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C() 적용범위
해결된 질문
작성
·
94
답변 2
0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김치현님, 질문해 주신 C() 함수의 사용 범위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C() 함수는 범주형 변수를 명시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함수로, 회귀 분석 및 분산 분석에서 각각 다른 방식으로 적용됩니다.
- 다중 선형회귀 및 로지스틱 회귀에서의 - C()사용:- 문자형 변수: 보통은 자동으로 범주형으로 처리됩니다.
 
- 수치형 변수 중 범주형인 경우: 명시적으로 C()를 붙여주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숫자가 범주형 값을 가지는 경우, 예를 들어 0, 1, 2가 각각 다른 그룹을 나타낼 때입니다.
 
 
- 문자형 변수: 보통은 자동으로 범주형으로 처리됩니다.
- 일원 및 이원 분산분석에서의 - C()사용:- 독립 변수가 범주형이면 기본적으로 C()로 묶는 것이 권장됩니다. 이는 수치형이든 문자형이든 관계없이 범주형 변수를 명확하게 처리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분산분석에서는 더욱 명확히 모든 독립변수에C()를 적용할 가능성이 큽니다.
 
 
- 독립 변수가 범주형이면 기본적으로 
김치현님의 학습 내용을 고려하면, 다중 선형회귀나 로지스틱 회귀에서는 꼭 필요한 경우에 C()를 사용한다는 점을 기억해 주세요. 해당 내용을 보다 명확히 이해하시려면 아래 유사한 질문과 답변을 참조하실 수 있습니다:
- 다중회귀분석에서 범주형데이터가있어도 ols 함수에서는 C()묶을필요없다고 하셨었는데
- 작업형3 C() 질문 드립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