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learn brand logo image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김기연님의 프로필 이미지
김기연

작성한 질문수

PCB HW설계 실무 : STM32를 활용한 Mixed-signal 보드 설계 프로젝트

STM32F103 schematic 설계하기 - Library 및 symbol

라이브러리 직접 만드는 법

해결된 질문

작성

·

98

0

강의에서는 제공해주신 라이브러리를 가져다 쓰는 걸로 되어 있는데요. 만약 다른 ST MCU를 사용한다던가 다른 IC 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어떻게 라이브러리를 만들면 될까요

답변 2

1

네 안녕하세요, 답변 남겨드립니다 :)

강의에서는 미리 준비한 라이브러리를 제공해서 학습 시간을 줄이고, 회로 설계와 PCB 설계 방법 자체에 집중하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 현업이나 개인 프로젝트에서는 다음과 같은 상황이 매우 자주 발생합니다.

  • 사용하는 MCU가 바뀌거나 신규 출시 MCU 사용 (예: STM32F407 → STM32G474).

  • 특정 기능의 새로운 IC를 채택해야 함 (예: 최신 DC-DC 컨버터, 모터 드라이버, 고속 ADC).

  • 기존 라이브러리에 없는 부품 사용.

  • 부품 공급 이슈로 대체 부품 사용 필요.

이때 시중에서 제공하는 KiCad 심볼, 풋프린트 라이브러리에 원하는 부품이 없으면 직접 만들어야 합니다.

그리고 이 능력은 PCB 설계자나 하드웨어 엔지니어에게 필수 역량입니다.
(대기업, 스타트업, 연구소 가릴 것 없이 동일합니다.)


KiCad에서 부품 라이브러리는 다음과 같이 구성됩니다.

  • 심볼(Symbol)
    회로도 상에서 전기적 연결을 표현하는 그래픽. 핀 이름과 번호, 핀 속성(Input, Output 등) 포함.

  • 풋프린트(Footprint)
    PCB 상의 물리적인 패드 배치와 외형을 정의. 패키지 유형과 핀 번호 포함.

  • 3D 모델(옵션)
    PCB 3D 뷰나 제조 시각화를 위한 STEP 파일.

심볼과 풋프린트는 반드시 서로 연결되어야 하며, 연결 방법은 심볼 생성 시 또는 PCB 설계 과정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Step 1: 데이터시트 확인

먼저 사용할 부품의 데이터시트를 확인합니다.
확인해야 할 핵심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심볼용

    • 핀 번호 및 핀 이름 (VDD, GND, GPIO, 기타 기능 핀들).

    • 핀의 전기적 속성 (Input, Output, Power Input, Tri-State 등).

  • 풋프린트용

    • 패키지 타입 (예: LQFP-64, TQFP-48, QFN-32 등).

    • 제조사가 제공하는 Recommended Land Pattern → 풋프린트 패드 크기 및 위치 정보.

: ST, TI, NXP와 같은 대형 제조사는 대부분 심볼 및 풋프린트 CAD 파일(STEP 포함)을 제공하므로 먼저 검색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Step 2: 심볼 만들기

  1. KiCad 메인화면 → Symbol Editor 실행.

  2. 상단 메뉴에서 File → New Library를 선택하여 새 라이브러리를 만들거나 기존 라이브러리를 엽니다.

  3. New Symbol을 선택하고 부품 이름을 설정합니다.

  4. 데이터시트의 핀 정보를 바탕으로 핀을 추가하고, 이름과 번호를 정확히 설정합니다.

  5. 각 핀의 속성(입력, 출력, 전원 등)을 설정합니다.
    → 올바르게 설정하면 나중에 ERC(전기적 규칙 검사)에서 오류를 잡을 수 있습니다.

  6. 심볼의 그래픽을 그립니다 (보통 직사각형 형태에 핀을 배치).

  7. 저장.

: 핀 번호가 데이터시트와 다르면 PCB 설계 시 치명적 오류가 발생합니다. 반드시 꼼꼼히 검토해야 합니다.


Step 3: 풋프린트 만들기

  1. KiCad 메인화면 → PCB Footprint Editor 실행.

  2. 상단 메뉴에서 File → New Library를 선택하여 풋프린트 라이브러리를 새로 만들거나 기존 라이브러리를 엽니다.

  3. New Footprint를 선택하고 부품 이름을 설정합니다.

  4. 데이터시트에서 제공하는 Recommended Land Pattern 정보를 바탕으로 패드를 배치합니다.

  5. 각 패드에 핀 번호를 설정합니다 (심볼 핀 번호와 일치해야 함).

  6. 패드 속성을 설정합니다 (Through-hole, SMD, 패드 크기, 드릴 크기 등).

  7. silkscreen(외곽선)과 courtyard(부품 간 거리 확보 영역)을 그립니다.

  8. 저장.

: 제조사 Recommended Land Pattern은 반드시 따를 것. 자의적으로 수정하면 제조 문제 발생 가능.


Step 4: 3D 모델 추가(선택 사항)

  • 제조사가 제공하는 STEP 파일을 다운로드합니다.

  • Footprint Editor에서 3D 모델을 로드합니다.

  • 정확한 위치와 방향을 설정합니다.

주의: 3D 모델은 PCB 설계나 회로 동작에 직접 영향을 주지는 않지만, 기구 설계나 제조 검토 시 매우 중요합니다.


Step 5: 심볼과 풋프린트 연결

심볼 에디터에서 심볼 속성을 열고, Footprint 항목에 해당 풋프린트를 연결합니다.

또는 PCB 작업 단계에서 Assign Footprints 기능으로 심볼과 풋프린트를 일괄 매칭할 수도 있습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김기연님.

PCB 설계에서 새로운 라이브러리를 직접 만드는 것은 처음에는 약간 복잡해 보일 수 있지만, 한번 익히면 다양한 설계에 큰 도움이 됩니다. 라이브러리를 직접 만드는 과정은 사용하는 CAD 소프트웨어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일반적인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데이터시트 확인: 먼저, 사용하려는 IC의 데이터시트를 구합니다. 데이터시트에는 부품의 핀 아웃, 전기적 특성, 패키지 정보 등이 있습니다.

  2. CAD 소프트웨어 열기: 주로 사용하는 CAD 소프트웨어(Eagle, KiCAD, Altium Designer 등)를 엽니다.

  3. 새 라이브러리 생성:

    • 소프트웨어의 라이브러리 관리 기능을 통해 새로운 부품 라이브러리를 만듭니다.
    • 부품의 스킴매틱과 풋프린트를 정의하는 부분이 필요합니다.
  4. 스킴매틱 심볼 생성:

    • 부품의 기능을 나타내는 심볼을 스케치합니다.
    • 각 핀에 올바른 이름과 번호를 지정합니다.
  5. 풋프린트 디자인:

    • 부품의 실제 크기에 맞춘 풋프린트를 디자인합니다.
    • 핀 위치, 크기, 패드 등을 정확히 설정합니다.
  6. 검증:

    • 데이터시트와 대조하여 라이브러리가 정확히 설계되었는지 확인합니다.
    • 가능하면 시뮬레이션 도구를 사용하여 테스트합니다.

이 과정에 관한 구체적인 정보는 다음과 같은 유사한 질문에서 참고하실 수 있습니다:
- PCB 설계 시 새로운 부품 라이브러리 만들기
- KiCad에서 커스텀 라이브러리 생성 가이드

이 링크들을 통해 추가적인 도움을 얻을 수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김기연님의 프로필 이미지
김기연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