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151
·
수정됨
0
안녕하세요 프로그래밍 좀비님
열심히 준비해주신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듣는 중 몇 가지 궁금한데 강의 내에는 없는 내용이 있어서 별도로 질문 드리고자 합니다.
계정 정지 시에, 동일한 핸드폰 번호, 이메일 등 연관 된 계정이 함께 삭제 된다고 강의 중 말씀하셨는데, 그럼 계정 생성 시에 모두 다른 핸드폰 번호, 이메일 등 다른 개인 정보를 사용해야만 하는 건가요?
애드몹관련 궁금한게 많은데, 앱에 애드몹을 달때, 애드몹 심사를 앱마다 받아야 하는건가요?
계정 하나에 무제한으로 애드몹을 생성(?) 할 수 있는건지도 궁금합니다.
보통 앱에 애드몹을 달때 어떤 과정을 거치실까요?
서버와 디비 관련 궁금한 게 있습니다.
아직 앱 수익에 대한 확신이 없어서 비용이 발생하는 서버와 디비에는 소극적으로 접근하고 있습니다.
무료로 제공하는 AWS의 경우 조금만 트래픽이 발생해도 엄청난 과금이 발생한다는 카더라를 듣고 시작을 못하고 있는데,
좀비님의 경우 처음 앱 작업부터 서버와 디비 함께 작업하셨는지 궁금합니다.
사용하셨다면 AWS 무료 플랜으로 사용하셨을까요?
강의 내에는 코드 내용은 전혀 나오지 않아서 이것도 궁금해 졌는데 개발 하실 때 어떤 언어 사용해서 개발 하시는지도 궁금합니다.
현재 OpenAPI를 사용해서 리액트네이티브로 프론트만 작성해서 서버 없이 앱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DB는 SQLite를 사용합니다. 일단 이번 앱의 목표는 출시에 의의를 두자는 마음으로 작업하고 있는데요. 좀비님도 이런 식으로 앱을 출시 한 적 있으실까요? 아니면 모든 앱에 서버가 사용되고 있나요?
귀한 시간 내어 답변 주시는 것에 미리 감사드립니다.
답변 2
1
안녕하세요! developerher님 🙂
좋은 질문 감사드립니다.
이게 100% 맞다라는 정답은 없지만 구글의 입장에서 생각 해봤을때 특정인을 지칭할 수 있을 법한 껀덕지가 있다면 어떻게든 찾아내어 연관 계정을 모두 정지처리 하는 경우를 종종 봤습니다. 따라서 말씀주신 대로 계정 생성 시에 모두 다른 핸드폰 번호, 이메일 등 다른 개인 정보를 사용하는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WIFI나 같은 인터넷망, 같은 컴퓨터도 같은 사람임을 알 수 있으니 그 부분도 각별히 주의해주시는것이 좋습니다.
애드몹에 대한 심사는 따로 없고, 앱을 출시할때 거치는 심사는 있습니다! 이는 매번 여러앱을 출시할때 마다 구글에서 심사 과정을 거칩니다.
이부분은 정확히 질문을 이해하지 못했는데 애드몹 계정 하나에 여러개의 광고를 만들수 있냐는 질문이라면 가능합니다. 다만, 애드몹 광고의 경우 특정 앱에 귀속하여 연결을 해야하기 때문에 앱 갯수만큼 광고를 생성할 수 있겠죠!
이 부분도 정확히 질문의 의도를 파악하진 못했으나, 애드몹의 경우 제공하는 SDK가 있으며 Android, iOS, Flutter 등 다양한 환경에서 제공하는 SDK를 활용하여 개발을 통해 앱에 애드몹 광고를 붙힐 수 있습니다.
AWS의 경우 프리티어로 사용할 수 있는 기본 사양이 있으며 프리티어 제품을 사용하는 동안에는 무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서비스의 경우 성능이 그리 뛰어난건 아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비스 초반 트래픽은 왠만하면 다 버틸 수 있습니다. 저의 경우, 앱을 100개 정도 이상 만들면서 터지는 경험을 했습니다.(이 경험도 되게 간헐적으로 낮은 확률이었습니다.) 결론적으로 AWS에 회원가입 하고 사용하시는 첫 1년 간은 돈 걱정은 안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혹여나 돈 걱정이 할때가 된다면 이미 돈을 잘 벌고 있는 시점이니 전혀 걱정안하셔도 될거라 생각합니다.
저는 Android + Kotlin 으로 앱 개발하고, 서버는 Spring Boot + Kotlin 환경으로 개발하고 있습니다.
저도 서버 개발 할줄모르던 1~2년 동안에는 순수 안드로이드만으로 앱 개발을 했었습니다. 그리고 현재도 종종 간단한 앱의 경우에는 서버 없는 순수 네이티브 앱도 만들고 있습니다. 앱을 만드는데 반드시 서버가 필요한것은 아니라 생각합니다. 사용자들이 좋아해줄만한 서비스를 만들수만 있다면 전체 코드가 하드코딩이 되었든, PDA로 하던, 웹 앱이던 크게 상관은 없다고 생각하는 편입니다. 다만, 서버를 다룰수 있게되면 만들 수 있는 범위의 폭이 크게 확장되기 때문에 장기적 관점에서는 배워보시는것을 추천드립니다. 요즘에는 서버를 다룰줄 몰라도 Supabase나 Firebase와 같은 서비스가 잘 되어있기 때문에 서버 개발에 대한 부담이 있으신 상태라면, 한번 고려해보시는것도 좋은 방안이라 생각됩니다. 🙂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래요!
네 맞습니다~
애드몹 계정 생성이후 일단은 광고를 임의로 생성하고
생성하면 나오는 키 값들을 (광고 메인 키 값 + 광고 단위 별 키 값) 활용하여
앱에 적용한 뒤 테스트 광고가 잘 나오는지 확인한 뒤, 앱을 출시하고 나면 그 이후에 애드몹에서 다시 임의로 생성한 광고에 출시된 앱을 연동시키면 완료 입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developher님.
앱 개발 및 운영과 관련하여 여러 가지 궁금하신 점에 대해 다음과 같이 답변드리겠습니다:
계정 정지 시 함께 제거될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가능한 한 각각의 계정을 다른 핸드폰 번호와 이메일 주소를 사용하여 생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각 계정의 독립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정확한 정보는 Google AdMob에 확인하시는 것이 가장 좋지만 일반적인 절차로는 앱을 등록할 때 일반적으로 애드몹 심사를 받게 됩니다. 각 앱마다 정책에 따라 적절하게 적용해야 합니다.
계정 하나로 여러 애드몹 광고 단위를 생성할 수 있지만, 구글 정책에 따라 운영되므로 각 앱에 대한 정책과 규정을 잘 확인하고 준수해야 합니다.
앱에 광고를 게시하는 과정에서는, Google AdMob 계정 생성, 앱 등록 및 광고 단위 생성, 그리고 이를 앱에 통합하는 절차를 따르게 됩니다.
초기에 비용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로컬 DB(SQLite 등)를 사용하며 서비스에 따라서는 AWS의 무료 티어를 사용하여 테스트할 수 있습니다. 트래픽이 늘어나게 되면 유료 서비스 사용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러한 점도 구글 애널리틱스 등을 통해 사용량을 모니터링하면서 계획하는 것이 좋습니다.
앱 개발에는 Java, Kotlin (안드로이드), Swift (iOS) 등이 많이 사용되는 반면 리액트 네이티브는 iOS와 안드로이드 모두를 지원할 수 있는 단일 코드 기반의 프레임워크로 인기가 있습니다.
서버 없이도 오프라인 기능 중심의 앱을 출시할 수 있으나, 데이터 동기화나 사용자 관리 등의 추가 기능을 제공하고자 할 때는 서버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OpenAPI를 사용하는 것은 다양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좋은 접근 방법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 있으시면 언제든지 질문해주세요!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한 줄 한 줄 정성스럽게 답변 달아주셔서 너무 감사드립니다.
도움이 많이 됐습니다.
애드몹 관련 질문은 제가 관련해서 아는 것이 없어 너무 모호하게 질문을 남겼습니다.
조금 더 찾아보았는데,
제가 티스토리 애드센스만 경험이 있어서 애드몹도 광고 달기 전에 이곳에 광고를 달아도 되는 지 앱에 대한 심사를 하는 지가 궁금했었습니다. 애드몹의 경우 별도의 심사는 하지 않나 보네요 :)
앱에 애드몹을 다는 과정이 궁금했는데, 조금 더 찾아보니
애드몹 계정 생성
애드몹 사이트에서 앱 정보 등록 후 Ad Unit ID 생성 --> 이때는 스토어 출시전이므로 스토어 출시 옵션 "아니오" 선택
Ad Unit ID 사용하여 앱에 애드몹 등록
스토어 출시 후에는 Ad Unit ID 의 스토어 출시 옵션을 "예"로 업데이트
이렇게 이해가 했는데 이런 과정으로 애드몹을 다는 게 맞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