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를 나눠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시작하는 PM/PO들에게 알려주고 싶은, 프로덕트의 모든 것
학습 방향에 대한 고민
안녕하세요 민우님, 제공해주시는 강의를 통해 많은 깨달음을 얻고Feature Factory에서 벗어나 진정한 PM이 되고자 노력하게 되었습니다.감사드립니다. 같은 맥락에서, 더 나은 PM이 되고자 계속해서 공부하고자 하는데학습해야 할 것들이 방대하다보니 어떤 방향으로 접근해야 할지 고민입니다. 그래서 현재는 역량과 관련된 분야를 나눠서 분야별로 학습하는 방식을 고려하고 있는데PM은 사용자/데이터/비즈니스/산업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다고 하셨는데, 이런 식으로 분야를 나눠 공부하면 좋을지혹은 다른 방식으로 구분이 필요할지혹은 위 내용과 상관 없이 권장하시는 학습 방법이 있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또한, 현업 업무에서는 UX, 디자인, 개발 지식이 일정 부분 필요하다고 느끼고 있는데, 이에 대한 우선순위는 어느 정도로 두어야 하는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MFC Windows 프로그래밍 - 기본
공부순서
선생님 강의에시스템 프로그래밍 있던데 MFC를 먼저하는 게 좋을까요시프를 먼저하는 게 좋을까요
-
[포트폴리오] 안드로이드 앱 만들기 - 이론편
앱 개발 노트북 추천
안녕하세요윈도우 환경에서 개발하다가 주변에서 그리고 인프런 노트북 추천 내용을 보고맥북을 고민하고 있습니다Apple 맥북 에어 13 M3 10core 24g해당 사양을 고민하고 있는데 현업? 에서 사용하기 어떤지 궁금합니다.회사 컴 M2깡통? 은 조금 버벅 거리는 거 같아서요대충 m3 저정도면 i7 32g 흡사 하다고 해서요.조언 부탁드립니다.혹은 200만원 내에서 앱 개발 원할하게 잘 돌아가는 노트북 추천 해주셔도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
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주차별 학습 계획이 달라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선생님 !선생님 강의 잘 듣고 있는 컴공과 대학생입니다. 제가 이번에 소프트웨어 마에스트로를 준비하려고 합니다.방학 때 프로젝트를 하나 한 뒤 준비를 시작해서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이번에 소마는 1차(2월 22일), 2차(3월 8일)로 나뉘어 있고 1, 2차에 어떤 문제가 나오는지 알려줘서 1차를 먼저 집중해서 공부하려고 합니다. 1차 전형 문제는 아래와 같습니다.(기본 알고리즘) 기본적인 알고리즘(완전탐색, 정렬 등)과 자료 구조(배열, 스택, 큐 등)를 이해하고 적절히 활용할 수 있는 능력 검증 (SQL) JOIN, UNION 등 기본적인 함수를 사용한 쿼리를 작성할 수 있는 SQL 활용 능력 검증2차 전형 문제는 아래와 같습니다. (심화 알고리즘) 복잡한 알고리즘(동적계획(DP), 깊이/너비 우선 탐색(DFS/BFS), 그래프 등)과 고급 자료 구조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 검증(SQL) 다양한 함수를 활용한 복잡한 쿼리를 작성할 수 있는 SQL에 대한 깊은 이해와 활용 능력 검증 여기서 여쭙고 싶은 게 2가지 있습니다. 선생님께서 준비해주신 문제와 강의가 DFS나 BFS가 2주차에 나와있습니다. 이 부분은 건너뛰고 3주차를 풀어도 되는지 궁금합니다.강의 목록에 보면 정렬이 포함된 섹션이 없는 것 같습니다. 혹시 준비해주셨는데 제가 못 찾은 것은 아닌지 아니면 따로 공부 해야 하는건지 궁금합니다.여기까지가 질문입니다. 감사합니다.
-
flutter 개발자 채용 근황
개발자 근황 보면 아직 별로 안올라와있는거라고 3,4월 되면 그때 많이 채용하는 분위기다 라고 하는걸 들었는데요.. flutter 개발자도 똑같은걸까요? 아직 채용이 많이 안올라와있는건지 아니면 그냥 신입 flutter 개발자를 뽑는곳이 없는건지 너무 생각이 많아지네요ㅠㅠ
-
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Part3 - 네트웍 멀티플레이 프레임웍의 이해
싱글플레이->멀티플레이
교수님 안녕하세요!아직 멀티플레이 강의는 공부전이고, 바로 공부는 못할거같은데요.만약 지금 싱글플레이로 만든 프레임웍을 ,후에 이 강의 공부하면서,변수,함수,입력을 멀티플레이용으로 변경하고,서버관련 코드(아직은 얼만큼, 어떤것을 해얄지 모릅니다)를 추가,확장을 할까하는데,...그냥 멀티플레이용으로 새로 만드는게 나을까요?(무엇보다,입력을 전부 플레이어에서 하는 중이라서요 ㅠ)
-
38군데 합격 비법, 2025 코딩테스트 필수 알고리즘
1-11 숙제를 진행하던 중
강사님 안녕하세요.매번 알고리즘을 미루다가 이제 더이상 미룰 수 없어 빠듯하게 학습을 진행하고 있습니다.강의 관련된 내용은 아니라 질문 드려도 될지 잘 모르겠네요. 문제가 된다면 삭제하겠습니다. 1) 뒤집어 질 경우 2) 첫 번째 원소가 0인지 1인지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떠올리기 까지 시간이 너무 오래 걸려요.(못 떠올리긴 했지만) 떠올리기 까지도 시간이 너무 오래걸려서 결국 정답 코드를 확인하곤 합니다. 과연 학습을 하여도 이런 방법을 떠올릴 수 있을지 걱정이 앞서네요.제가 제대로 된 학습방법을 가지고 학습을 하고 있는걸까요? 저는 Java로 코딩 테스트를 준비하고 있습니다.강의 자료(노션)에 있는 원 문제 링크를 들어가 혼자 문제를 먼저 풀어보곤 해요.그러고 이해가 안되는 건 해설 영상을 보거나, 개념이나 이론 부분은 영상을 봅니다.제가 풀 수 있는 문제는 해설 영상을 건너뛰고 있습니다. 혼자 문제를 풀 때는, 원 문제 링크를 들어가 문제를 손으로 풀어보고 이해를 합니다.문제를 보고 위에 작성한 1) 뒤집어 질 경우와 같은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두서없이 주석에 막 적습니다.그러고 이 방법이 맞겠는데? 싶으면 주석으로 수도코드를 작성합니다.그러고 코드를 작성하고, 입력과 출력을 비교하며 제출을 합니다. 모든 공부법에 정답은 없겠지만, 제 학습법이 효율적인 학습법인지 + 저에게 맞는 학습법인지 모르겠습니다.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떠올리는게 너무 힘들어요. 컴퓨터식 머리(?)가 부족한걸까요.해결법을 떠올리는게 힘드네요. 잘 떠올리고 싶어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문제가 되면 삭제하겠습니다.
-
필터링 테이블 생성 여부
안녕하세요 프로젝트를 만들고 있는 대학생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글쓰기 게시판 커뮤니티를 만들 고 있는데 필터링을 시킬경우 (처음부터 상위분야에서 하위분야를 선택해서 (다중 선택)으로 해서 글을 작성하게 만들 예정인데 이럴 경우 엔티티를 따로 만드는 게 좋은지 에 대해 의견을 여쭙고자 글을 작성합니다. 사실 매핑을 따로 해야 하는지 지금 잘 모르겠습니다! 참고로 글을 쓰는 것과 더블어 그냥 홈화면에서 필터링기능까지 있어서 따로 엔티티를 만드는 게 나을까요? Post(글쓰기) 엔티티 FieldCategoryFieldCategory에 dto (SubCategory는 밑에 하위항목입니다.) isSelected는 선택여부입니다!package com.backend.farmon.dto.Filter; import io.swagger.v3.oas.annotations.media.Schema; import lombok.*; import java.util.List; @Getter @Builder @Schema(description = "분야에 대한 필터링 DTO") public class FieldCategoryDTO { @Setter private FieldCategory fieldCategory; private List<SubCategoryDTO> subCategories; @Getter @Setter @NoArgsConstructor @AllArgsConstructor public static class SubCategoryDTO { private String subCategoryName; private Boolean isSelected; } // 생성자, getter, setter 추가 public FieldCategoryDTO(FieldCategory fieldCategory, List<SubCategoryDTO> subCategories) { this.fieldCategory = fieldCategory; this.subCategories = subCategories; } public FieldCategory getFieldCategory() { return fieldCategory; } public List<SubCategoryDTO> getSubCategories() { return subCategories; } }
-
세계 대회 진출자가 알려주는 코딩테스트 A to Z (with Python)
노션 출력
안녕하세요!다름이 아니라, 노션에 정리된 자료를 출력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또는 출력된 자료를 판매하실 계획이 있으신지 궁금합니다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나도코딩의 자바 기본편 - 풀코스 (20시간)
제가 실습한 코드들을 Github에 올려도 되는지 고민입니다.
안녕하세요 나도코딩님저는 백엔드 웹 개발자가 되기 위해 나도코딩님 강의를 학습하고 있는 중인 Leerungah(이릉아)입니다.제가 현재 나도코딩님 강의를 열심히 들으면서 제가 실습한 소스 코드들을 GIthub에 올려서 회사 면접 자리에서 제가 기술력을 높이기 위해서 어떻게 노력과 결과를 구현했는지를 관심 있으면 면접관 들에게 제 깃허브 링크로 남겨 보여드리고 싶은데제가 클래스 후반 부분 까지 학습하였고 (중요 )지금 까지 혼자서 실습한 코드들은 학습하던 중에 해설을 참고하여 제가 예측한 결과와 또 예측한 부분이 다르다면 왜 틀렸는지 그러한 이유들을 나도코딩님의 해설들을 세세하게 적거나 간추리면서 주석으로 적은 부분이 꾀 많습니다따라서 제 고민은 나도코딩님의 해설을 주석으로 적은게 있어서 GIthub로 올리는 것이저작권에 문제가 될 수도 있지 않을까하다가(고민)결국 해도 되는지 잘 모르겠어서 이렇게 허락을 구하려고 이렇게 글을 남기게됬습니다.허락해 주신다면 제가 꼭 나도코딩님의 자바 강의 출처를 남기도록 하겠습니다.
-
자바스크립트 비기너: 튼튼한 기본 만들기
이번에 새로 개강한강좌에대해서 문의요
자바스크립트 비기너: 튼튼한 기본 만들기 현재 이강좌를 신청했는데요 새로 또 자바스크립트 강좌가 개설되더라구요 클린업 JavaScript: 점프업! 이런강좌가 출시되었는데 내용상 겹침이 어느정도인지 궁금해서요;;;; 강사님의 강좌는 현재 출시된것빼곤 전부 구입해둔상태입니다.
-
문과생 취준 데이터부트캠프 도움될까요?
요즘 채용공고 보면 많은 기업들이 데이터분석 가능한자를 우대로 많이 하더라구요 제가 들어가고 싶은 기업 역시 마찬가지구요 ㅠㅠ 지금 4개월째 서류 광탈중이라 뭐라도 더 배우면 도움 될거 같아서 알아보고 있는데 어떨까요??? 도움이 될런지 궁금하네요..
-
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학습 방법 질문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어떻게든 따라가면서 겨우 완강까지는 왔는데,물론 다른 것도 힘들었지만 섹션 6부터는... 설계를 이해하고 따라오는 것도 힘들었네요..ㅠㅠ그래도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추후 학습 방법에 대해 질문이 있어서 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개인적으로 기본기를 비롯해서 실력이 떨어진다고 생각해서, 복습을 잘 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먼저 복습 방법에 대한 질문입니다.해당 강의 복습 시, 어떤 방식(+어떤 것을 위주로)이 좋을지 여쭤보고 싶습니다.(지금 생각나는 건 전체적인 구조(설계)를 파악하는 것 + 무언가일 것 같은데, 그 무언가가 코드를 따라치는게 아니라 복습하면서 스스로 생각하면서 다시 짜보는 것일까 싶네요..)설계-구현 방식으로 강의를 설계해주셨는데, 여러 가지 구현 방식이 있겠지만 강의에 나온 이러한 구현 방식대로 구현할 수 있도록 연습하는 것도 좋은 방식일까요? 물론 진행하겠지만 구현에 집중하다가 중요한 걸 놓치지 않을까 싶어서 여쭤보려 합니다. 수업과는 별개의 학습 방법 질문강의를 듣다 보면, 어떤 식으로 구현해야겠다/어떤 것을 고려해야겠다 등을 비롯해서 기본기가 탄탄하시다는 느낌을 받았는데, 이런 능력은 어떻게 키워나가셨는지 궁금합니다. 제가 말주변이 없어서, 다른 분들처럼 수강평을 잘 적을 수는 없을 것 같습니다.다만 강의 소개 등에서 말씀 주셨던 것처럼, 기본적인 게시판 만들기 이상의 여러 고민해볼거리를 직접 설계-구현을 통해서 던져주신 것이 너무나 감사했습니다. 감사드립니다.
-
시작하는 PM/PO들에게 알려주고 싶은, 프로덕트의 모든 것
민우님,
통계학 원론 수준을 가볍게 pm이 익히기 좋은 책이나 강의는 뭐가 좋을까요?너무 깊게 들어가진 않으면서 말씀주신 수준의 것들을 해내기 좋은 즐거운 연휴되세요
-
설계독학맛비's 실전 Verilog HDL Season 1 (Clock부터 Internal Memory까지)
vivado 설치 오류
강의 여러번 보고 있는데요..자꾸 vivado 설치가 여기서 멈춰서 더이상 진행되지 않은지 3번은 된 것 같습니다....root 계정은 아예 gui가 안뜨고 커맨드 모드도 똑같이 따라쳤는데 안되어서제 local계정에서 설치를 하고있는데 여기서 계속 멈춰서 진행이 되지 않습니다..도움 좀 부탁드립니다ㅠㅠㅠㅠ
-
취준생 사이드 프로젝트 리뷰 부탁드립니다(프론트)
갑자기 의욕이 생겨 타로 mvp 모델을 만들어봤습니다.개선 작업을 하고 싶은데 방향을 못잡고 있어서 이렇게 글을 남기게 되었습니다.고견을 남겨주시면 빠른 시일 내에 적용해보도록 하겠습니다. AI타로카드 웹 - chill guy tarothttps://chill-guy-tarot.vercel.app/결과 보기 후 리뷰 이벤트 클릭하시면 구글 폼으로 연결됩니다.구글 폼으로 리뷰를 작성해주시면 소정의 사은품을 추첨을 통해 지급해드리겠습니다.감사합니다.
-
한 입 크기로 잘라먹는 Next.js(v15)
서버공부 (Java spring)
안녕하세요 정환쌤!!프엔을 공부하다가 대기업 취준을 준비하면서 서버쪽도 배우고싶어졌는데요 혹시 Java spring 서버관련 강의나 책 어떤걸로 공부하면 더 도움이 될지 추천부탁드려도 될까요 ??
-
백엔드 개발자 대기업
안녕하세요, 백엔드 공부중인 취준생입니다. 취업 해서 ‘개발을 꼭 하고싶다’는 아니라 it 서비스 기업 (네카라쿠배등등)은 2순위로 생각하고 있는데요, 우선 sw직군에 취업은 하고싶은데 대기업쪽에 관심이 생겨서 질문 남깁니다. 현차 sw직군에 개발자 분들 많이 지원하시나요?? 아님 보통 개발자 분들이시라면 현대모비스나 오토에버 쪽으로 지원하시나요?? 궁금합니다.. 어느 대기업을 선호하시나요??
-
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강의 구입에 관한 질문입니다(설연휴 할인 관련)
설연휴 할인이벤트와 관련하여 강의를 미리 구입하려합니다.현재 스프링mvc를 듣는중입니다 스프링db강의 두개를 듣고->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까지 들은 다음에 실전! Querydsl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이 세가지 강의를 생략한후 바로스프링 부트 - 핵심 원리와 활용을 들어도괜찮을까요? (모두 구입은 약간 부담이 됩니다) 이번 1학기에 스프링부트관련 동아리를 들어가려하는데 동아리에서 제공하는 스프링부트교재를 풀며 진행한다고 합니다. 1학기에 스프링부트교재와 스프링 부트 - 핵심 원리와 활용를 병행하면 괜찮을 것같아 미리 사둘려고합니다.저의 계획대로 강의를 들어서 꽤 괜찮은 기능이 담긴 애플리케이션을 만드는게 가능할까요?
-
김영한 선생님 및 서포터즈 분들께 (취업 고민)
안녕하세요. 현재 저는 컬럼비아대학교에서 CS를 전공하고 있는 학생입니다.이제 4학년 ( 약 30학점을 남겨둠) 으로 학점은 4.1 ( 4.0 만점) 로 상위 0.1 % 를 유지(Dean's List 선정등) 하고 있지만 사실 코딩 실력은 형편이 없습니다.기계공학과에서 전과를 해서 코딩 시작한지는 6개월 남짓이고, 그 마저도 방학때마다 해외여행 다니면서 공부를 게을리해서 공부한 것들을 또 까먹고 그럽니다.인턴, 프로젝트등 경험이 하나도 없습니다. 오로지 제가 내세울 수 있는건 아이비리그 라는 타이틀과 학점입니다.사실 저는 부동산, 경제에 더 흥미를 가지고 있고, 부동산 블로그, 오픈채팅 커뮤니티를 운영중인 만큼 관심이 많은데, 아이러니하게도 과는 취업만을 보고 CS 를 선택했습니다.저에게 현실적인 쓴소리 및 조언을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제가 어떻게 저의 레쥬메를 더 잘 채워나갈 수 있을까요? 실질적으로 김영한 선생님 Java 중급 2편까지 본게 전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