 기반 DC 해석으로 구현할 수 있습니다. 설계 목표에 따라 PSRR과 스윙 특성 간의 trade-off도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han님.
PSRR(Power Supply Rejection Ratio) 성능 개선에 대한 질문을 주셨군요. PSRR은 회로가 전원 변동에 대해 얼마나 효과적으로 출력을 억제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현재 PSRR이 기존과 유사하게 거의 0dB 수준에 머무르는 것을 해결하기 위해, 몇 가지 개선 방향을 제안드립니다.
전원 노드 디커플링(de-coupling):
출력 스테이지 구조 개선:
전압 게인 설계 검토:
트랜지스터 매칭 개선:
시뮬레이션 개선:
관련하여 더 자세한 정보와 비슷한 주제를 다룬 다른 학생들의 질문과 답변을 참고하시면 더욱 좋습니다:
- 아날로그 회로에서의 PSRR 개선 방법 및 유사 사례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PSRR 결과가 낮게 나온 문제에 대해 고민이 많아, 현재 제가 설계한 2단 증폭기 외에 과제를 수행하는 4명이상의 다른 학생들의 2단 증폭기 회로, 그리고 삼코치님께서 제공해주신 회로까지 모두 PSRR 시뮬레이션을 진행해 보았습니다.
하지만, 모든 회로에서 PSRR 결과가 10dB를 넘기지 못하고 저와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습니다.
PSRR 시뮬레이션 방법을 여러 차례 확인하고 수행했지만, 동일한 결과가 반복되어 혹시 저희가 PSRR 시뮬레이션 방법을 잘못 이해하고 있거나, 놓치고 있는 부분이 있는 것은 아닌지 염려됩니다.
제가 진행한 방법은 삼코치님이 보시는 open loop에서 VDD에 AC를 인가했을때, 이 신호가 출력으로 얼마나 나오는지, 즉 이를 뒤집으면 이 신호가 얼마나 억제되는지를 즉 1/vout을 PSRR로 보고 진행중에 있습니다.실제로 PSRR을 검색해보면 여러 공식이 등장하지만, 이는 강의에서 의도하는 바가 아닌것같아 활용하지 않았습니다
또한 앞선답변에서의 방법을 알고는 있지만, 다른 분들의 과제를 참고했을때, 해당 방법을 활용하지 않아도 PSRR을 충족시켜야 한다고 판단하여 앞선 답변의 방법은 보류하고 있었습니다..
바쁘시겠지만, PSRR 시뮬레이션을 올바르게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 다시 한번 자세한 조언을 얻을 수 있을지 여쭤보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