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簡単に始めるKubernetes(v1.30) - {{ x86-64, arm64 }}
kubernetes
クバネティス(☸)を実際に導入する段階で必要な内容を盛り込みました。🧭 この講義を通して、クバネティスを最も手軽に構造を理解し始めることができます。🥇
Basic
Kubernetes, Docker
쿠버네티스(☸)의 많은 부분을 그림으로 배울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 특히 이미 검증된 베스트셀러 '컨테이너 인프라 환경 구축을 위한 쿠버네티스/도커'에서 검증된 내용을 더욱 확장해서 쿠버네티스 자체를 더 깊이 학습하도록 작성하였습니다. 💯 또한 실무적인 내용들이 '보강 수업'에 주기적으로 추가되어 있습니다. 👉 꼭 다른 강의와 비교해 보세요 :)
쿠버네티스를 이루는 코드(YAML)을 이해할 수 있어요
쿠버네티스 인프라의 조건들을 코드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어요
kubeadm을 통해서 실제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구현할 수 있어요
kubectl의 유용한 옵션들(describe, logs)의 용도를 배울 수 있어요
Pod, Deployment등의 오브젝트를 코드로 배포하고 노출할 수 있어요
쿠버네티스의 서비스와 연관된 요소들을 알 수 있어요
쿠버네티스 볼륨의 다양한 사용법을 알 수 있어요
쿠버네티스 노드에 대한 구성 및 관리하는 법을 배울 수 있어요
쿠버네티스 파드의 구성 및 관리하는 법을 자세히 배울 수 있어요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의 자원을 관리할 수 있어요
쿠버네티스 꽃인 스케줄링에 대해서 자세히 배울 수 있어요
쿠버네티스를 사용하는 개발자가 꼭 알아야 하는 Probe에 대해서 자세히 다뤄요
개발한 컨테이너를 효과적으로 올리는 다양한 방법을 배울 수 있어요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관리하는(예: HPA) 법들을 배울 수 있어요
쿠버네티스 항해의 두 번째 걸음! 🚢
성장하는 개발자/엔지니어의 기틀을 다져보세요.
📢 쿠버네티스 v1.30 로 실습 업데이트!
이 강의는 쿠버네티스(Kubernetes)의 문서를 통해서 배우기 어려움을 겪는 부분들을 구조적으로 정리하고, 비유와 그림을 통해서 쿠버네티스를 본격적으로 배우는데 어려움을 줄이고자 하는 목적으로 제작된 강의입니다.
💡 강의 등록 전에 알아두면 좋을 점
서비스
와 같이 정확하지 않아 보이는 표현은 쿠버네티스 공식 용어이며, 기존 인프라 구조를 가지고 오는 과정에서 용어의 중복은 피할 수 없습니다.애플리케이션 롤링 업데이트
그 외에 그림들
현재 강의는 쿠버네티스 사용되는 요소들을 이해하기 쉽도록 구조화해서 구성하고, 이를 코드를 통해서 배포하여 본격적으로 쿠버네티스를 사용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습니다. 따라서 대제목은 3개로 구성되어 있고, 그 내부에 중제목으로 세부화한 후에 소제목을 구성하였습니다.
세부적인 목차는 하단의 강의 소개에 있으니 그 내용을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쿠버네티스의 오브젝트를 배포하는 포맷 및 관리하는 포맷 모두가 야믈(YAML)이라는 형식으로 구현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야믈을 이용한 코드를 보지 못하면 쿠버네티스의 요소들의 진정한 의미를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또한 컨테이너 인프라에 대한 다른 도구들 또한 코드를 기반으로 동작합니다.
코드로서의 인프라스트럭처(IaC, Infrastructure as Code)는 쿠버네티스 그리고 쿠버네티스 생태계를 이루는 거의 모든 제품군에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따라서 하루라도 빠르게 코드로서 쿠버네티스를 익히고 이를 이용하여 앞서가는 개발자/엔지니어로 성장하고 함께 하실 수 있기를 바랍니다.
지금 바로, 쿠버네티스의 배움을 코드와 함께 시작해 보면 어떨까요?
주변에 많은 분들이 쿠버네티스를 시작은 했지만, 어떻게 공부해야하는지 매우 어려워하는 것을 보았습니다. 기존에 '쉽게 시작하는 쿠버네티스'를 통해 개념을 잡았다고 해도... 사실 쿠버네티스를 제대로 다루려면 코드를 빼고는 할 수 있는게 매우 제한적입니다.
따라서 '쉽게 정말 쉽게 쿠버네티스를 코드로 다루는 것을 알려줄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쿠버네티스 생태계에서 함께 하도록 할 수 있을까?’ 하는 고민을 녹인 강의입니다.
현재 강의를 모두 듣고 이해한다면 아래 아키텍처에 대한 그림들을 이해할 수 있게 됩니다.
다양한 종류의 쿠버네티스 아키텍처
쿠버네티스 문서 상에 쿠버네티스 대시보드 버전을 변경 요청 (이슈 보러가기)
Nginx Ingress controller가 v1.22에서 여전히 v1.21의 API를 호출하는 부분 수정 요청 (이슈 보러가기)
왜 쿠버네티스는 systemd로 cgroup을 관리하려고 할까요 (슬라이드 보러가기)
GKE에서 GCP CDN을 설정하는 법 (슬라이드 보러가기)
Q. 사전 강의인 '쉽게 시작하는 쿠버네티스'를 듣지 않고 들어도 될까요?
예상 질문지에 있던 그 질문이군요. 권유의 레벨로는 '쉽게 시작하는 쿠버네티스'를 듣고 들으시기를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강의 중에 계속 기존에 설명한 내용이라거나, 이미 설명한 개념을 설명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보다 정확한 판단을 위해서 현재 목차에 있는 내용을 보시고 절반 이상을 아시는 내용이라면, 바로 들으셔도 괜찮을꺼 같습니다. 또는 책 '컨테이너 인프라 환경 구축을 위한 쿠버네티스/도커'를 이미 충분히 습득한 상태라면 바로 들어도 괜찮습니다. 하지만 흐름이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면 '쉽게 시작하는 쿠버네티스'를 듣고 난 이후에 들으시는걸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이는 개인적인 선호 및 이해도에 따른 것이라 추천 수준으로 밖에 못하는 점에 대해서 양해 부탁드립니다.
Q. 쿠버네티스를 꼭 이 강의를 통해서 배워야 하나요?
저는 솔직한 사람이니까. '아닙니다'. 가장 좋은 교과서는 쿠버네티스 공식 홈페이지입니다. 하지만 공식 홈페이지는 처음부터 공부하기에는 어떻게 시작하고 어떻게 배워야 할지 정의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습니다. 이를테면 쿠버네티스 공식 홈페이지는 '교과서' 라고 생각하시고, 이 강의는 '참고서' 라고 생각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교과서로 배우지만 새로 배우는 내용을 이해하기에는 참고서를 통해서 개념을 잡고 다시 교과서를 보는 흐름으로요. :)
Q. 이 강의만 들으면 쿠버네티스를 모두 알 수 있나요?
기존 강의(쉽게 시작하는 쿠버네티스)에서는 언급했지만, 온라인/오프라인 강의 몇십 시간으로 쿠버네티스의 모든 것을 알려주는 건 불가능합니다. 쿠버네티스는 현대 IT에 있는 모든 요소들이 계속 집적(integration)되고 있어서, 단시간에 모든 것을 개인이 배우고 다 알았다고 할 수 있는 수준은 가능하지 않습니다. 또한 매우 빠르게 변화하고 필요한 요소마다 가야하는 방향이 매우 달라서 개인의 공부가 많이 필요한 기술입니다.
그래서 개인 공부에 도움을 드릴 수 있을 추후 강의들이 계속 준비되어 있습니다.
버전 💾
📣 학습 전 확인해주세요!
학습 대상은
누구일까요?
'쉽게 시작하는 쿠버네티스'의 다음 강의를 기다리셨던 분
쿠버네티스 메뉴얼을 따라가기 어려웠던 분
쿠버네티스 넓은 개념들을 한번에 정리하기를 원하시는 분
쿠버네티스 최근 버전(v1.30)의 강의를 원하신 분
'컨테이너 인프라 환경 구축을 위한 쿠버네티스/도커' 책에서 쿠버네티스 부분을 보강하고 싶은 분
쿠버네티스를 단일 노드의 개념이 아니라 클러스터 개념에서 다루고 배우고 싶은 분
실무적인 내용에 대해서 궁금하신 분
선수 지식,
필요할까요?
'쉽게 시작하는 쿠버네티스' 강의 또는 기초적인 쿠버네티스 지식
vi or vim의 기초적인 사용법(Y, dd, p, :wq, :q!)
리눅스의 기초 명령어 (예: cd, ls, cat등)
네트워크에 대한 기초 (예: 192.168.1.10/24과 192.168.1.101/24는 통신이 가능)
YAML과 같은 마크업 언어를 배우고자 하는 열의(당연히 설명드립니다)
13,561
명
수강생
678
개
수강평
593
개
답변
4.8
점
강의 평점
7
개
강의
Documents:
Channels:
• Github
• Youtube
메가존에서 쿠버네티스와 컨테이너 인프라에 관해 Tech Evangelist, CoE(Center of Excellence)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주요 역할은 회사의 SaaS 제품에서 사용하는 쿠버네티스 환경을 현대화하고 비용을 최적화하는 것이며, 외부 고객을 위해 Tech Advisory와 Container Architecture Design 등을 지원하고 있다. 클라우드 네이티브 컴퓨팅 재단(CNCF)의 글로벌 앰버서더로,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술, 나아가 인공지능 네이티브 기술이 널리 전파되는 데 기여하고 있다. 그 외에 'IT 인프라 엔지니어 그룹'의 운영진을 맡고 있으며, 오픈소스 컨트리뷰터로도 활동하고 있다.
평소에 지식을 공유하는 것을 좋아하여, 인프런/유데미에서 앤서블 및 쿠버네티스에 관한 강의를 하고 있고, 지식은 문서로 남겨야 진정한 의미가 부여된다고 생각하여 『컨테이너 인프라 환경 구축을 위한 쿠버네티스/도커』, 『우아하게 앤서블』, 『시스템/네트워크 관리자를 위한 파이썬 실무 프로그래밍』을 집필하였으며, 요즘IT와 같은 온라인 플랫폼 등에 종종 글을 기고한다.
전체
184개 ∙ (33시간 33분)
해당 강의에서 제공:
전체
169개
4.9
169개의 수강평
수강평 6
∙
평균 평점 4.7
3
::利点 1.実習を直接進めながらクーバーネティスに慣れるには良い講義 2.積極的な回答で問題エラーが発生した場合は解決しやすい 3.補強講義を追加してもう少し慎重にクーバーネティスについて扱おうとする 4. 実務的な観点から、クーバーネティスを扱うのに必要なスキルをよく教えていい 5. 複雑な部分を全部用意しておき、クバネティスの流れに集中して勉強するのに適しています 6. 混同できる用語を一部まとめた講義があり、できるだけ勉強する人たちの困難を和らげようとする :: 欠点 1. 説明の水準が正確であるか明確ではなく、おおよその程度で終わるのが大部分である(中級以上とはいえ、中級くらいの人が見ても説明がおおよその程度※だと思わないというわけではない) きちんとした理解をするためには公式docを読むのが良い(おおよその紹介程度をするレベルの説明をしてすぐに実習を進めると授業1つ終了) 2. 重意的表現をしたり、正確に理解できず、重意的に理解するように言う部分も時々ある (この部分は今後補強講義で修正をすることもあり、カバーになるのは勉強する立場では大変な部分) 3. 他の講義評で正確に詳しく教えてくれるという評を期待して聞くと後悔することになる講義 ::個人的な総評 1. クバネティスの流れと実務の観点から扱う方法を身につけるのにとても良い 2. クーバーネティス命令を入力して設定することに慣れるには良い 3. 多様な補強講義や講師個人のノウハウなどを教えてくれ、ある程度クバネティスの理解度を備えた人々にはいいと思う 4. クバネティスが完全初めての場合、この講義は時間の浪費の確率が高いように見える。 クバネティス公式ホームページdocや他の講義を聞いた後、実習経験が必要な段階であれば適切
4回当てる
こんにちはMIN、そして欲望のハンバーガー、 もともと様々な意見があることについて別に私が答えないのが、その意見に対する尊重だと思って答えをつけなかったが、次のようにその後期について私の考えを共有します。 私は上記の講義の説明にも記したように、最高の教科書はクバネティス公式ホームページだと思い、その考えにはまだ変化はありません。 ところで、多少理解できない部分はなぜ "時間の無駄" になるのか分かりません。 人ごとに学ぶ方法には違いがあり、 "時間の無駄"というレベルで評価切らなければならない理由がわかりません。 その言葉がクリエイターにどれだけ苦しんでいるのか、後で(そうではないのが最善ですが)体験することができればわかります。 そして、その単語が入った後期を直接確認し、感情を感じるのは、'人'です。機械が確認するものではありません。 そしてまた、私が気になったのは**他の講義**(国内/海外提供されるすべての講義の中で)どんな講義が完全初めての場合に適しているか案内してもらえますか?私がそこに学ぶことがある場合は、受け入れて修正します。どんなに考えても国内/海外どんな講義を言われるのか分からないですね。 私の意図はクバネティス公式ホームページで始めるのは難しい方がいますので、これは参考書であるという概念に変わりはありません。 MINさんが公式ホームページで始めるのがより適切な方だったなら、それはMINさんがとても優れていて上手くいっているのですが、それが現在講義が非難されなければならない部分なのか分かりません。もともと講義を受講するときに何か不足している部分を埋めようと聞いたのですが、上記の総評で[1-3]が不足して聞かれたら理解できますが、[4]の考えについて聞きたいです。 予想される部分はJavaスプリング関連開発者として用語が入れ子になる部分などで初めて起動に非常に難しいと言われたかもしれませんが、クーバーネティス公式ホームページに見ると入れ子になる用語が非常に多いです。これはオープンソースの特性や既存のプラットフォームを吸収しながら発生したことで、仕方ない部分があります。 とにかく私が連絡したいのは "時間の無駄"レベルではないようにする完全に最初に適した講義はどうですか? If "公式ホームページ"ですか? then クーバーネティス公式ホームページが教科書であり参考書だと講義の紹介に書かれていて公式ホームページで十分なら講義を受講する必要がありませんが…どのような御言葉なのかわかりません。 クバネティス公式ホームページはオープンソースの中でも最もよく管理される文書の一つであり、公式ホームページより "より多くの内容"を扱っている講義は出ることができません。 私はまだ公式ホームページで十分であれば別に講義が必要ないという考えを持っています。公式ホームページよりこれを優先すると言ったことがないのに…なぜここに "時間の無駄"を書いたのでしょうか? if "他の講義"ですか? then これなら本当に気になって聞いてみます。完全初めての場合に適した講義がどんなことをお話しますか? 私が欠けている部分を知りたいです。 私は3点が実際にはよく理解されていません。 3点の講義はインフラにはありません。 3点は講義自体がまったく意味がなく、"時間の無駄"でのみ提供されるということですから。単位として、3点はCです。 (実はそれよりも悪いです。評価システムを考えていませんでしたが…) それほど考えてくださったのでしょうか? 私の考えを任意に強要したいのではなく、心から @MINさんの考えや意見を聞きたいです。 @All チュソク期間だからメール全体は後で差し上げますが、全体のフィードバックを聞いて講義の更新を止めるか続けるかも考えてみるべきだと思いますね。最近ずっと後期関連で心理的に大変ですね。
ある70~80%でも報告したら分からないか。
수강평 3
∙
평균 평점 5.0
5
私はクーバネティスを簡単に書いてみたとしても、仕事に必要なものだけその時探してみると、実際に使いながらもなぜ使うのか分からず、ただ進んだり、どういう意味なのか、どのように動作するのか正しく知らず使用する場合が多かったのですが、こんな絵とサンプルコードを一緒に見ながらゆっくり説明聞くから頭の中が整理されて多くの助けになりました。 クーバーネティスを完全に初めて接する方や、私のように気まぐれに使ってみた経験はありますが整理にならず、他の人に説明してみると言えないような方全員におすすめさせていただきたいと思います!
詳しいレビューありがとうございます。キューバがITインフラストラクチャに非常に大きな影響を与えるツールなので、長く一緒に勉強したいと思います!
수강평 3
∙
평균 평점 5.0
5
簡単に始めるクバネティスを通して大きな助けを得ました! 絵を利用した説明を通じて概念から原理まで簡単に理解できたのですが、今回の絵で学ぶクーバーネティスは、さらにコードの説明までにおいてさらに期待になるようです!いつも良い講義をありがとう #クーバーネティス
ありがとうございます :) 役立つように補強講義も頑張りましょう!
수강평 2
∙
평균 평점 5.0
수강평 1
∙
평균 평점 5.0
5
他の基本講義を通じてクーバネティスを先に触れた後、中級講義を探す絵で学ぶクーバーネティス講義を聞くようになりましたが、その前に理解していなかった内容も一つ二つずつ理解できますね。について知りたくて簡単に始めるクーバーネティスも一緒に決済しました。皆さんにおすすめです。
ああ、他の講義ももちろん素晴らしいですが、いろいろな理由でおそらく扱えない部分があったり、視点の違いがあって一部の方が理解しにくかった部分があるようです。レビューありがとうございます。
₩198,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