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6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EventListener(ApplicationReadyEvent.class) 관련
@EventListener(ApplicationReadyEvent.class)와 같은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Component public class DataInitializer implements ApplicationListener<ApplicationReadyEvent> 를 사용하여 프로젝트를 운영하고 있습니다.혹시 잘못된 것인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트랜잭션 동기화 매니저와 데이터 소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안녕하세요, 수업 중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 드립니다. 기본적으로 트랜잭션 동기화 매니저에서는 하나의 DataSource를 기준으로 하나의 Connection을 보관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강의의 예제는 동일 데이터소스에 대한 커넥션을 두개의 트랜잭션 매니저가 사용하는걸로 나와 있는 것 같습니다. 제가 궁금한건, 만약 외부 트랜잭션 매니저와 내부 트랜잭션 매니저가 서로 다른 데이터 소스를 참조하고 있다면 트랜잭션 동기화 매니저를 통해 서로 다른 커넥션을 참조하려고 할텐데,그래도 내부 트랜잭션이 외부 트랜잭션에 참여할 수 있나? 에 대해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DB 관련 강의 개설 계획은 없으신건가요?
이번 강의 끝내고 로드맵대로 JPA 기본1편로 건너가 학습중인데요.JPA 기본편에선 jpa라 당연하겠지만 이전보다 더 DB 관련 지식을 요구하는 것 같더라구요.예전에 DB를 약간 학습했던 적이 있어 드문드문 떠오르는 기억에 아직까진 강의를 듣는데는 큰 어려움은 없으나 DB를 학습했던건 오래전일고 깊이 있게 한 것이 아니라서 DB관련 지식이 희미하고 매우매우 얕게만 남아있습니다. 영한님 말씀 들어보면 실무에 투입되면 DB에 대해서도 꽤 잘알아야 하는 것 같구요.앞으로의 미래를 생각한다면 한번은 DB를 따로 더 공부해야한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그래서 스프링 MVC 강의에 앞서 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라는 강의로 웹에 관한 강의를 해주셨는데요. 정말 큰 도움이 됐습니다.이것처럼 DB도 선수 학습 강의로 개설 계획이라던가 없으신건가요? 있으시다면 언제쯤 개설되는지 알 수 있을까요?DB강좌도 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처럼 있다면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물리 트랜잭션 과 논리트랜잭션 용어를 맞게 이해한걸까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물리 트랜잭션 과 논리 트랜잭션에 대해 가령 다음과 같이 있을 경우 @Transactional 의 경우 dataSource.getConnection(); 과 같이 트랜잭션이 시작되는 걸 의미 하니 placeOrder 메소드 전체가 물리 트랜잭션에 해당하고 그 이후 내부의 각 메소드 나 비즈니스 로직에서 사용되는 트랜잭션은 논리트랜잭션에 해당한다고 이해 하면 될까요? @Servicepublic class OrderService { @Transactional // 논리 트랜잭션 1 public void placeOrder() { orderRepository.save(); paymentService.processPayment(); // 논리 트랜잭션 2 (propagation 여부에 따라) }}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스프링 3 버전 이상 rollbackFor 변경된듯요
rollbackOn으로 변경된거같네요 스펙이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트랜잭션 전파 질문.
두가지 질문 있습니다. 1) 16분 30초부터 설명하는 내부 트랜잭션 응답 흐름에서 궁금한점이 있습니다.이번 강의에서 내부 트랜잭션이 참여하게 되면 이것은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이다라고 하셨고내부 트랜잭션이 커밋해도 신규 트랜잭션이 아니기 때문에 실제 커밋을 호출하지 않는다. 그리고 실제 커넥션에 커밋이나 롤백을 호출하면 트랜잭션을 끝나기 때문에 안되기 때문에 실제 커밋을 호출하면 안되고 여기서는 아무것도 안한다 라고 설명하시는데요.그렇다면 다음 코드에서@Test void inner_commit() { log.info("외부 트랜잭션 시작"); TransactionStatus outer = txManager.getTransaction(new DefaultTransactionAttribute()); log.info("outer.isNewTransaction()={}", outer.isNewTransaction()); log.info("내부 트랜잭션 시작"); TransactionStatus inner = txManager.getTransaction(new DefaultTransactionAttribute()); log.info("inner.isNewTransaction()={}", inner.isNewTransaction()); log.info("내부 트랜잭션 커밋"); // txManager.commit(inner); log.info("외부 트랜잭션 커밋"); txManager.commit(outer); }내부 트랜잭션에서 실제 커밋을 호출하면 안되고 어차피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이라면 없어도 되는 코드 아닌가? 라고 생각했는데 아래 다른 분이 하신 비슷한 질문의 답변에서 내부 트랜잭션을 사용한다고 결정했다면 항상 내부 트랜잭션을 커밋이나 롤백을 결정하셔야 합니다. 라고 답변 하신 것을 보았는데요. 아무것도 하지 않는데 내부 트랜잭션은 왜 커밋을 해주어야하는건가요? 2) 1번 질문이랑 관련 있는 것 같기는한데요.이전 강의에서 모든 논리 트랜잭션이 커밋되어야 물리 트랜잭션이 커밋된다고 하셨는데요, 이번 강의에서나 다음 강의에서나 외부(물리) 트랜잭션만 커밋해도 실제 커넥션에 모두 커밋되는 것 같은데.. 아닌가요? 이것이 맞다면 1번 질문과 마찬가지로 외부 (물리) 트랜잭션만 하면 되니 txManager.commit(inner) 코드는 필요 없는 것 아닌가요?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프로젝트 오픈 에러
제공된 소스 폴더 itemservice-db-start 를 itemservice-db로 변경 후 openProject 하였더니 다음과 같은 빌드 에러가 납니다..질문 답변 봐도 별 내용 없는거로 보아 저만 이런거같은데 어떻게 해결하나요
-
해결됨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외부 트랜잭션에서 isNewTransaction이 false로 나오는거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SpringBootTest class MemberServiceTest { @Autoworied lateinit var memberService: MembersService @Test fun get() { memberService.get(1L) } }@Service class MemberService( private val txManager: PlatformTransactionManager, ) { @Transactional(readOnly = true) fun get(id: Long) { val tx = txManager.getTransaction(DefaultTransactionAttribute()) println("isCurrentTransactionReadOnly()=${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isCurrentTransactionReadOnly()}") println("isActualTransactionActive()=${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isActualTransactionActive()}") println("isNewTransaction()=${tx.isNewTransaction()}") // get } } 제가 기대한건isNewTransaction = true인데요 -> 가장 처음 호출된 @Transactional이 있는 service 메서드이기 때문에 그런데테스트 코드로 실행해도 그렇고, API로 get 메서드가 호출되도록 해봐도 그렇고모두 isNewTransaction = false 로 나옵니다. 내부 트랜잭션이 아니라 외부 트랜잭션이라고 생각했는데 왜 false일까요.... 09:54:40.059 [Test worker] DEBUG o.s.o.j.JpaTransactionManager - Creating new transaction with name [com.application.service.member.MemberService.get]: PROPAGATION_REQUIRED,ISOLATION_DEFAULT,readOnly 09:54:40.062 [Test worker] DEBUG o.s.o.j.JpaTransactionManager - Opened new EntityManager [SessionImpl(16208286<open>)] for JPA transaction 09:54:40.075 [Test worker] DEBUG o.h.e.t.i.TransactionImpl - On TransactionImpl creation, JpaCompliance#isJpaTransactionComplianceEnabled == false 09:54:40.075 [Test worker] DEBUG o.h.e.t.i.TransactionImpl - begin 09:54:40.081 [Test worker] DEBUG o.s.o.j.JpaTransactionManager - Exposing JPA transaction as JDBC [org.springframework.orm.jpa.member.HibernateJpaDialect$HibernateConnectionHandle@486e4af6] 09:54:40.083 [Test worker] TRACE o.s.t.i.TransactionInterceptor - Getting transaction for [com.application.service.member.MemberService.get] 09:54:40.084 [Test worker] DEBUG o.s.o.j.JpaTransactionManager - Found thread-bound EntityManager [SessionImpl(16208286<open>)] for JPA transaction 09:54:40.084 [Test worker] DEBUG o.s.o.j.JpaTransactionManager - Participating in existing transaction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isCurrentTransactionReadOnly()=true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isActualTransactionActive()=true outer.isNewTransaction()=falseCreating new transaction with name이 나오는데 09:54:40.084 [Test worker] DEBUG o.s.o.j.JpaTransactionManager - Participating in existing transaction 이 로그도 나옵니다,,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같은 스레드를 사용하면 트랜잭션 동기화 매니저는 같은 커넥션을 반환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오랜만에 예전에 메모했던 내용 복습 중인데"같은 스레드를 사용하면 트랜잭션 동기화 매니저는 같은 커넥션을 반환한다. 이건 스레드 로컬 때문"이렇게 제가 메모해 두긴 했는데 내부 트랜잭션에서 REQUIRES_NEW를 사용하더라도 마찬가지인가요? 아니면 이땐 위 내용에 대해 예외인 케이스가 되나요?왠지 간단한 내용 같긴 한데 제가 스프링 고급 편 강의를 아직 안 들어서 잘못 이해해 버릴지도 몰라서 질문드립니다
-
해결됨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h2 인메모리 테스트중 예약어 충돌날 경우 대처방법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개인프로젝트에서 운영 및 로컬DB는 mysql을 사용하고 유저 테이블 이름을 user라고 하였고, User.java 엔티티 클래스를 만들었습니다.테스트DB는 h2 인메모리db를 사용하여 진행했는데, h2에서 user 는 예약어이기 때문에 테스트 도중 sql구문이 맞지 않아 실패했다고 합니다.Caused by: org.h2.jdbc.JdbcSQLSyntaxErrorException: Syntax error in SQL statement "insert into [*]user (login_id,password,user_id) values (?,?,default)"; expected "identifier"; SQL statement: 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구글링해보았는데mysql에서 테이블 명을 바꾸고 자바 코드의 User 이름들도 바꾼다.User.java 엔티티클래스에@Table(name = "\"user\"")를 추가하여 sql 구문이 생성될때 "user" 로 생성되게 하여 H2의 예약어 user를 피한다.테스트 db를 mysql로 설정한다.이런 방법들을 찾았습니다. 일단 추가적인 사이드 이펙트가 발생하지 않는 1번으로 했는데, 만약 김영한 선생님이라면 이 방법들중 어떤 방법을 사용할지, 아니면 또 다른 방법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커스텀aop와 트랜잭션을 같이 사용할때 우선순위에 관한 질문
트랜잭션도 @Transactional을 사용하면 일종의 aop로 작동하지 않습니까?@Transactional은 그러면 우선순위가 어느정도인지 궁금합니다.그리고 커스텀aop를 적용할때 트랜잭션보다 먼저 적용해야하는 건지도 궁금합니다.그리고 @Repository를 사용하면 sql 체크 예외를 DataAccess 언체크 예외로 바꿔주는 aop가 있다는데, 그러면 @Repository가 @Transactional보다 우선순위가 낮아야지 언체크 예외로 변한 예외를 보고 트랜잭션이 롤백을 할텐데, 그러면 Repository는 무조건 Transactional 보다 우선순위가 낮게 만들어진건지도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아이솔레이션 레벨에 관한 내용도
관련 내용도 이 강의에 들어가있을까요?아니면 다른 강의에있을까요?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jpa와 기타 db 기술을 혼합해서 사용할 때 질문드립니다.
여러가지 repository를 만들어야하나요?예를들어서 mybatis, jdbctemplate, 스프링jpa, 순수jpa, querydsl을 사용한다고 할때mybatisRepo, JdbcRepo, 스프링JpaRepo, 순수Jpa + querydslRepo, 이런식으로 다 나눠서 하는게 맞는걸까요?? 그러면 강의에서 말씀해주신 것처럼 DIP 원칙은 위배될텐데 그래도 되는걸까요? DIP원칙 위배되지 않게 하기위해서 각 repo별로 인터페이스 만드는것도 뭔가 이상해보이기도 하고... 헷갈리네요 Jpa를 사용한 후에, mybatis나 jdbctemplate같이 수정과 조회를 디비에서 체크하는 db기술을 사용한다고 할때, 이전 jpa 사용에서 어떤 수정이 이루어졌었다면 그건 영속성 컨텍스트에 저장되어있기만하고 아직 flush를 하지 않아서 디비엔 반영이 안되어 있는 상태라서 mybatis나 jdbctemplate를 이용할 때 뭔가 데이터 정합성이 안맞는다거나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에(뇌피셜) 아무튼 jpa 사용 후 mybatis, jdbctemplate 사용하려면 사용하기 전엔 flush를 꼭해줘야 한다고 하셨는데, 그러면 service 레이어에서 entitymanager를 의존받아야 하는데 이게 맞는건지 궁금합니다. jpa 기술을 서비스레이어까지 끌고오는게 어찌보면 좀 안맞는거같고 그걸 피하기 위해서 트랜잭션 aop를 사용한것 같은데... 그래도 db기술 혼합사용시에는 그냥 service 레이어에 entitymanager를 의존받는게 맞는걸까요?jpa를 이용한 db 처리방식은 효율적인 건가요??항상 효율적인 것 같지는 않지만, 영속성 컨텍스트를 체크해서 결국 마지막에 최종 변환 된 것만 쿼리를 날려서 수정을 한다던가 하는 부분은 뭔가 효율적인것처럼 보이지만서도, 단순히 update하나만 한다고 가정하면, find로 select 쿼리를 한번 날리고 setXXX으로 객체에 뭔가 변화를 줘서 커밋직전 flush에서 update쿼리를 한번 더 날린다고 생각하면 또 비효율적인거 같기도하고 잘 모르겠습니다.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Transactional connection 얻는 시점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스프링에서 기본적인 설정으로 @Transactional 적용된 메서드를 실행했을 때 connection을 바로 풀에서 가져오나요 아니면 실제 DB상 쿼리를 날리기 전에 connection을 얻어와서 처리하나요??
-
해결됨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localhost:8080 연결이 안됨
[질문 내용]갑자기 localhost:8080 연결이 안됩니다. 강의 소스 그대로 다운받아서 열었는데요 ㅜ 에러들 좀 봐주십쇼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해결 방법] 스프링 부트 2.x -> 3.x 업그레이드
섹션5의 MyBatis 적용2 - 설정과 실행에서 원하는 결과가 나오질 않아서 봤더니, MyBatis는 스프링 부트 3.x에 지원하는 버전으로 설정되어있고 현재 프로젝트 설정은 스프링 부트 2.x 이다보니 버전 충돌로 되지 않아서 과감하게 프로젝트를 3.x 대로 변경하는 삽질을 해봤습니다. #1. 먼저 3.x 에서 만든 프로젝트가 필요합니다.#2. 1에서 만든 프로젝트에서 gradle/wrapper에 있는 아래의 두개 파일을 복사해 옵니다.gradle-wapper.jar gradle-wrapper.properties#3. build.gradle 수정plugins { id 'java' id 'org.springframework.boot' version '3.4.5' #버전에 맞게 수정 id 'io.spring.dependency-management' version '1.1.7' } group = 'com.example' version = '0.0.1-SNAPSHOT' java { toolchain { languageVersion = JavaLanguageVersion.of(17) } }#4. Project Structure 확인#인텔리제이에서 File -> Project Stucture 에서 Project Settings > Project : SDK 가 17 이상인지 확인#5. Gradle 동기화인텔리제이에서 했는데 잘 안되면 CLI 환경에서 아래처럼 시도#in mac chmod +x gradlew ./gradlew clean ./gradlew build#6. 5를 시도했는데도 안되면,#인텔리제이에서 File -> Invalidate Caches... 를 하고 재시도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출력 로그가 저랑 많이 다른데.. 해결 방법좀 알려주세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강의 내용과 달리 테스트를 실행하면 저는 영한님과 다르게 로그가 출력이 되는데요, 이 부분은 어떻게 설정을 하나요? 저도 찾아보고 있는데 아직 찾지 못하여 질문 남깁니다! 저는 Test Result 아래로 페키지도 출력이 안되고 로그도 너무 다르게 출력이되네요.. 강의와 맞추고 싶은데 방법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자동리소스등록?
src/main/resources/application.properties```groovy spring.profiles.active=local spring.datasource.url=jdbc:h2:tcp://localhost/~/test spring.datasource.username=sa ```이렇게 설정만 하면 스프링 부트가 해당 설정을 사용해서 커넥션 풀과 DataSource, 트랜잭션 매니저를 스프링 빈으로 자동 등록한다.(앞에서 학습한 스프링 부트의 자동 리소스 등록 내용을 떠올려보자.) 이 부분에서 자동 리로스 등록내용이 어디 강의에 있나요..?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REQUIRES_NEW 내부 커밋, 외부 롤백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Requires_new를 통해 내부 트랜잭션이 시작되고 내부 트랜잭션은 커밋, 외부 트랜잭션은 롤백이라고 했을 때 그대로 동작한다고 이해하면 될까요?
-
해결됨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트랜잭션 전파 활용 - UnexpectRollbackException 관련 질문
트랜잭션 전파 활용까지 강의를 수강하고나니이전 질문해당 질문에서 질문했던 1번 경우에 대해서는 제 생각이 맞는 것 같다는 결론이 나왔습니다.그리고 활용 강의까지 들으면서 느낀건데애초에 UnexpectRollbackException 예외는실제 정상 운영중인 서비스에서는 발생하면 안되는 예외고테스트 과정같은 개발 환경에서 개발자가 캐치해서 이 예외가 발생하지 않게끔 코드를 수정하기위한일종의 알림같은 예외라고 생각이 되었습니다.그래서 굳이 exceptionhandler로 UnexpectRollbackException 예외를 처리하는것은 뭔가 옳지 않은 방법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제 생각이 맞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