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54
답변 2
0
안녕하세요, 답변 남겨드립니다.
CH340C는 CH340 시리즈 중에서도 외부 크리스탈이 필요 없는 간소화된 버전으로, 일반적인 USB to UART 변환 목적으로 널리 사용됩니다. 이 칩은 내부적으로 3.3V 전압으로 동작하는 로직 블록을 포함하고 있으나, 외부에서는 5V 또는 3.3V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중요한 점은 이 내부 로직 전원(V3)을 어떻게 다루느냐에 따라 설계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우선 VCC 핀은 CH340C에 공급되는 메인 전원 입력입니다. 일반적으로는 5V 전원을 인가하며, USB VBUS에서 직접 받아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전원은 CH340C 내부의 3.3V 레귤레이터를 통해 로직 회로에 전압을 공급하게 됩니다.
다음으로 V3 핀은 내부 3.3V LDO 레귤레이터의 출력 단자이며, CH340C의 디지털 로직 회로에 사용되는 전원을 외부로 노출한 구조입니다. 중요한 점은 이 V3 핀이 출력 전용 핀이라는 점입니다. 따라서 이 핀에는 외부 전원을 절대 인가해서는 안 되며, 출력 안정성과 노이즈 제거를 위해 반드시 소형 디커플링 커패시터(일반적으로 0.1μF)를 GND에 연결해주어야 합니다. 이 처리는 로직 동작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데 필수적이며, CH340C 데이터시트에서도 권장되고 있는 연결 방식입니다.
마지막으로 질문에서 언급하신 3V3 핀은 CH340C에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이는 CH340G나 CH340N과 같은 CH340 시리즈의 다른 파생 모델에서 등장하는 핀이며, 외부에서 3.3V 전원을 인가해 내부 로직에 직접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설계된 입력 전원 핀입니다. 그러나 CH340C의 경우에는 자체적으로 내부 LDO를 통해 3.3V를 생성하기 때문에 별도의 3V3 입력 핀이 필요 없으며, 존재하지도 않습니다. 따라서 CH340C에서 "3V3 핀을 연결하지 않았다"는 질문은 구조적으로 해당하지 않는 말씀이며, 오히려 존재하지 않는 핀을 잘못 연결할 경우 설계 오류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요약하자면, CH340C에서는 VCC에 USB 전원을 공급하고, V3에는 반드시 0.1μF 바이패스 커패시터를 연결하여 내부 LDO 출력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올바른 회로 설계 방식입니다. 3V3 핀은 CH340C에 존재하지 않으며, 이를 연결하지 않은 것은 당연한 설계 판단이며, 오히려 넣지 않는 것이 정확합니다. 이러한 전원 구성의 이해는 단순한 회로 연결을 넘어서, 향후 전원 관련 노이즈 문제나 오동작 방지에도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설계자 입장에서는 반드시 숙지해야 할 핵심 포인트입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juncar323님, 질문 주셔서 감사합니다. CH340C와 같은 USB to TTL 변환기 IC의 경우, VCC와 V3 핀은 주로 전원을 받아 동작하게 설계됩니다. VCC는 USB 전원 공급(5V)에 연결되고, V3는 내부 LDO에 의해 3.3V를 생성하거나 사용할 경우에 활용됩니다.
강의에서 보신 것처럼 0.1uF 커패시터는 전원 공급의 안정성을 위해 사용하는 디커플링(Decoupling) 커패시터입니다. 이는 전원 라인의 잡음을 억제하고 동작의 안정성을 높이는 중요한 설계 요소입니다.
CH340C의 경우, 필요에 따라 VCC에만 연결되거나, V3 핀의 전원을 특정 목적으로 분리하여 사용할 계획이 없는 경우 굳이 연결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3V3 핀에 별도로 외부 전원을 연결하지 않는 설계는 실질적으로 문제가 없습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CH340C Datasheet를 참조하시면 더욱 명확한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CH340C를 사용한 설계의 예시나 응용 정보는 관련 참고 자료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답변 감사드립니다!
추가적인 질문이 있는데, 내부 로직으로 3.3V를 생성하여 사용하더라도 외부 전원은 인가가 되어야 하는데 현재 스키매틱으로는 아무 전원도 인가되어 있지 않은 것 같습니다. 이는 나중에 연결되는 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