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6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대세는 쿠버네티스 (Helm편)
helm hook과 Pod initContainer 중 선택
안녕하세요, 강사님. 매번 꼼꼼하게 설명해주시는 덕분에 강의만으로도 충분히 이해를 하다가 처음으로 질문을 남겨봅니다. Helm hook에 대해서 처음 배우면서 기존에 자주 사용하던 Pod 내 initContainer 중 어떤 방식을 택하는 것이 더 좋을지에 대해 고민하게 되었습니다. 특정 파드의 main container가 시작되기 전에 항상 먼저 실행되어야 하는 container가 있다고 가정할 때 Helm hook의 pre-install, pre-upgrade을 사용하면 initContainer와 비슷한 동작을 하도록 만들 수 있을 것 같은데 둘 중에 어떤 것을 선택하는 것이 더 일반적인지 혹은 선택에 따른 추가적인 장단점이 있을지 궁금합니다. 이 문제에 대해 혼자 고민해봤을 때는 helm hook을 사용하게 되면 install, upgrade, rollback 시점에 대해 모두 고려하여 어노테이션을 지정해줘야 된다는 불편함이 있을 것 같아서 main container가 시작되기 전에 항상 선행되어야 하는 컨테이너가 있다면 initContainer를 활용하는 것이 더 좋지 않을까라는 생각으로 기울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helm hook은 정말 helm install, upgrade, rollback 등과 같은 조금 더 세부적인 helm의 동작에 대해서만 hook을 설정할 때 활용한다고 생각하면 될지 고민입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Sprint 1, 2 (#실무기초 #설치 #배포 #Jenkins #Helm #ArgoCD)
K8s 대시보드의 신규 리소스 생성시 이슈
대시보드에서 복사해서 내용 넣었을 때해당과 같은 이슈가 발생하시는 분들 계시면..vi 로 yaml 하나 만들어서 붙여넣은 뒤에chmod +x ~.yamlk apply -f ~.yaml하니까 가능합니다.혹시 헷갈리시는 분들 참고!!!...
-
미해결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Sprint 1, 2 (#실무기초 #설치 #배포 #Jenkins #Helm #ArgoCD)
모든 컨테이너가 running 중이나 그라파나에 나타나지않음
왜이럴까요+수정 확인해보니 로키가 라벨을 수집 못하고있다고합니다 +수정 systemctl restart chronyd.service 통해서 explore -> loki -> label browser 확인결과 파드로 떠진것들 중 default namespace 의 app만 나타나지 않습니다. +Explore에는 안뜨지만 dashboard namespace의 default를 통하여 확인 및 해결 완료하였습니다.
-
미해결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Sprint 1, 2 (#실무기초 #설치 #배포 #Jenkins #Helm #ArgoCD)
컨테이너로 노드를 구성해도 될까요?
가상 머신으로 서버 몇개 돌리면 컴퓨터가 정신을 못 차립니다. ㅠㅠ [👍좋은 질문을 했을 때 좋은 답변이 돌아 옵니다]1. 실습 중 본인의 환경이 가이드와 다른 부분이 있었다면 말씀해주세요.2. 해당 문제의 발생 빈도(재설치 여부)와 문제 해결을 위해 시도해본 케이스를 말씀해 주시면 원인 파악에 큰 도움이 됩니다.3. 에러 메시지만 봐서는 저도 모르는 경우가 많아요. 그전에 했던 작업이 포함된 캡쳐 화면도 부탁 드려요.4. 영상 내용에 대한 질문 시 해당 시간을 같이 올려 주시면 답변을 드리는 시간이 더 빨라집니다.5. 긴 로그는 제 메일로 보내주세요. (k8s.1pro@gmail.com)6. 카페 [강의 자료실]에도 많은 질문과 답변들이 있어요!
-
미해결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Sprint 1, 2 (#실무기초 #설치 #배포 #Jenkins #Helm #ArgoCD)
섹션2, 섹션6, 섹션12, 섹션 16가 0강으로 보입니다.
[👍좋은 질문을 했을 때 좋은 답변이 돌아 옵니다]1. 실습 중 본인의 환경이 가이드와 다른 부분이 있었다면 말씀해주세요.2. 해당 문제의 발생 빈도(재설치 여부)와 문제 해결을 위해 시도해본 케이스를 말씀해 주시면 원인 파악에 큰 도움이 됩니다.3. 에러 메시지만 봐서는 저도 모르는 경우가 많아요. 그전에 했던 작업이 포함된 캡쳐 화면도 부탁 드려요.4. 영상 내용에 대한 질문 시 해당 시간을 같이 올려 주시면 답변을 드리는 시간이 더 빨라집니다.5. 긴 로그는 제 메일로 보내주세요. (k8s.1pro@gmail.com)6. 카페 [강의 자료실]에도 많은 질문과 답변들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강사님 섹션2, 섹션6, 섹션12, 섹션 16 처럼 0강으로 보이는 부분들이 있는데이 부분들은 다음 섹션들을 포함하는 중간 목차 라고 생각하면 될까요?각 sprint를 표기하기 위해서요
-
미해결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Sprint 1, 2 (#실무기초 #설치 #배포 #Jenkins #Helm #ArgoCD)
버추얼 박스를 꼭 설치해야 하나요?
minikube로는 로컬 환경 구성을 하면 안될까요?
-
미해결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Sprint 1, 2 (#실무기초 #설치 #배포 #Jenkins #Helm #ArgoCD)
helm / values.yml
안녕하세요 helm사용 시에 배포환경에 따라 values.yaml을 구성해야 하는 것은 이해했습니다. 그렇다면 만약 prd환경의 values.yaml은 결국 깃허브에 올라가있는 yaml을 활용하는 것이고, 그것 또한 평문으로 저장이 되어있으면 안될거같은 생각이 드는데 , 실무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이 따로 있나요 ? ex) 젠킨스 credentials - > values.yaml 바인딩
-
미해결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Sprint 1, 2 (#실무기초 #설치 #배포 #Jenkins #Helm #ArgoCD)
k8-Master 설치 관련 문의드립니다.
mac 버전 카페에 나온대로 설치 후 쿠바네티스 모니터링화면 까지는 나옵니다.모니터링 화면 데이터가 나오지를 않습니다.세팅은 완료되었는데, 어느부분을 제가 놓친 것이 있는 지 궁금합니다.알림을 클릭해보면 다음과 같은 에러가 있습니다.customresourcedefinitions.apiextensions.k8s.io is forbidden: User "system:bootstrap:n272y3" cannot list resource "customresourcedefinitions" in API group "apiextensions.k8s.io" at the cluster scopere 그라파나와 loki 세팅하여 강의 대로 봤는데 데이터는 N/A입니다.
-
미해결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Sprint 1, 2 (#실무기초 #설치 #배포 #Jenkins #Helm #ArgoCD)
강의 실습에 사용된 Kubernetes yml 파일 출처 문의 입니다
안녕하세요강의를 반복해서 들으며 열심히 공부하고 있습니다.공부를 하던 중 문득 궁금한 점이 생겨 이렇게 글을 남깁니다.예를 들어, 모니터링 설치 실습을 진행한다고 가정했을 때kubectl apply --server-side -f ground/k8s-1.27/prometheus-2.44.0/manifests/setup이런 명령어를 사용하게 되는데요,실제로 Git 레포지토리에 들어가서 해당 경로의 소스들을 살펴보니 꽤 많은 yml들이 포함되어 있더라고요.그래서 궁금해졌습니다.이런 YAML 보통 어디에서 확인할 수 있는 건가요?혹시 공식적으로 참고할 수 있는 오픈소스나 레퍼런스가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Sprint 1, 2 (#실무기초 #설치 #배포 #Jenkins #Helm #ArgoCD)
VM 환경을 직접 구성하였을 때 강의 내용을 따라가는 것에 지장이 없을까요?
[👍좋은 질문을 했을 때 좋은 답변이 돌아 옵니다]안녕하세요 강의를 들으면서 환경 세팅을 위해 준비 중인데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드립니다.저는 해당 강의를 통해 k8s 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통해 실험 환경을 구축하고자 수강 중에 있는 대학원생입니다..! 추후 진행활 실험은 GPU 가속이 필요해서, 영상에서 소개해주시는 VM 솔루션 처럼 Type2 하이퍼바이저가 아닌 Type 1 하이퍼바이저 VM의 사용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그래서 Windows의 Hyper-V 가상화를 통해 VM을 구축하여 강의를 진행하고자 하는데요. 궁금한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해당 환경에서도 강의 내용을 따라가는 데 지장이 없을까요?- 특히 Vagrant의 경우, Vagrant 에 작성된 내용을 참고하여 직접 환경을 구성할 수 있다면 사용하지 않아도 무방하다고 다른 질문글에 답을 남기신 것을 보았는데요. 해당 환경에서도 말씀하신 것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지 여쭙고자 합니다.Linux 의 경우 Ubuntu 를 사용하는 것이 너무 손에 익어서,, 혹시 Ubuntu 리눅스를 사용하였을 때에도 강의 내용을 해수편까지 따라가는 데 지장이 없을까요? (알려주시는 명령어는 직접 우분투 배포판에 맞춰서 바꿀 생각입니다..!)
-
미해결대세는 쿠버네티스 (Helm편)
프로젝트에서 Helm Chart 관리 및 작성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제가 제조업쪽이라 서비스가 원활한 회사에서 근무를 하고 있지 않아서, 일반적인 IT 업계에선 Helm Chart 관리를 어떻게 하는지 궁금해서 문의드리게 되었습니다.일반적으로 적당한 프로젝트를 배포할 때 Front End 와 Back End Application 두가지 나눠서 배포한다고 해보겠습니다.Vue 와 Spring Boot 를 사용하는데, 이 때 프로젝트 루트 경로에 예제에서 관리한 바와 같이 deploy 폴더를 만들어서 관리를 하도록 했습니다.이 때, 기존 구성상 Ingress 가 다음과 같이 되어 있습니다. rules: - host: hello.foo.com http: paths: - path: / pathType: Prefix backend: service: name: svc-fe port: number: 8080 - path: /api pathType: Prefix backend: service: name: svc-be port: number: 80위와같이 되어 있을 경우, 이 ingress 는 두 영역 모두 의존성이 있습니다. fe 패키지에서 관리해야 할지, be 패키지에서 관리해야 할지 의문이 들었습니다. 아니면 Helm 은 IaC 도구로서 이며 원하는 인프라를 빠르게 셋업해줘야 하기 때문에 FE, BE 모두 한번에 관리하는게 맞는걸까요?그렇다면 이런 경우에는 FE, BE 깃 레포가 아닌, 별도의 Helm Chart 레포를 만들어서 관리를 하는 걸까요?
-
해결됨[DevOps 정석 2] MSA 환경의 로그 분석 기술 구축을 통한 통합로깅
Signoz 사용중에 질문이 있어 남깁니다.
현재 signoz를 https://signoz.io/docs/install/docker/해당 환경으로 구성하여 사용중입니다. 그런데 계속해서 사용하다보면 메모리 및 스왑 메모리 사용량이 증가하여 서버가 죽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불필요한 데이터 수집 및 로그 저장이 되지 않도록 설정하고 싶은데 어디 부분을 만져야 할까요?
-
미해결[DevOps 정석 2] MSA 환경의 로그 분석 기술 구축을 통한 통합로깅
open-telemetry config 예시 github 링크
안녕하세요. 다른 강의 들으시는 분들께 공유드리는 내용입니다. 저는 강의 내용에서 알려주신 config로 적용하면 기동이 되질 않더라고요helm 차트로 하지 않고 제가 docker 로 올려서 약간의 config 형식 차이가 발생했을 것 같습니다.수업중인 signoz와 제가 설치한 signoz의 버전 차이가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제가 참고한 open-telemetry config 예시 파일 공유드립니다. https://github.com/open-telemetry/opentelemetry-collector-contrib/blob/main/processor/spanprocessor/testdata/config.yaml spanprocessor 부분 링크이고, 다른 카테고리에서 다른 proceccor 형식도 참고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대세는 쿠버네티스 (Helm편)
nindent 사용시 결과값 하이픈(-) 생성 유무의 차이
안녕하세요 질문 남깁니다. 아래 사진을 참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같은 nindent 6을 사용하여 값을 조회하면 왜 'list' 항목 하위 값들은 하이픈(-)이 들어가고 바로 아래에있는 'object'에 값에는 하이픈이 들어가지 않는건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대세는 쿠버네티스 (Helm편)
tomcat 배포시 pod pending 현상
안녕하세요 수업 잘 듣고 있습니다. helm install my-tomcat . -f values.yaml해당 명령어로 차트 실행까지는 정상적으로 되었고 에러 문구도 따로 뜨지 않았습니다. svc는 nodeport로도 잘 연결되어 있는데 pod가 pending이어서 describe를 해보니 PVC가 Unbound 상태여서 그런 것 같습니다. PVC 로그로는 PV가 존재하지 않다는데 다른 설정 파일을 apply 해주어야 하는 걸까요?
-
미해결대세는 쿠버네티스 (Helm편)
prometheus 차트 구성 질문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들었습니다:) prometheus 차트 분석 파트를 보다가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드립니다.강의에서의 prometheus 차트 버전에서는 kube-state-metrics를 제외한 각 모듈들을 templates/ 내에 개별적으로 디렉토리를 구분하여 sub template 처럼 구성하고 있는데, 최신 버전(v20.0.2)의 prometheus에서는 각 모듈들을 모두 개별 chart로 구성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이런 변경 사항이 이전 버전의 방법 (sub template) 이 더 이상 권장 방법이 아니라서 변경된건지, 아니면 두 가지 방법에 장단점이 있어 선택 사항인지 궁금합니다. 여러 컴포넌트가 필요한 서비스의 경우에는 어떤 방법이 맞는걸까요?(추가로 강의 내용에서, 특정 template만(ex. templates/algertmanager/) helm template 으로 확인해 볼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
-
미해결초보를 위한 쿠버네티스 안내서
쿠버네티스배포데모" 코드 제공 (재)문의
강사님 안녕하세요.쿠버네티스배포데모 소스코드는 제공에 대해 한 번 문의 드렸는데요 바쁘신 것은 충분히 예상됩니다만 한 번더 문의 드립니다."쿠버네티스알아보기>쿠버네티스배포" 데모에서 시연해주신 환경에 대한 질문입니다.EKS에 2개의 노드를 만들고 helm으로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하셨는데요, EKS 환경을 만들고, helm으로 application을 배포하는 것에 대한 자료를 받을 수 있을지 지난 8월경 문의 드린 적이 있고, 공유계획이 있으시다고 하셨는데, 공유 예상 대략의 일정을 알 수 있을까요?AWS EKS 환경을 만들고 서비스 배포까지 일련의 전체 과정을 볼 수 있을 것 같아 업무에 적용하는데 도움이 많이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추가로, 쿠버네티스배포데모에서 그라파나와 로키에 대해서 보여주셨고, 쿠버네티스 모니터링 설정에 대한 내용도 공유할 계획이 있다고 다른 수강자분의 문의에 답변을 주셨었는데요, 이것에 대한 대략의 공유 일정이 있다면 같이 알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대세는 쿠버네티스 (Helm편)
helm chart의 app 버전 정보가 실제 버전과 동일한건가요?
적절하지 못한 질문일 수도 있어서 먼저 죄송합니다. helm chart로 구성할 것들이 있어서 수강도 하고 따로 구축 작업도 하고 있습니다. 주요 major한 솔루션은 이미 helm chart가 구비되어 있고 여기가 공식 repository 인거 같더군요.. https://artifacthub.io/ 근데 오픈소스의 version과, helm에서 명시한 version이 다르게 표기되어 있어서, 이게 어떻게 된건지 좀 혼동이 됩니다. 대표적으로, elasticsearch는 현재 8.2.2 버전인데, <현재 elasticsearch 버전> 헬름차트에선 7.17.3 입니다. <현 helm chart에서 Elasticsearch의 버전> 참고로 logstash, filebeat등 대부분 7.17.3 으로 관련 버전이 거의 동일하게 가고 있습니다. 이게 정말 helm엔 아직 옛날 버전만 가능한건지, 아님 helm쪽은 버전을 다르게 가져가서 그런건지.... 당연히 이건 elastic이 확실히 답변을 줄 수 있겠지만 그래도 경험이 많으시니 알고 계시지 않을까 해서 문의드립니다 ㅠㅠ
-
미해결데브옵스(DevOps)를 위한 쿠버네티스 마스터
오류가 발생하여 문의 드립니다.
알려주신대로 helm 으로 mysql을 설치 중인데 3 pod has unbound immediate PersistentVolumeClaims. 오류가 발생하면서 더 진행 되지 않습니다. 확인 부탁 드립니다.
-
미해결대세는 쿠버네티스 (초급~중급편)
헬름 강의는 언제 열리는지요!!!
블로그에 올라와있는거 확인했습니당. 강의는 언제부터 판매하시는지요?? 기다리는 중입니다 헥헥