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딱 8일간! 인프런x토스x허먼밀러 역대급 혜택

블로그

인프런 워밍업 클럽 4기 DevOps - 2주차 발자국

전체적으로 느낀 점Kubernetes는 단순히 "컨테이너를 관리하는 도구"가 아니라, 전체 인프라의 상태를 코드로 정의하고 자동화하는 시스템이라는 걸 알게 되었다. 복잡하게 보였던 구성 요소들이 실제로는 잘 분리된 역할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 인상 깊었고, 배울수록 실전에서 유용하겠다는 확신이 들었다. 배운 내용 요약 컨트롤 플레인과 클러스터 구조Control Plane은 클러스터의 두뇌로, 모든 오브젝트를 정의하고 감시하고 조율한다.etcd는 상태 저장소, Scheduler는 파드를 노드에 배치, Controller Manager는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워커 노드는 kubelet, kube-proxy, containerd 등의 구성 요소로 작동하며, 컨테이너 실행은 Kubernetes가 직접 하는 게 아니라 런타임에게 요청한다는 구조가 흥미로웠다. 오브젝트 vs 컨트롤러오브젝트는 Pod, Service, PVC, ConfigMap처럼 기능 단위의 리소스컨트롤러는 이들을 자동화·유지·복구하는 역할 (Deployment, HPA 등)두 개념을 명확히 나눈 덕분에 Kubernetes의 확장성과 유연성이 보였다. ConfigMap과 SecretConfigMap: 설정값을 파드 외부에서 관리 → 환경별로 유연하게 구성 가능Secret: 민감정보 저장 (Base64 인코딩, 메모리 마운트)특히 Secret이 노드 메모리에 저장되고, 수정 시 kubelet이 주기적으로 반영하는 구조는 실제 운영환경에서 고려할 보안 요소가 많다는 걸 보여줌 Service서비스는 파드 IP가 변해도 고정된 접근점을 제공하는 추상화 계층ClusterIP, NodePort, LoadBalancer, ExternalName 타입마다 용도가 다르고,내부 DNS 기반의 이름 접근(서비스 디스커버리)은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의 핵심 Probe (Liveness, Readiness, Startup)컨테이너가 살아있는지(Liveness), 준비됐는지(Readiness), 시작 중인지(Startup) 체크 가능Kubernetes가 단순 배포 도구가 아닌, 운영과 회복 기능까지 내장하고 있다는 걸 실감함설정에 따라 서비스 유입 제한, 자동 재시작 등 운영자가 손 쓸 필요 없는 자동화 처리가 가능 HPA (Horizontal Pod Autoscaler)설정된 기준(CPU 등)에 따라 파드 수를 자동으로 조절이상적인 스케일링과 현실적인 지연 시나리오를 비교하면서, HPA는 전능한 도구가 아니라 보조적인 수단임을 인지하게 됨 

데브옵스 · 인프라인프런워밍업클럽4기발자국DevOps

인프런 워밍업 클럽 4기 DevOps - 1주차 발자국

배운 개념 요약네임스페이스쿠버네티스 리소스를 논리적으로 구분해 관리하기 위한 단위실습 중 네임스페이스를 활용해 강의별 리소스를 격리해 관리한 것이 특히 인상 깊었음삭제 시 모든 내부 오브젝트도 삭제되지만 PV는 클러스터 레벨이라 별도 관리 필요디플로이먼트, 레플리카셋, 파드디플로이먼트 생성 → 내부적으로 레플리카셋 생성 → 파드 복제본 유지이름 지정 방식, 라벨-셀렉터의 역할을 실습하며 자연스럽게 익힘파드가 죽으면 자동 재생성되는 구조에서 쿠버네티스의 자가치유 개념을 체감함 컨테이너 설정 및 ENV 구성ConfigMap과 Secret을 사용한 환경 변수 주입 방식이 매우 유연하다는 인상실무에서 .env를 쿠버네티스에서는 어떻게 대체하는지를 명확히 이해함 프로브(Probe)스타트업/레디니스/라이브니스 프로브의 차이점을 실습을 통해 구체적으로 파악특히 Readiness Probe가 실패하면 트래픽을 차단하는 방식이 운영 환경에서 유용하다고 느낌 볼륨(PV/PVC)과 마운트PV는 클러스터에서 생성, PVC는 네임스페이스에서 요청둘 사이 연결을 셀렉터로 명확히 지정해야만 동작한다는 점을 실습으로 확인서비스(Service)파드와 클라이언트를 연결하는 핵심 요소라벨-셀렉터를 통해 다이나믹하게 연결된다는 점이 매우 직관적이고 강력HPA (Horizontal Pod Autoscaler)실습을 통해 CPU 부하에 따라 자동으로 파드 수를 조정하는 과정을 경험단순히 개수만 조정하는 게 아니라, 쿨타임(600초)을 두어 확장을 제어하는 구조까지 확인함느낀 점쿠버네티스는 단순히 "배포 도구"가 아니라, 운영에 최적화된 추상화 플랫폼이라는 인식을 하게 되었다.초반에는 오브젝트 간의 관계가 복잡해 보였지만, 실습을 반복하며 레이블과 셀렉터를 중심으로 이해하면 구조가 단순해진다는 점을 깨달음각 오브젝트는 독립적인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서로 긴밀히 연결된 구조이며, 이 연결을 정확히 설계해야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하다는 점을 실감

DevOps인프런워밍업클럽4기발자국

채널톡 아이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