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Dowon Lee
Spring framework의 Spring Cloud 제품군을 이용하여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해 보는 과정입니다. Cloud Native Application으로써의 Spring Cloud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구성을 어떻게 하는지에 대해 배울 수 있는 강의입니다.
초급
Spring Cloud, MSA, Spring Boot
この講義は、Cloud Native Architecture を構成する 4 つの構成要素のうち、コンテナ仮想化技術について学習するプロセスです。 マイクロサービス アプリケーションをデプロイおよび運用するための最良の方法であるコンテナ仮想化という技術の基本的な概念を理解し、コンテナ仮想化技術の中で最も広く知られている Docker 技術について取り上げる学習プロセスです。 MSA 型式で開発されたアプリケーションをデプロイおよび運用するために必要な必須の内容について、理論学習だけでなく、関連する実習例を通じて、実際の Docker コンテナがどのように動作するかを理解できます。 このコースでは、既存の他の講義では取り上げられていない Docker Security や Logging などのさまざまな要素についても学習できます。 最終的な実習プロジェクトでは、Docker 技術と連携できるサービス (Harbor + Argocd) を構築し、アプリケーションをデプロイすることで、DevOps を適用する際に必要な重要な運用環境について実習できます。
Docker コンテナ技術
Docker イメージの作成
Docker レジストリの構成
Docker Compose を使用したマルチコンテナの管理
Docker セキュリティ
Docker ログ ファイルの分析
Docker 以外のコンテナ技術
マルチプラットフォーム向けの Docker ビルド
CI/CD での Docker 環境の構築
プライベート ハーバー レジストリ
Jenkins CI/CD パイプラインの連携
Kubernetes 配布 (Argocd)
学習対象は
誰でしょう?
コンテナ仮想化技術に興味のある方
Cloud Native テクノロジーに興味のある方
MSA アプリケーションの配布と運用を担当する人
CI/CD 환경にコンテナ仮想化技術を適用したい人
前提知識、
必要でしょうか?
IT サービスの理解
クラウド サービスの理解
Windows 環境ユーザー) CMD コマンド (dir、curl、ping、ipconfig など)
MacOS 環境ユーザー) ターミナル コマンド (ls、curl、ping、ifconfig など)
29,178
受講生
1,550
受講レビュー
1,352
回答
4.8
講座評価
8
講座
저는 IT 엔지니어입니다. 언젠가 직업란에 "회사원?", "개발자?", "강사?" 어떤 단어를 선택해야 할 지 고민이 되었던 때가 있었습니다. 그러다가, IT 엔지니어라는 표현이 제가 잘 어울리는 직업명이라는 생각이 들어 지금까지도 직업란에는 "IT 엔지니어"라고 적고 있습니다.
직업이라는 것은 자신의 일을 나타내는 것이고, 일이라는 것은 재미있고, 도움이 되는 일이면 좋겠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누구나 다 원하는대로 일을 하며 살수는 없지만, 저는 제가 하는 있는 이 일을 좋아하는 있고, 잘하고 싶어하는 사람입니다. 개발자로써, 강사로써, 컨설턴트로써의 역할을 해 오면서, 매번 새롭게 출시되고 변화하는 IT 신기술을 따라가기에 급급하지만, 그래도, 남들보다 조금이라도 먼저 접하고, 전파하고, 사용하고 싶은 사람 중 한명입니다.
최근 관심을 가지고 있는 분야는 온라인 교육 컨설팅입니다. 그리고 관심있는 기술은 Cloud Native Architecture, Blockchain, Machine Learning, Kafka, Kuberbetes 등입니다. 이러한 기술은 실제로 강의도 하고 있고 업무에 적용해서 사용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워낙 방대한 주제이다 보니, 아직까지도 계속 공부하고 있습니다.
머리속에 가지고 있는 것은 진정한 지식이 아니라고 합니다. 저는 제가 가진 지식과 경험을 다양한 방벙을 통해 공유하려 합니다. 그리고, 새로운 분야, 새로운 기술에 계속 도전하고 있는 IT 엔지니어가 될 것입니다.
現) 엔제이원컴퍼니 대표
現) 동국대학교 국제정보대학원 정보보호학과 대우교수
前) JP Morgan Chase AMJ Tech consultant (일본)
前) 삼성 SDS CMS 사업본부 책임 엔지니어
全体
113件 ∙ (20時間 31分)
1. 講座紹介
03:07
2. ソフトウェアアーキテクチャ
19:37
3. コンテナ仮想化技術とDocker
13:15
4. 講義紹介
00:58
5. Dockerとコンテナ仮想化技術
14:45
9. Docker Image 構造
06:22
全体
21件
4.8
21件の受講レビュー
受講レビュー 17
∙
平均評価 4.8
5
궁극적으로 개발자가 알아야 할 스펙트럼에서 많은 부분을 알 수 있게 되는 강의입니다. 코드를 작성하고 빌드하고 실행해보는 것을 넘어, 그 다음의 모든 과정을 다루는 듯 합니다. 최근 리눅스를 공부하고 관리를 위해 Gitlab 을 직접 설치해보고, CI/CD 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도커를 사용하는데 만나게 되는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겪었던 일들이 이 강의에서 이미 놓치지 말기 바란다며 충분한 설명이 되어 있더군요. 도커 강의 많아도 실행해보고 끝나거나 CI/CD 강의 많아도 설치와 실행해보고 끝나는 경우도 많고, 흔히 깃허브 빌드/배포 실행으로 어찌 보면 유행하는 내용으로 책과 강의가 넘치는 요즈음... ... 근 한 달 여간 많은 시도와 학습과 시행착오와 고민을 겪으며 조직이 아닌 한 명의 개발자라도.. '시스템' 이 있어야 한다는 마음으로 자동화에 많은 시간을 들여 만드는 과정에 있는데... 이 강의가 그 과정에 너무나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최근 도메인 설정부터, Gitlab, Gitlab Runner, 프로메테우스, 그라파나 등을 설치하고 설정하는 과정에서 강의 중에 언급된 SSL 통신을 위한 인증서 설치와 경로 지정, 인증서 확인과 발급, 갱신이 곳곳에 해야 되더군요... 그런데 이것이 도메인 인증서는 3개월, SSL 인증서는 최대 1년이라는데, 당장 사용하는데는 문제가 없을 정도지만, 이후에는 만료가 되어 문제가 생기거나 실제 운영중이라면 중단 사고가 발생하거나, 키를 분실하여 새로 설정해야 되는 경우가 생길 것 같습니다. 인증서에 관하여 추가로 학습하고 배워야 하는 건 제 몫이고, 가능하다면 자동 갱신을 위한 쉘 프로그램을 크론으로 등록해볼까 하는 생각을 합니다~~ 만 ~ 혹시 보강으로 인증서 갱신과 자동화에 대한 강의가 있다면 좋겠습니다. ^^ ㅎㅎ 은행 공인인증서보다 더 불안하네요.. 혼자 무엇을 공부해야 하는지 모르는 상태에서 여기까지 와야 했다면 수 개월은 걸렸을텐데, 훌륭한 강의 덕분에 몇 일만에 끝낼 수 있을 거 같다는 자신감이 생겼습니다. 남은 주말은 실제 서버에 적용해보는 실습을 하고자 합니다. 개발자라면 꼭 알아야 할 개발 그 이후의 이야기... 여러분 여기가 명강의 입니다.~~~~ 감사합니다. ^^
受講レビュー 81
∙
平均評価 5.0
受講レビュー 2
∙
平均評価 5.0
受講レビュー 36
∙
平均評価 4.8
受講レビュー 66
∙
平均評価 5.0
¥10,342
知識共有者の他の講座を見てみましょう!
同じ分野の他の講座を見てみましょ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